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권대임(權大任)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D8CB300C784B1595X0
자(字)홍보(弘輔)
생년1595(선조 28)
졸년1645(인조 23)
시대조선중기
본관안동(安東)
활동분야예술‧체육 > 서예가
길흥군(吉興君)
권신중(權信中)
증정경부인(贈貞敬夫人)
조부권협(權悏)
정선옹주(貞善翁主)
외조부이정필(李廷弼)
공신호선무공신(宣武功臣)
공신호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상세내용]

권대임(權大任)
1595년(선조 28)∼1645년(인조 23). 조선 중기의 서예가.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홍보(弘輔).

조부는 길창군(吉昌君) 예조판서 권협(權悏)이고, 부친은 길흥군(吉興君) 권신중(權信中)이다. 어머니 증정경부인(贈貞敬夫人) 이씨세종의 아들 광평대군(廣平大君) 이여(李璵)의 7세손이자 사평(司評) 이정필(李廷弼)의 딸이다.

서예(書藝)에 뛰어나서 선조가 칭찬하며 여러 번 상을 내렸고, 승진하여 통헌대부(通憲大夫)에 이르렀다. 1624년(인조 2) 이괄(李适)의 반란이 일어나자 공주(公州)로 피난 가는 어가(御駕)를 호종(扈從)하였고, 그 공으로 봉헌대부(奉憲大夫)가 되었다. 1635년(인조 13) 아버지 3년 상이 끝나자 선무공신(宣武功臣)의 적손(嫡孫)으로 길성군(吉城君)에 봉해졌다. 이듬해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남한산성(南漢山城)으로 피난 가는 어가를 호종하여 숭덕대부(崇德大夫)로 승진되고 도총관(都摠管)이 되었다. 1639년(인조 17) 심양(瀋陽)에 사신으로 갔을 때에 행장에 든 재화를 다 털어서 포로로 잡혀갔다 돌아오지 못한 노약자들을 속환(贖還)하여 돌아왔다.

정선옹주(貞善翁主)와 결혼하여 길성위(吉城尉)에 봉해졌고, 돈녕부봉사(敦寧府奉事) 권진(權瑱)을 낳았다. 사후에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으로 유록대부(綏祿大夫)를 더하여 정일품이 되었다.

[참고문헌]

國朝人物考

[집필자]

안광호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