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곽(李廓)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774ACFDFFFFB1590X0
자(字)여량(汝量)
시호(諡號)충강(忠剛)
생년1590(선조 23)
졸년1665(현종 6)
시대조선중기
본관전주(全州)
활동분야무신 > 무신
이유인(李裕仁)

[상세내용]

이곽(李廓)
1590년(선조 23)∼1665년(현종 6).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여량(汝量).

태종의 아들 경녕군(敬寧君) 이비(李裶)의 6대손으로, 이유인(李裕仁)의 아들이다. 신장이 8척이나 되고 음성이 큰 종소리 같았으며, 힘이 장사였다. 이항복(李恒福)의 추천으로 무과에 급제하여 선전관이 되었다. 한때 궁중 금원(禁苑)안에 들어온 범을 잡은 일이 있었다. 이이첨(李爾瞻)이 문무백관을 위협하여 폐모하기를 청할 때에 참여하지 않았다.

인조반정 때 돈화문 밖에서 수비하다가 밤에 반정군이 이르자 문을 열어 들어가게 하였다. 반정 후 그를 죽이려 하자, 이귀(李貴)가 길을 비켜준 그의 공을 역설하여 화를 면하게 하였다.

그뒤 이괄(李适)이 난을 일으키자, 도원수 장만(張晩)의 군에 들어가 선봉이 되어 적을 격파하는 데 공을 세우고, 자산부사를 거쳐 부총관이 되었다.

1636년(인조 14)에 회답사(回答使)가 되어 청나라 심양(瀋陽)에 갔을 때, 심양에서는 국호를 청(淸)이라 고치고 왕을 황제로, 연호를 숭덕(崇德)이라 하여 교외에서 하늘에 제사를 올리려고 할 때 그의 일행을 조선 사신으로 참여시키려고 하였으나, 결사적으로 항거하여 그 의식에 불참하고 돌아왔다.

우리 조정에서는 그 사실을 잘못 전하여 듣고, 한때 선천에 유배시켰다가 뒤에 충절을 알고 석방하였다. 이해 호적(胡賊)이 침입하자 남한산성을 수비하는 데 활약하였고, 난이 끝난 뒤 충청도병마절도사를 거쳐 1641년 삼도수군통제사에 이르렀다. 병조판서에 추증되고 시호는 충강(忠剛)이다.

[참고문헌]

仁祖實錄
顯宗實錄
國朝人物考
敬寧君派世譜

[집필자]

이재범(李在範)

명 : "곽(廓)"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震史記略v4使羅德憲李廓至虜中金汗䝱脅令參拜廓等以死爭之終不免羅拜呼萬歲關西儒生上疏請斬兩司交章請斬德憲白馬山城劍山山城充軍○完城君崔鳴吉上疏略曰旣不決戰守之計又不爲緩和之謀一朝虜騎長驅不過體臣入于江都帥臣退處正
震史記略v4盡爲無人地自點住黃州不恤軍卒刑杖立威或言賊來則怒故人以賊來爲諱○春信使羅德憲李廓至虜中金汗䝱脅令參拜等以死爭之終不免羅拜呼萬歲關西儒生上疏請斬兩司交章請斬德憲白馬山城廓劍山山城充軍○完城君崔鳴吉上疏略
震乘總v9請留路廟堂始爲恇㤼發遣宰臣乞留相續而終不聽○春信使羅羅德憲李廓德憲李廓有罪充軍金汗僭帝時脅兩人令參賀等以死爭之至被捽辱終不免羅拜呼萬歲丙子錄衆胡驅拽衣冠盡裂終不入參金汗答書受置通遠堡而來監司洪命耉以廓
震乘總v9參金汗答書受置通遠堡而來監司洪命耉以廓等初受僭號書請梟示境上關西儒生上疏請斬兩司交章請斬德憲白馬山城劍山山城充軍○時朝廷斥責金虜僭號而復欲通吳學士上疏斥和使校理吳達濟上疏曰臺閣者公論之所在也公論一發則
丙子錄v1國號大淸劫使廓等參賀班廓等抵死不從差胡等驅碎廓等衣冠盡破終不入降漢人至有垂淚者廓等將還汗付答書稱皇帝等齎至通遠堡裹以靑布密置囊橐中托以馬病任重留置守堡胡人處而來平安監司洪命耉以廓等初受金汗僭號之書不爲
丙子錄v1廓等將還汗付答書稱皇帝廓等齎至通遠堡裹以靑布密置囊橐中托以馬病任重留置守堡胡人處而來平安監司洪命耉以等初受金汗僭號之書不爲嚴辭峻斥潛置中道爲罪馳啓請借尙方劍梟示於境上自上下其狀啓於備局吏曹判書金尙憲以
丙子錄v1僉知羅德憲以春信使往瀋陽適當三月十五日金弘汗他時潛稱皇帝國號大淸劫使廓等參賀班廓等抵死不從差胡等驅碎等衣冠盡破終不入降漢人至有垂淚者廓等將還汗付答書稱皇帝廓等齎至通遠堡裹以靑布密置囊橐中托以馬病任重留
丙子錄v1五日金弘汗他時潛稱皇帝國號大淸劫使廓等參賀班廓等抵死不從差胡等驅碎廓等衣冠盡破終不入降漢人至有垂淚者等將還汗付答書稱皇帝廓等齎至通遠堡裹以靑布密置囊橐中托以馬病任重留置守堡胡人處而來平安監司洪命耉以廓
丙子錄v1絶丙子春初武宰同知李廓僉知羅德憲以春信使往瀋陽適當三月十五日金弘汗他時潛稱皇帝國號大淸劫使廓等參賀班等抵死不從差胡等驅碎廓等衣冠盡破終不入降漢人至有垂淚者廓等將還汗付答書稱皇帝廓等齎至通遠堡裹以靑布密
丙子錄v1信使往來不絶丙子春初武宰同知李廓僉知羅德憲以春信使往瀋陽適當三月十五日金弘汗他時潛稱皇帝國號大淸劫使等參賀班廓等抵死不從差胡等驅碎廓等衣冠盡破終不入降漢人至有垂淚者廓等將還汗付答書稱皇帝廓等齎至通遠堡
韓史綮v2旣受其書則其屈膝明矣棄之中道何益宜梟示國人判書金尙憲不可曰兩使不騐問奈何獨先斬之於是謫德憲于白馬山城于宣川○以金瑬爲領議政○時大司諫尹煌參議金德誠等爭進禦淸之議秋九月崔鳴吉見王屛左右言曰以吾國之弱宜與
韓史綮v2置裝中使百餘騎押二人馳至鴉鶻關而去旣而二人檢裝見書曰書中所言可知爾棄之而歸平安監司洪命耉不知其情奏言等旣受其書則其屈膝明矣棄之中道何益宜梟示國人判書金尙憲不可曰兩使不騐問奈何獨先斬之於是謫德憲于白馬山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