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정성근(鄭誠謹)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815C131ADFCD1504X0
자(字)이신(而信)
시호(諡號)충절(忠節)
생년?(미상)
졸년1504(연산군 10)
시대조선전기
본관진양(晉陽)
활동분야문신 > 문신
정척(鄭陟)

[상세내용]

정성근(鄭誠謹)
미상∼1504년(연산군 10).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진양(晉陽). 자는 이신(而信). 대제학 정척(鄭陟)의 아들이며,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이다.

1474년(성종 5)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1479년 수찬으로 경연관(經筵官)을 겸하였으며, 1481년 부교리로서 승지의 업무를 맡을만한 인물로 추천된 바 있었고, 경차관(敬差官)으로 경기도에 파견되어 교동현의 유민(流民)을 진휼하였다.

이듬해에는 홍문관부응교로서 구황적간(救荒摘奸)하기 위하여 전라도에 파견되었고, 1483년 황해도경차관이 되었다.

그뒤 홍문관전한을 거쳐 대마도선위사(對馬島宣慰使)로 파견되었고, 1487년 시강관으로 경연에서 용인(用人)의 법도를 지켜야 함을 주장하였다. 이해 직제학이 되었다.

그가 선위사대마도에 갔을 때 대마도주가 주는 화선‧호초(胡椒) 등을 모두 되돌려주었다.

그뒤에 도주가 그 물건을 또 특별히 보내와서 나누어주게 하였으나, 그가 완강히 사양하므로 왕은 그 물건을 도로 대마도에 돌려보냈다.

그뒤 해주목사를 거쳐 1490년 반우형(潘佑亨)표연말(表沿沫) 등과 함께 사유(師儒)로 선발되기도 하였다.

이어서 경기도경차관우부승지를 거쳐 좌부승지에 이르렀는데, 이때 해주목사로 재직할 때의 부정사실로 탄핵을 받자 사직을 청하였다.

1494년 성종이 죽자 3년 동안 수묘하였으며, 1495년(연산군 1) 행호군으로 한직에 물러나 있다가 다시 정계에서 축출되었으나, 1497년에 다시 서용되었다.

1504년 갑자사화에 연루되어 군기시(軍器寺)앞에서 참수되었으나, 중종 즉위 후에 신원되고, 그의 충효로 아들이 녹용(錄用)되었고, 1507년(중종 2)에는 정문이 내려졌다.

또한, 청백리(淸白吏)에 녹선되었다. 광주(廣州) 구암서원(龜巖書院)에 제향되었으며, 시호는 충절(忠節)이다.

[참고문헌]

成宗實錄
燕山君日記
國朝榜目
典故大方
海東名臣錄
燃藜室記述

[집필자]

이병휴(李秉烋)

명 : "성근(誠謹)"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05皆爲公危之燕山嗣位知不克負荷乞外得昌原未久棄歸卜㞐於智異山下扁其亭曰知足若得終身者十餘年甲子夏與鄭公誠謹同被慘禍投屍於江中廟反正贈承旨公將被逮自度不免擧酒與其妻鄭氏圃隱之曾孫女相訣曰吾之此行必不得返奈祖先
紀年便攷v10鄭舟臣誠謹子成宗壬辰中字濟翁燕山辛酉以生員登明經科官止承文博士有孝行甲子其父過禍後勺水不入口者六日齒牙盡脫手指
震乘總v3島島主不出祗命乃踞胡床門外令驛督使祗迎如儀及還盡收一行所得扇刀椒香之屬合封授儐倭後島主特送人請以分與誠謹辭曰在彼不受到此而受誠不願前後異心也上不能强還之燕山時流落不偶作俚曲中夜悲歌以寓愛君繾綣之意後人飜其
震乘總v3華殷山人性至孝成廟薨服喪三年初旌閭至是詭行拿鞠自華供爲君服喪非爲要名妄料君父一體耳從容就死人莫不悲憐誠謹而信恭戴公陟子性勁直不撓奉使對馬島島主不出祗命乃踞胡床門外令驛督使祗迎如儀及還盡收一行所得扇刀椒香之
震乘總v3弼甲子謫盈德爲校理時燕山問于玉堂曰予欲殺鄭誠謹可否諸僚會待鵬至曰可殺滿座愕然鵬曰一人死與吾輩皆死孰愈誠謹遂死或問於朴英曰鄭先生玉堂之議可謂能處變而出處言之似未穩當英曰然靖國後復入玉署朴耕趙光輔獄起朴英馳告
靑彙抄v3 問于玉堂曰予欲誅鄭誠謹 可否諸僚皆集以待公公至曰可誅滿座愕然曰雲程有是言耶公曰一人死與吾輩皆死孰愈誠謹 遂死或問於朴松堂 曰鄭先生 玉堂之議可謂處變矣然以出處言之似未盡松堂 曰然名臣錄
寒臯觀外史v8鄭承㫖誠謹
寒臯觀外史v8齊贒字仲思號益齋慶州人従忠宣于燕邸與趙孟頫等游善奉使西蜀遂封金海君恭愍即位于元命摂政丞權㫁征東有事○誠謹字而信晋州人官承㫖○益齋普徳窟詩曰隂風生巌谷溪水深更綠倚杖望層顛飛簷架雲木山中雪中雪後詩曰紙被生寒佛
寒臯觀外史v8鄭承㫖誠謹平生耿介一叚忠赤圖在編簡無容贅也燕山朝流落不偶慷慨作俚曲中夜悲歌以寓其愛君繾綣之意僕甞採其聲恊以詞其
寒臯觀外史v10松齊眞寶人官戶參之瑞字伯符號知足林川人官應教鄭氏延日人父允寛祖監察依號雪谷曾祖吏議宗誠高祖文忠公分周誠謹字而信晉州人官承旨恭戴公陟之子
重訂南漢志v4鄭舟臣誠謹之子慟父非命號擗不食而死中廟初旌閭弟梅臣及梅臣子元麟元麒元麟子孝誠俱以孝旌表四世而綽楔者爲六人
大事編年v4當觀於此圖矣爲玉堂時燕山問于玉堂曰予欲殺鄭誠謹可否諸僚會待鵬至曰可殺滿座愕然鵬曰一人死與吾輩皆死孰愈誠謹遂死或問於朴英曰鄭先生玉堂之議可謂能處變而以出處言之似未穩當英曰然
國朝人物志v1常語曰我世宗以淸直二字許卿言猶在耳陟歷事六朝年八十六入耆社選錄淸白諡恭戴人物考子誠謹承旨
國朝人物志v1扇握椒瓣香而已盡收一行所得合封一器臨發船回還儐倭而歸于島主島主持送其物請付與之上準其請誠謹啓曰臣在彼不受到此而受前後異心誠不願也上不能強還授而送之其淸白如此成宗賓天獨行三年
國朝人物志v1字濟翁晉州人誠謹子燕山辛酉生員文科弘文博士甲子父遇暴禍舟臣號擗不絶聲勺水不入口者六日齒牙盡脫手指
國朝人物志v3字德餘號玄谷晉州人蔭監司孝誠子承旨誠謹玄孫宣祖丙午生員進士光海辛亥文科選入史局癸丑主令史官考出神德皇后故事以動慈殿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