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안견(安堅)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548ACACFFFFU9999X0
자(字)득수(得守)
호(號)현동자(玄洞子)
호(號)주경(朱耕)
생년?(미상)
졸년?(미상)
시대조선전기
본관지곡(池谷)
활동분야미술 > 화가

[상세내용]

안견(安堅)
생졸년 미상. 조선 초기의 대표적 화가. 본관은 지곡(池谷). 자는 가도(可度) 또는 득수(得守), 호는 현동자(玄洞子) 또는 주경(朱耕).

세종연간(1419∼1450)에 가장 왕성하게 활동하고 문종단종을 거쳐 세조 때까지도 화원으로 활약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세종 때에 도화원(圖畵院)의 종6품 벼슬인 선화(善畵)에서 체아직(遞兒職)인 정4품 호군으로 승진되었는데, 이는 조선 초기의 화원으로서 한품(限品)인 종6품의 제한을 깨고 승진한 최초의 예가 된다.

신숙주(申叔舟)『보한재집(保閑齋集)』에 의하면 그는 본성이 총민하고 정박(精博)하였다고 하며 안평대군(安平大君)을 가까이 섬기면서 안평대군이 소장하고 있던 고화(古畵)들을 섭렵함으로써 자신의 화풍을 이룩하는 토대로 삼았다.

안견의 화풍은 지금 일본의 덴리대학(天理大學) 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나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그의 전칭작품(傳稱作品)인 「사시팔경도(四時八景圖)」 등을 통하여 알 수 있다.

이 작품들을 보면 안견북송(北宋) 때의 대표적 화원이었던 곽희(郭熙)의 화풍을 토대로 하고 그밖에 여러가지 다른 화풍의 요소를 수용하여 자기나름의 독특한 양식을 이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점은 비단 작품에서뿐만 아니라 신숙주『보한재집』에 있는 화기(畵記)나 김안로(金安老)『용천담적기(龍泉談寂記)』 등의 기록을 통해서도 확인된다. 그는 산수화에 가장 특출하였지만 그밖에도 초상(肖像)‧화훼(花卉)‧매죽(梅竹)‧노안(蘆鴈)‧누각(樓閣)‧말〔馬〕‧의장도(儀仗圖) 등 다양한 소재를 그렸다.

안견이 남긴 작품은 기록들에 상당수가 보이나 그 중에서 연대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은 1442년(세종 24)에 제작된 「비해당 25세진」, 1443년의 「이사마산수도(李司馬山水圖)」, 1445년 이전에 그려진 것으로 『보한재집』에 기록되어 있는 「팔경도(八景圖)」 등 30점, 1446년과 1447년에 제작된 「팔준도(八駿圖)」, 1447년 이전에 그려진 「임강완월도(臨江翫月圖)」, 1447년에 제작된 「몽유도원도」, 1448년(세조 10)에 그려진 「대소가의장도(大小駕儀杖圖)」, 그리고 1464년에 중국사신을 위하여 그린 「묵죽도(墨竹圖)」 등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이 작품들은 모두 없어져서 오늘날 전해지지 않고 오직 「몽유도원도」만이 유존하고 있으며, 이밖에 「사시팔경도」 등이 그의 작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그림들은 경물들이 흩어져 있으면서도 서로 조화를 이루는 구도상의 특색을 비롯하여 공간개념과 필법 등에서 한국적인 특징을 짙게 띠고 있다.

그의 이러한 화풍은 조선 초기는 물론 중기까지 크게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회화사에서는 안견과 그를 추종한 많은 화가들을 합쳐서 안견파라고 지칭하는데 이들의 영향은 일본의 무로마치시대(室町時代) 수묵산수화 발전에도 적지않은 기여를 하였다.

[참고문헌]

夢遊桃源圖(安輝濬‧李炳漢, 藝耕産業社, 1987)
安堅(高裕燮, 韓國美術文化史論叢, 通文館, 1966)
安堅―夢遊桃源의 境地―(崔淳雨, 韓國의 人間像 5, 新丘文化社, 1966)
安堅과 그의 畵風―夢遊桃源圖를 중심으로―(安輝濬, 震檀學報 38, 1974)
傳 安堅筆 四時八景圖(安輝濬, 考古美術 136‧137, 韓國美術史學會, 1978.3.)

[집필자]

안휘준(安輝濬)

명 : "견(堅)"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野乘v9畵竹若干幅各体以進之湜曰此雖妙手然非竹也蘆也上亦素知畵法令院囿進一盆竹畵摘去蜜葉存䟽葉置軒臺當夕陽使依㨾畵之試示湜湜一見輙大驚曰此真竹也雖中國妙畵罕與之倫上大竒之於是出上房縑素受湜畵藏景福宫而姜邯賛朴
野乘v9之筆上命廣搜國中以視之湜遍覧之曰皆非竹也或麻也或蘆也非竹也請觀真竹時安堅妙畵圖郭凞中國素服其神妙上使用畵一生筆力畵竹若干幅各体以進之湜曰此雖妙手然非竹也蘆也上亦素知畵法令院囿進一盆竹畵摘去蜜葉存䟽葉置
寒臯觀外史v2彭年号醉琴軒順天人官吏參六臣之一謚忠正○可度之字也廣州人号玄洞子
文獻攷略v15國出來善畫人物其後安堅崔涇齊名堅山水涇人物皆入神玅今人愛寶堅畫如金玉成俔爲承旨見內藏靑山白雲圖眞絶寶常云平生精力在此涇晩年亦畫山水古木而當讓於堅矣其他洪天起崔渚安貴生之屬雖名山水而皆庸品惟士人金瑞之馬
文獻攷略v15○至本朝有顧仁者自中國出來善畫人物其後安堅崔涇齊名堅山水涇人物皆入神玅今人愛寶畫如金玉成俔爲承旨見內藏靑山白雲圖眞絶寶堅常云平生精力在此涇晩年亦畫山水古木而當讓於堅矣其他洪天起崔
文獻攷略v15入神玅今人愛寶堅畫如金玉成俔爲承旨見內藏靑山白雲圖眞絶寶堅常云平生精力在此涇晩年亦畫山水古木而當讓於矣其他洪天起崔渚安貴生之屬雖名山水而皆庸品惟士人金瑞之馬南汲之山水稍佳姜仁齋希顔天機高玅得古人所不料
文獻攷略v15○至本朝有顧仁者自中國出來善畫人物其後安堅崔涇齊名山水涇人物皆入神玅今人愛寶堅畫如金玉成俔爲承旨見內藏靑山白雲圖眞絶寶堅常云平生精力在此涇晩年亦畫山水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2010-04-27[한고관외사]에는 본관이 광주(廣州)로 되어 있다. 안견의 본관으로 알려진 지곡(池谷)이 현재의 서울특별시 새곡동 부근으로 추정하면, 이 자료도 신빙성이 있다. 그러나 좀더 확인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