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계림군(桂林君)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CC4B9BCAD70U9999X0
이명(異名)이유(李瑠)
자(字)언진(彦珍)
생년?(미상)
졸년?(미상)
시대조선전기
본관전주(全州)
활동분야왕실 > 종친
계성군(桂城君)
조부월산대군(月山大君)
외조부윤여필(尹汝弼)

[상세내용]

계림군(桂林君)
생졸년 미상. 조선 전기의 종친. 본관은 전주(全州). 이름은 이유(李瑠), 자는 언진(彦珍).

성종의 형 월산대군(月山大君)의 손자이고, 성종의 셋째아들 계성군(桂城君)의 양자이며, 중종의 첫째계비인 장경왕후(章敬王后)의 아버지 윤여필(尹汝弼)의 외손이다.

1545년(명종 즉위) 인종의 외척 대윤 윤임(尹任)일파와 소윤 윤원형(尹元衡)일파 사이에 정권쟁탈전이 벌어졌을 때 윤임을 축출하기 위하여 경기감사 김명윤(金明胤)이 밀계를 올리기를 “인종의 병환이 위중하자 윤임은 자신의 신변에 위협을 느껴, 임금의 아우(명종)를 추대하는 것을 원하지 않고 자신의 생질인 계림군 이유를 세우고자 한다.”고 하였다.

그 일로 윤임이 제거되자, 계림군은 미리 겁을 먹고 양화도(楊花島)에서 배를 타고 도망쳐 황룡산(黃龍山)기슭에 있는 이웅(李雄)의 집에 이르러 머리를 깎고 중이 되어 숨어 있다가, 토산현감 이감남(李坎男)에게 체포되어 서울로 압송되어 거열형(車裂刑)을 당하였다.

1577년(선조 10)에 신원되고 종적(宗籍)에 다시 올리게 되었다. 그의 죽음에 대하여 이중열(李仲悅)『을사전문록(乙巳傳聞錄)』에서 “틀림없이 죽을 것을 알고서도 바르게 죽음을 받는 것은 사군자(士君子)도 어려운 일인데, 어찌 한낱 무식한 종친으로부터 바랄 것인가. 이미 헛된 말로 죄를 꾸몄고 또 거짓 자복으로써 형을 정하여 죽였으니 가련한 일이로다.”라고 평하였다.

[참고문헌]

明宗實錄
燃藜室記述
大東野乘
乙巳傳聞錄

[집필자]

이병휴(李秉烋)

봉호 : "계림군(桂林君)"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1桂林君瑠明列一聖碩顯列
紀年便攷v12投囊書元衡自做諺簡若任上恭懿殿者然故為墜遺殿庭以動文定王后又宣言仁宗大漸日任思自保全不願戴介弟欲援立桂林君瑠灌仁淑助之 大王大妃愈疑惑下宻㫖于元衡乃罪任䓁三人事也元衡遂嗾大司憲閔齊仁大司諫金光凖授內㫖期為一
紀年便攷v12人如断蛇卿䓁退去予當决之并命賜任潅仁淑死李霖安寘一代善類誅竄殆盡宣祖丁丑并為伸雪○京畿監司金明胤誣告桂林君瑠䓁殺之先是尹元老造言尹任托護東宫實欲立瑠瑠月山大君孫也時仁宗在東宫非議嗣之時且瑠長仁宗十四歲豈有為
紀年便攷v13桂林君
紀年便攷v13桂林君瑠以德豊君恞月山大君子子爲桂城君恂成宗子后尹任甥姪鄭澈妹夫後字彥封自在髫齓少無狗馬殾色之心左右圖書潜
紀年便攷v14鄭惟沉迎日人參奉潙子字巨源成宗癸丑生桂林君妻父始仕監役明宗即位乙巳以司醖署令竄定平未幾宥還丁未壁書獄謫迎日辛亥元子誕降赦還拜敦寧判官桂林之逃發
紀年便攷v15臨津戰場命行厨祭戰亡士又命祭碧蹄戰亡天兵及還都宫闕盡灰燼以貞陵洞月山大君舊宅今明禮宫為行宫楊川都正家桂林君家為大內沈義謙家為東宫沈連源家為 宗廟又以附近大小家爲闕內各司頒教中外文畧曰三都潰裂始誠出蒼黃之計匹
見睫錄v1宣廟癸巳還都以員陵洞陽川都正家桂林君家爲大內沈義謙家爲東宮沈連源家爲宗廟以附近閭家爲各司乙未間就路之東西建近門作柵圍之名曰時御所李白沙
韓史綮v1禍每抑鎭之元衡疑二人黨任恨之乃又使人蜚言曰仁宗大漸日尹任思自保全欲與柳灌柳仁淑等援立其甥侄桂林君瑠后聞而益信之下密旨于元衡使之圖任於是元衡使大司憲閔齊仁劾任諸臺官皆不從齊仁元衡不得已與順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