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서경덕(徐敬德)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11CACBDB355B1489X0
자(字)가구(可久)
호(號)화담(花潭)
호(號)복재(復齋)
시호(諡號)문강(文康)
생년1489(성종 20)
졸년1546(명종 1)
시대조선전기
본관당성(唐城)
활동분야학자 > 유생
서호번(徐好蕃)
처부이계종(李繼從)
저서『화담집』

[상세내용]

서경덕(徐敬德)
1489년(성종 20)∼1546년(명종 1). 조선 초기의 학자. 본관은 당성(唐城). 자는 가구(可久), 호는 화담(花潭) 또는 복재(復齋).
1. 가계와 수업
부위(副尉) 서호번(徐好蕃)의 아들이며 모계는 실전(失傳)이다. 어머니가 공자(孔子)의 사당에 들어가는 꿈을 꾸고 잉태하여 그를 낳았다 한다. 나이 7∼8세에 이르자 총명하고 영특하여 어른의 말을 공경히 받들었다.

1502년(연산군 8) 14세 때 『서경』을 배우다가 태음력의 수학적 계산인 일(日)‧월(月)운행의 도수(度數)에 의문이 생기자 보름동안 궁리하여 스스로 해득하였다.

18세 때 『대학』의 치지재격물(致知在格物)조를 읽다가 “학문을 하면서 먼저 격물을 하지 않으면 글을 읽어서 어디에 쓰리오!”라고 탄식하고, 천지만물의 이름을 벽에다 써 붙여 두고 날마다 궁구(窮究)하기를 힘썼다.

19세에 태안이씨(泰安李氏) 선교랑(宣敎郞) 이계종(李繼從)의 딸을 아내로 맞이하였다.

31세 때 조광조(趙光祖)에 의해 채택된 현량과(賢良科)에 응시하도록 수석으로 추천을 받았으나 사양하고 개성 화담(花潭)에 서재를 세우고 연구와 교육에 더욱 힘썼다.

1531년(중종 26) 어머니의 요청으로 생원시에 응시하여 장원으로 급제하였으나 벼슬을 단념하고 더욱 성리학의 연구에 힘썼다.

1544년 김안국(金安國) 등이 후릉참봉(厚陵參奉)에 추천하여 임명되었으나 사양하고 계속 화담에 머물러 연구와 교육에 몰두하였다.

특히, 예학에 밝았으며 중종인종이 죽자 “임금의 상(喪)에 어찌 복(服)이 없을 수 있겠는가?”라고 하여 자최삼월(齊衰三月)의 복을 입었다. 황진이(黃眞伊)의 유혹을 물리친 일화가 전하며, 박연폭포(朴淵瀑布)황진이와 함께 송도삼절(松都三絶)로 불린다.
2. 기일원론 주창
송대의 주돈이(周敦頤)소옹(邵雍) 및 장재(張載)의 철학사상을 조화시켜 독자적인 기일원론(氣一元論)의 학설을 제창하였다.

「태허설(太虛說)」에서 우주공간에 충만하여 있는 원기(原氣)를 형이상학적인 대상으로 삼고, 그 기(氣)의 본질을 태허라 하였다. 기의 본질인 태허는 맑고 형체가 없는 것으로 선천(先天)이라 한다. 그 크기는 한정이 없고 그에 앞서서 아무런 시초도 없으며, 그 유래는 추궁할 수도 없다. 맑게 비어 있고 고요하여 움직임이 없는 것이 기의 근원이다. 널리 가득 차 한계의 멀고 가까움이 없으며, 꽉 차 있어 비거나 빠진 데가 없으니 한 호리(毫釐)의 용납될 틈이 없다. 그렇지만 오히려 실재(實在)하니, 이것을 ‘무(無)’라 할 수는 없는 것이다.

생성과 소멸하는 모든 것은 무한히 변화하는 기의 율동(律動)이다. 바람처럼 파도처럼 또 소나기처럼 밀리고 맥박치는 생(生)과 구름처럼 물방울처럼 사라지는 멸(滅)의 본체가 무엇이냐? 부침하고 율동(律動)하는 태허기(太虛氣)의 고탕(鼓燙)이다.

따라서, 서경덕의 기는 우주를 포함하고도 남는 무한량(無限量)한 것이며, 가득 차 있어 빈틈이 없으며 시작도 없고 끝도 없는 영원한 존재이며, 스스로의 힘에 의해서 만물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그것 이외에 어떤 원인(原因)이나 그 무엇에 의존하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기(氣)는 모였다가 흩어지는 운동은 하지만 기 그 자체를 소멸하지 않는다. 기가 한데로 모이면 하나의 물건이 이루어지고, 흩어지면 물건이 소멸한다. 이를 물이 얼면 얼음이 되고, 얼음이 녹으면 다시 물로 환원되는 것과 같은 것이다.

서경덕은 “일편향촉(一片香燭)의 기라도 그것이 눈앞에 흩어지는 것을 보지만, 그 남은 기운은 마침내 흩어지지 않는다.”고 한다. 이는 물리학에서 밝히고 있는 에너지 항존율(恒存律)과 같은 서경덕의 일기장존설(一氣長存說)인 것이다.

이기설의 입장을 밝힘에 있어서 그는 “기 밖에 이가 없다. 이란 기의 주재(主宰)이다. 주재란 것은 밖에서 기를 주재하는 것이 아니요, 기의 움직임이 그러한 까닭에 정당성을 가리켜 이것을 주재라 한다. 이는 기보다 선행할 수 없다. 기는 본래 무시(無始)한 것이니, 이도 본래 무시한 것이다. 만일, 이가 기보다 선행한다고 하면 이것은 기가 유시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이는 서경덕이 이를 기 속에 포함시켜 둘로 보지 않는 견해로서 기일원론인 것이다.

인간의 죽음도 우주의 기에 환원된다는 사생일여(死生一如)를 주장함으로써 “만물은 모두가 잠시 기탁한 것같으니, 떴다 가라앉았다 함도 일기(一氣)가운데요, 구름 생길 때 그 자취를 보거니, 얼음 풀린 뒤 그 자취 찾아도 없더라. 낮과 밤은 밝았다 어두웠다 하지만, 원(元)과 정(貞)도 시작했다 또 끝났다 한다. 진실로 이러한 이를 밝게 안다면 장구치면서 우리 님을 보내오리다.”라고 주장하여 불교의 인간생명이 적멸(寂滅)한다는 주장을 배격하였다.
3. 평가와 저술
이러한 서경덕의 학문과 사상은 이황(李滉)이이(李珥)같은 학자들에 의해서 그 독창성이 높이 평가되었으며, 한국 기철학(氣哲學)의 학맥(學脈)을 형성하게 되었다.

1575년(선조 8) 우의정에 추증, 1585년 신도비가 세워졌다. 개성숭양서원(崧陽書院)화곡서원(花谷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화담집』이 있으며, 그의 사상적인 면모를 밝혀 주는 「원이기(原理氣)」‧「이기설(理氣說)」‧「태허설」‧「귀신사생론(鬼神死生論)」 등의 대표적인 글을 수록하고 있다. 시호는 문강(文康)이다.

[참고문헌]

花潭集
中宗實錄
明宗實錄
宣祖實錄
燃藜室記述
海東名臣錄
國朝人物考
朝鮮儒敎淵源(張志淵)
朝鮮儒學史(玄相允)

[집필자]

이애희(李愛熙)

호 : "화담서경덕(花潭徐敬德)"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人物志v2字敬叔號頤齋延安人敎授廣運子十歲誦詩書受學于花潭徐敬德見知遇於慕齋金安國以文學著名有孝行丁酉進士癸卯文科郡守嘗差典祀定宗陵寢世代已
國朝人物志v2字時甫號東岡宜寧人牧使致勗子武襄公致勤從子少從花潭徐敬德受業明宗丙寅吏曹薦彥經及韓脩等以經明行修上命以布衣召對便殿稱旨除參奉陞
國朝人物志v2號杏村驪興人生有美質初從駱峯申光漢學爲文章頗有聲旣而以葩藻之文非儒者爲己之學往謁花潭徐敬德請業聞主靜之說而深味之名其齋習靜嘗語學者曰昔在蘿菴寺做工夫心安體舒言語有力一番過眼
國朝人物志v2字子順號思齋結城人居鳳山西三里朝廷聞其賢除參奉不就嘗著人事尋緖目一編與花潭徐敬德爲講磨之交東儒師友錄
國朝人物志v2所之恒居誨子弟曰最戒女色此而不嚴餘無足觀也其忍飢浹旬不火食其忍渴盛夏不飮水其忍勞徒步足重繭少從花潭徐敬德學布衣草鞋負褚而行游於士夫家傍若無人諸家雜術無不通曉乘一葉繫瓢於四隅不用楫三入濟州無風
國朝人物志v2字君實號守菴旌善人出於寒微從花潭徐敬德學嘗爲吏文學官旋棄之有學力以禮律身博極群書所見精確避亂春川地聞賊迫近書老杜京洛雲山
國朝人物志v2詢字晦之晉州人藕子寺正自濱孫官至縣令姜文佑字汝翼晉州人能文章受業于花潭徐敬德官止校書上同鄭士龍字雲卿見上芝峯類說曰明行人來朝廷以遠接使蘇世讓不能抵當
國朝人物志v2字和叔號思庵忠州人祐子八歲開口詠物輒驚人十八進士受學於花潭徐敬德癸丑文科壯元歷校理爲大司諫與李鐸劾尹元衡入室更衣坦坦而出家人不知有事及歸幼女
國朝人物志v2字衍之號南峯正郞惟仁子光弼曾孫受業於履素齋李伸虎花潭徐敬德自少手不釋卷以退溪李滉薦授王子師傅宣祖己巳文科不次超陞拜承旨時靑松府使朴愼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