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서경덕(徐敬德)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11CACBDB355B1489X0
자(字)가구(可久)
호(號)화담(花潭)
호(號)복재(復齋)
시호(諡號)문강(文康)
생년1489(성종 20)
졸년1546(명종 1)
시대조선전기
본관당성(唐城)
활동분야학자 > 유생
서호번(徐好蕃)
처부이계종(李繼從)
저서『화담집』

[상세내용]

서경덕(徐敬德)
1489년(성종 20)∼1546년(명종 1). 조선 초기의 학자. 본관은 당성(唐城). 자는 가구(可久), 호는 화담(花潭) 또는 복재(復齋).
1. 가계와 수업
부위(副尉) 서호번(徐好蕃)의 아들이며 모계는 실전(失傳)이다. 어머니가 공자(孔子)의 사당에 들어가는 꿈을 꾸고 잉태하여 그를 낳았다 한다. 나이 7∼8세에 이르자 총명하고 영특하여 어른의 말을 공경히 받들었다.

1502년(연산군 8) 14세 때 『서경』을 배우다가 태음력의 수학적 계산인 일(日)‧월(月)운행의 도수(度數)에 의문이 생기자 보름동안 궁리하여 스스로 해득하였다.

18세 때 『대학』의 치지재격물(致知在格物)조를 읽다가 “학문을 하면서 먼저 격물을 하지 않으면 글을 읽어서 어디에 쓰리오!”라고 탄식하고, 천지만물의 이름을 벽에다 써 붙여 두고 날마다 궁구(窮究)하기를 힘썼다.

19세에 태안이씨(泰安李氏) 선교랑(宣敎郞) 이계종(李繼從)의 딸을 아내로 맞이하였다.

31세 때 조광조(趙光祖)에 의해 채택된 현량과(賢良科)에 응시하도록 수석으로 추천을 받았으나 사양하고 개성 화담(花潭)에 서재를 세우고 연구와 교육에 더욱 힘썼다.

1531년(중종 26) 어머니의 요청으로 생원시에 응시하여 장원으로 급제하였으나 벼슬을 단념하고 더욱 성리학의 연구에 힘썼다.

1544년 김안국(金安國) 등이 후릉참봉(厚陵參奉)에 추천하여 임명되었으나 사양하고 계속 화담에 머물러 연구와 교육에 몰두하였다.

특히, 예학에 밝았으며 중종인종이 죽자 “임금의 상(喪)에 어찌 복(服)이 없을 수 있겠는가?”라고 하여 자최삼월(齊衰三月)의 복을 입었다. 황진이(黃眞伊)의 유혹을 물리친 일화가 전하며, 박연폭포(朴淵瀑布)황진이와 함께 송도삼절(松都三絶)로 불린다.
2. 기일원론 주창
송대의 주돈이(周敦頤)소옹(邵雍) 및 장재(張載)의 철학사상을 조화시켜 독자적인 기일원론(氣一元論)의 학설을 제창하였다.

「태허설(太虛說)」에서 우주공간에 충만하여 있는 원기(原氣)를 형이상학적인 대상으로 삼고, 그 기(氣)의 본질을 태허라 하였다. 기의 본질인 태허는 맑고 형체가 없는 것으로 선천(先天)이라 한다. 그 크기는 한정이 없고 그에 앞서서 아무런 시초도 없으며, 그 유래는 추궁할 수도 없다. 맑게 비어 있고 고요하여 움직임이 없는 것이 기의 근원이다. 널리 가득 차 한계의 멀고 가까움이 없으며, 꽉 차 있어 비거나 빠진 데가 없으니 한 호리(毫釐)의 용납될 틈이 없다. 그렇지만 오히려 실재(實在)하니, 이것을 ‘무(無)’라 할 수는 없는 것이다.

생성과 소멸하는 모든 것은 무한히 변화하는 기의 율동(律動)이다. 바람처럼 파도처럼 또 소나기처럼 밀리고 맥박치는 생(生)과 구름처럼 물방울처럼 사라지는 멸(滅)의 본체가 무엇이냐? 부침하고 율동(律動)하는 태허기(太虛氣)의 고탕(鼓燙)이다.

따라서, 서경덕의 기는 우주를 포함하고도 남는 무한량(無限量)한 것이며, 가득 차 있어 빈틈이 없으며 시작도 없고 끝도 없는 영원한 존재이며, 스스로의 힘에 의해서 만물을 생성할 수 있으므로, 그것 이외에 어떤 원인(原因)이나 그 무엇에 의존하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기(氣)는 모였다가 흩어지는 운동은 하지만 기 그 자체를 소멸하지 않는다. 기가 한데로 모이면 하나의 물건이 이루어지고, 흩어지면 물건이 소멸한다. 이를 물이 얼면 얼음이 되고, 얼음이 녹으면 다시 물로 환원되는 것과 같은 것이다.

서경덕은 “일편향촉(一片香燭)의 기라도 그것이 눈앞에 흩어지는 것을 보지만, 그 남은 기운은 마침내 흩어지지 않는다.”고 한다. 이는 물리학에서 밝히고 있는 에너지 항존율(恒存律)과 같은 서경덕의 일기장존설(一氣長存說)인 것이다.

이기설의 입장을 밝힘에 있어서 그는 “기 밖에 이가 없다. 이란 기의 주재(主宰)이다. 주재란 것은 밖에서 기를 주재하는 것이 아니요, 기의 움직임이 그러한 까닭에 정당성을 가리켜 이것을 주재라 한다. 이는 기보다 선행할 수 없다. 기는 본래 무시(無始)한 것이니, 이도 본래 무시한 것이다. 만일, 이가 기보다 선행한다고 하면 이것은 기가 유시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이는 서경덕이 이를 기 속에 포함시켜 둘로 보지 않는 견해로서 기일원론인 것이다.

인간의 죽음도 우주의 기에 환원된다는 사생일여(死生一如)를 주장함으로써 “만물은 모두가 잠시 기탁한 것같으니, 떴다 가라앉았다 함도 일기(一氣)가운데요, 구름 생길 때 그 자취를 보거니, 얼음 풀린 뒤 그 자취 찾아도 없더라. 낮과 밤은 밝았다 어두웠다 하지만, 원(元)과 정(貞)도 시작했다 또 끝났다 한다. 진실로 이러한 이를 밝게 안다면 장구치면서 우리 님을 보내오리다.”라고 주장하여 불교의 인간생명이 적멸(寂滅)한다는 주장을 배격하였다.
3. 평가와 저술
이러한 서경덕의 학문과 사상은 이황(李滉)이이(李珥)같은 학자들에 의해서 그 독창성이 높이 평가되었으며, 한국 기철학(氣哲學)의 학맥(學脈)을 형성하게 되었다.

1575년(선조 8) 우의정에 추증, 1585년 신도비가 세워졌다. 개성숭양서원(崧陽書院)화곡서원(花谷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화담집』이 있으며, 그의 사상적인 면모를 밝혀 주는 「원이기(原理氣)」‧「이기설(理氣說)」‧「태허설」‧「귀신사생론(鬼神死生論)」 등의 대표적인 글을 수록하고 있다. 시호는 문강(文康)이다.

[참고문헌]

花潭集
中宗實錄
明宗實錄
宣祖實錄
燃藜室記述
海東名臣錄
國朝人物考
朝鮮儒敎淵源(張志淵)
朝鮮儒學史(玄相允)

[집필자]

이애희(李愛熙)

호 : "화담(花潭)"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12徐敬德唐城人副尉好蕃子成宗己酉生字可久號復齋又花潭李延慶門人與李滉曺植從遊生於松京母韓氏夢入夫子廟而生敬德天資聦頴眉宇明快眼若曙星年近志學受尙書至朞三
國朝人物志v1字可久號花潭開城人家世單微業農桑甚貧天姿聰穎自奮爲學嘗以親命應擧中進士卽拋科業不赴試築室花潭上潛心
國朝人物志v2痛遯於報恩李滉心傷同氣之被禍退居禮安林億齡駭見百齡之戕賢棲遲外服徐敬德之遯于花潭金麟厚之絶意名宦曺植李恒之幽棲海隅鄭之雲之逃名麴孼者莫非己卯乙巳之禍有以激之也成
國朝人物志v2以六行俱備起授六品禮遇之隆比三公有加竟不入對後屢徵不起年八十一卒無子大東韻玉所友南冥花潭土亭皆遠至爲對床連夜語李相國浚慶聞之曰應有德星見於天矣牛溪集墓碣官至司贍寺正贈
國朝人物志v2字叔玉號蓮坊宗室也受封鍾城令受業嚴用恭尹鼎竟卒業於花潭勉焉孜孜死而後已東儒師友錄
國朝人物志v2義髫齕時袖所撰文就叔父正言希孟求正覽曰吾不及矣時天寒所着貂掩脫與族老不有難色稍長篤學受業於花潭從成聽松游皆敬愛之東儒師友錄
國朝人物志v2士丙午文科大司憲七八歲孝悌絶人嘗曰程朱以後學非不明其所樹立反下於漢豈自得與聞見有異也從花潭學己卯爲嶺伯鋟警民編三綱行實位通顯三十年門庭如布衣時光海癸亥子筠被誅禍及泉壤後司諫
國朝人物志v2字彥順早游花潭門性篤孝愛喪致哀祭致敬過三年猶不輟節日上塚官止郡守家食之久或至屢空而處之夷然至於勢利所
國朝人物志v2松京市人與李均俱受學花潭門遂棄其業而慕之甚篤東儒師友錄
國朝人物志v2字士伸松都人進士官止府使從花潭學東儒師友錄
國朝人物志v2字仲積木川人丁卯司馬家在松都善竹橋南性至孝花潭講道山中羲慶往從潛心經學李珥在東銓薦以孝廉除參奉謝恩歸尹根壽留後西京來訪
國朝人物志v2字公造號蓮峯延安人至男之子年十四聞守菴朴枝華傳花潭學執雉往造枝華吃吃稱之宣祖朝擧孝廉薦授參奉又除靑山縣監皆不就壬辰拜漢城判官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