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형산(高荊山)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ACE0D615C0B0B1453X0 |
자(字) | 정숙(靜叔) |
시호(諡號) | 위열(威烈) |
생년 | 1453(단종 1) |
졸년 | 1528(중종 23) |
시대 | 조선전기 |
본관 | 횡성(橫城)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고사신(高思信) |

[관련정보]
[상세내용]
고형산(高荊山)
1453년(단종 1)∼1528년(중종 23).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횡성(橫城). 자는 정숙(靜叔). 고사신(高思信)의 아들이다.
소과를 거쳐 1483년(성종 14)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이후 연산군 때 해주목사‧함경도병마절도사를 지냈다. 중종 때 강원도관찰사와 형조‧호조‧병조의 판서 등 요직을 차례로 역임하고 우찬성에 이르렀다.
1507년(중종 2) 강원도관찰사로 있을 때 부국강병을 위한 제도개혁을 상소한 바 있으나 정치성향은 대체로 보수적이었다. 조광조(趙光祖) 일파의 정치개혁을 반대하는 세력의 한 사람으로 현량과(賢良科)의 실시 등을 극력 반대하였으며, 1519년 남곤(南袞) 일파와 함께 기묘사화를 일으켜 신진세력을 축출하였다.
곧고 근검한 성품으로 수리(數理)에 밝아 행정능력이 뛰어났다.
소과를 거쳐 1483년(성종 14)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이후 연산군 때 해주목사‧함경도병마절도사를 지냈다. 중종 때 강원도관찰사와 형조‧호조‧병조의 판서 등 요직을 차례로 역임하고 우찬성에 이르렀다.
1507년(중종 2) 강원도관찰사로 있을 때 부국강병을 위한 제도개혁을 상소한 바 있으나 정치성향은 대체로 보수적이었다. 조광조(趙光祖) 일파의 정치개혁을 반대하는 세력의 한 사람으로 현량과(賢良科)의 실시 등을 극력 반대하였으며, 1519년 남곤(南袞) 일파와 함께 기묘사화를 일으켜 신진세력을 축출하였다.
곧고 근검한 성품으로 수리(數理)에 밝아 행정능력이 뛰어났다.
[참고문헌]
燕山君日記
中宗實錄
大東韻府群玉
輿地圖書
朝鮮前期畿湖士林派硏究(李秉烋, 一潮閣, 1984)
高荊山의 상소문(김원각, 전통문화 1984. 7.)
中宗實錄
大東韻府群玉
輿地圖書
朝鮮前期畿湖士林派硏究(李秉烋, 一潮閣, 1984)
高荊山의 상소문(김원각, 전통문화 1984. 7.)
[집필자]
윤용혁(尹龍爀)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