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안평대군(安平大君)

[요약정보]

UCIG002+AKS-KHF_14C548D3C9B300B1418X0
자(字)청지(淸之)
호(號)낭간거사(琅玕居士)
호(號)매죽헌(梅竹軒)
시호(諡號)장소(章昭)
생년1418(태종 18)
졸년1453(단종 1)
시대조선전기
본관전주(全州)
활동분야왕실 > 왕자
처부정연(鄭淵)

[상세내용]

안평대군(安平大君)
1418년(태종 18)∼1453년(단종 1). 조선 초기의 왕족‧서예가. 전주이씨(全州李氏). 이름은 용(瑢), 자는 청지(淸之), 호는 비해당(匪懈堂)낭간거사(琅玕居士)매죽헌(梅竹軒). 세종의 셋째아들이다.

1428년(세종 10) 안평대군에 봉해지고 이듬해 좌부대언(左副大言) 정연(鄭淵)의 딸과 결혼하였으며, 1430년 성균관에 입학하였다. 함경도에 육진(六鎭)이 신설되자 1438년 왕자들과 함께 야인을 토벌하였으며, 권신 황보 인(皇甫仁)김종서(金宗瑞) 등 문신들과 제휴, 수양대군(首陽大君)측의 무신세력과 맞서 인사행정의 하나인 황표정사(黃票政事)를 장악하는 등 점차 조정의 배후실력자로 등장하였다.

1452년 단종이 즉위하자 수양대군사은사(謝恩使)명나라에 다녀온 뒤 황표정사를 폐지하였다. 안평대군은 이의 회복을 위하여 힘썼으나 1453년 계유정난으로 황보 인김종서 등이 살해된 뒤 자신도 강화도로 귀양보내졌다가 교동(喬桐)으로 옮겨져 사사되었다.

1747년(영조 23) 영의정 김재로(金在魯)의 상소로 복관되었다.

어려서부터 학문을 좋아하고 시문‧서‧화에 모두 능하여 삼절(三絶)이라 칭하였으며, 식견과 도량이 넓어 당대인의 명망을 받았다.

또한, 도성의 북문 밖에 무이정사(武夷精舍)를 짓고 남호(南湖)에 담담정(淡淡亭)을 지어 수많은 책을 수장하였으며 문인들을 초청하여 시회(詩會)를 베푸는 등 호방한 생활을 하였다.

그는 당대 제일의 서예가로 유명한데, 서풍은 고려말부터 유행한 조맹부(趙孟頫)를 따랐지만 자신의 개성을 마음껏 발휘한 활달한 기풍은 높은 경지에 이르렀으며, 그 영향으로 인하여 조선 전기에 크게 유행하였다.

이와같이 그가 대성할 수 있었던 바탕에는 뛰어난 천분을 타고난 데다 궁중에서 생장하는 과정에서 내부(內府)에 소장된 많은 진적(眞蹟)을 보고 수련하였으며, 그 스스로 서화수장에도 상당하였기 때문이다.

신숙주(申叔舟)『보한재집(保閑齋集)』 화기(畵記)에 의하면, 모두 222축의 서화를 수장하였는데, 그 중 안견(安堅)의 작품을 제외한 대부분이 중국 서화가의 명적이었다. 따라서 그와 교유하였던 인사들에게 명적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줌으로써 당대의 서화계에 큰 역할도 하였다.

현존하는 그의 진적으로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발문이 대표적이며 법첩에 실린 것과 각첩(刻帖)으로 전하는 것이 적지 않다.

또한, 동활자에서 1450년 주조한 경오자가 그의 글씨를 바탕으로 하였으나, 그가 사사된 뒤 바로 녹여 을해자를 주조하였기 때문에 전해지는 예가 극히 드물다.

금석문으로는 경기도 여주 영릉(英陵)에 있다가 현재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동 세종대왕기념사업회에 있는 「세종대왕영릉신도비」, 용인군의 「청천부원군심온묘표(靑川府院君沈溫墓表)」, 과천의 「임영대군묘표(臨瀛大君墓表)」가 있다. 시호는 장소(章昭)이다.

[참고문헌]

世宗實錄
端宗實錄
莊陵志
國朝人物考
槿域書畵徵(吳世昌, 啓明俱樂部, 1928)
韓國書藝史(金基昇, 正音社, 1975)

[집필자]

정두희(鄭杜熙)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