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하륜(河崙)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D558B95CFFFFB1347X0
자(字)대림(大臨)
호(號)호정(浩亭)
시호(諡號)문충(文忠)
생년1347(충목왕 3)
졸년1416(태종 16)
시대조선전기
본관진양(晉陽)
활동분야문신 > 문신
하윤린(河允潾)
저서『호정집(浩亭集)』
공신호정사공신(定社功臣)
공신호좌명공신(佐命功臣)

[상세내용]

하륜(河崙)
1347년(충목왕 3)∼1416년(태종 16). 고려조선초의 문신. 본관은 진양(晉陽). 자는 대림(大臨), 호는 호정(浩亭). 하공진(河拱辰)의 후예로, 순흥부사 하윤린(河允潾)(주1)
진양하씨족보(晉陽河氏族譜)를 참고하여 부명 하윤린(河允燐)을 하윤린(河允潾)으로 수정함.
의 아들이다.

1360년(공민왕 9)에 국자감시(國子監試), 1365년에는 문과에 각각 합격하였다. 이인복(李仁復)이색(李穡)의 제자로, 1367년에 춘추관검열봉공(奉供)을 거쳐, 감찰규정(糾正)이 되었으나 신돈(辛旽)의 문객인 양전부사(量田副使)의 비행을 탄핵하다가 파직되었다.

그뒤 고공좌랑(考功佐郞)판도좌랑(版圖佐郞)교주찰방(交州察訪)제릉서영(諸陵署令)지평전리정랑(典理正郞)전교부령지제교(典校副令知製敎)전의부령(典儀副令)전법총랑(典法摠郞)보문각직제학판도총랑(版圖摠郞)교주도안렴사(交州道按廉使)전리총랑(典理摠郞)전교영(典校令)대사성 등의 관직을 거치고, 1380년(우왕 6) 모친상을 당하여 관직에서 물러 났다.

3년상을 마친 뒤에도 우부대언우대언전리판서밀직제학을 거쳐, 1385년에는 명나라 사신 주탁(周卓) 등을 서북면에서 영접하는 일을 맡았다.

1388년 최영(崔瑩)요동(遼東)을 공격할 때 이를 반대하다가 양주로 유배되었으나 위화도회군 이후로 복관되었다. 그리고 그해 가을 영흥군(永興君) 왕환(王環)일본으로부터 돌아왔을 때 그가 가짜임을 밝혔다가 오히려 광주(光州)울주 등지로 추방되었다.

그러나 윤이(尹彛)이초(李初)의 변이 일어나자 의혹이 풀려 1391년(공양왕 3)에 전라도 도순찰사가 되었다가 조선왕조가 건국되자 경기좌도관찰출척사가 되어 부역제도를 개편하여 전국적으로 실시하게 하였다.

또한, 신도(新都)를 계룡산으로 정하는 것을 반대하여 중지시킨 바 있으며, 1394년(태조 3)에 첨서중추원사(簽書中樞院事)가 되었으나 이듬해 부친상을 당하여 사직하였다.

그러나 곧 기복(起復)되어 예문춘추관 학사가 되었는데, 때마침 명나라와의 표전문(表箋文)시비가 일어나자 명나라의 요구대로 정도전(鄭道傳)을 보낼 것을 주장하고 스스로 명나라에 들어가 일의 전말을 상세히 보고하여 납득을 시키고 돌아왔다.

그러나 정도전의 미움을 받아 계림부윤(鷄林府尹)으로 좌천되었는데, 그때 항왜(降倭)를 도망치게 했다 하여 수원부에 안치되었다가 얼마 뒤 충청도 도순찰사가 되었다.

그는 이방원(李芳遠)을 적극 지지하여 제1차 왕자의 난으로 정종이 즉위하자 정사공신(定社功臣) 1등이 되고 정당문학(政堂文學)으로서 진산군(晉山君)에 피봉되었다.

그리고 그해 5월에 명나라 태조가 죽자 진위 겸 진향사(陳慰兼進香使)명나라에 가서 정종의 왕위계승을 승인 받아 귀국, 참찬문하부사찬성사판의흥삼군부사 겸 판상서사사문하우정승(門下右政丞)을 거쳐 진산백(晉山伯)에 봉하여졌다.

이해 태종이 즉위하자 좌명공신(佐命功臣) 1등이 되었으나 병으로 사직하였다가 영삼사사(領三司事)로서 지공거(知貢擧)가 되고 관제를 개혁하였으며, 영사평부사 겸 판호조사(領司評府事兼判戶曹事)로서 저화(楮貨)를 유통시키게 하였다.

1402년(태종 2)에 의정부좌정승 판이조사(議政府左政丞判吏曹事)로서 등극사(登極使)가 되어 명나라 성제(成帝)의 즉위를 축하하고 조선왕조의 고명인장(誥命印章)을 받아 가지고 돌아왔다.

그리하여 1405년에는 좌정승 세자사(世子師)가 되고, 다음해에는 중시독권관(重試讀券官)이 되어 변계량(卞季良) 등 10인을 뽑았다.

그뒤 영의정부사좌정승좌의정을 역임하고 1416년에 70세로 치사(致仕)하여 진산부원군(晉山府院君)이 되었다.

그는 태종의 우익으로 인사청탁을 많이 받고 통진 고양포(高陽浦)의 간척지 200여섬지기를 농장으로 착복하여 대간의 탄핵을 받았으나 공신이라 하여 묵인되었다.

치사한 뒤에도 노구를 이끌고 함경도의 능침(陵寢)을 돌아보던 중 정평군(定平郡) 아(衙)에서 죽었다.

인품이 중후, 침착, 대범하였다.

저서로는 문집 『호정집(浩亭集)』 약간권이 있다. 태종의 묘정(廟庭)에 봉안되었으며, 후대에 그를 한나라의 장자방(張子房: 張良), 송나라치규(稚圭)라 일컫기도 하였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참고문헌]

高麗史
高麗史節要
太祖實錄
定宗實錄
太宗實錄
國朝人物考
浩亭集

[집필자]

이성무(李成茂)

명 : "륜(崙)"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5曺信忠昌寧人恭愍王癸卯文科與李崇仁李穡河崙友善及禑昌廢信忠居于永川麗亡以首相薦信忠以將才辭不受丙子除江原道兵馬使兼判熙州郡事一進京師不久而退與李穡同去就
紀年便攷v6以國寳授之曰爾之所欲者㞦也今可持去上揮淚三辭而受遂開宴 上將奉爵上壽䓁密白詣樽所執爵獻壽時不可親獻宜授中官以進 上又如其言中官進爵 上王飮畢笑之由袖中探出鐵如意寘之座側
紀年便攷v6城人坰子太祖癸酉以生貟登春塲試河崙知芳碩將有事預告於 太宗仍薦安山郡守李叔蕃曰此人可屬大事盖定社之功與叔蕃之力也芳榦之亂又有功封安城君自成大功之後恃功驕傲視宰樞如僕隷君命召則称疾不徃欲除人官爵則書名於
紀年便攷v6時有匿名書非一皆謂旱氣由執政所致崙上箋請避位 上曰飛語造謗予不信卿何嫌鳥
紀年便攷v6時有匿名書非一皆謂旱氣由崙執政所致上箋請避位 上曰飛語造謗予不信卿何嫌鳥
紀年便攷v6喜怒不形素好相人太宗微時因閔霽而見曰盖天英氣吾相人多矣未有如公之甥也遂傾心結交為忠清觀察使靖安君徃餞佯醉覆饌汚御衣靖安君怒而起崙随行靖安君不顧崙随入靖安君始疑顧問曰何為崙曰王子事急矣所以覆盤者將有傾覆
紀年便攷v6霽而見曰盖天英氣吾相人多矣未有如公之甥也遂傾心結交為忠清觀察使靖安君徃餞崙佯醉覆饌汚御衣靖安君怒而起随行靖安君不顧崙随入靖安君始疑顧問曰何為崙曰王子事急矣所以覆盤者將有傾覆之患故預告之也於是引入寢室問
紀年便攷v6吾相人多矣未有如公之甥也遂傾心結交為忠清觀察使靖安君徃餞崙佯醉覆饌汚御衣靖安君怒而起崙随行靖安君不顧随入靖安君始疑顧問曰何為崙曰王子事急矣所以覆盤者將有傾覆之患故預告之也於是引入寢室問計崙曰臣受王命不
紀年便攷v6傾心結交為忠清觀察使靖安君徃餞崙佯醉覆饌汚御衣靖安君怒而起崙随行靖安君不顧崙随入靖安君始疑顧問曰何為曰王子事急矣所以覆盤者將有傾覆之患故預告之也於是引入寢室問計崙曰臣受王命不可久留仍薦李叔蕃成定社之功
紀年便攷v6行靖安君不顧崙随入靖安君始疑顧問曰何為崙曰王子事急矣所以覆盤者將有傾覆之患故預告之也於是引入寢室問計曰臣受王命不可久留仍薦李叔蕃成定社之功定宗朝策定社一等封晋山府院君太宗朝策佐命功一等壬午入相至領改官
紀年便攷v6禮部奏受太宗誥命印章以来 上賜書褒之曰卿等入奏以遺我子孫萬歲無彊之休賜宴于清和亭因旱灾有匿名書歸咎於執政所致 上曰此非宰相之過皆予否德所致丙申奉使北關奉審陵寢夢見太祖怒甚及覺而卒年七十五盖太宗定社之功
紀年便攷v6政所致 上曰此非宰相之過皆予否德所致丙申奉使北關奉審陵寢夢見太祖怒甚及覺而卒年七十五盖太宗定社之功皆所賛成故也 上臨吊素膳七日命入殯于京第謚文忠配享太宗廟庭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2010-06-17紀年便攷 6권을 참고하여 자 대림(大臨) 호 호정(浩亭)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