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최영(崔瑩)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D5CC601FFFFB1316X0
시호(諡號)무민(武愍)
생년1316(충숙왕 3)
졸년1388(우왕 14)
시대고려후기
본관동주(東州)
활동분야무신 > 명장
최원직(崔元直)
지씨(智氏)
5대조최유청(崔惟淸)
공신호도형벽상공신(圖形壁上功臣)
공신호진충분의좌명공신(盡忠奮義佐命功臣)
공신호진충분의선위좌명정란공신(盡忠奮義宣威佐命定亂功臣)
공신호안사공신(安社功臣)

[상세내용]

최영(崔瑩)
1316년(충숙왕 3)∼1388년(우왕 14). 고려의 명장‧재상. 본관은 동주(東州).

평장사(平章事) 최유청(崔惟淸)의 5세손, 사헌규정(司憲糾正) 최원직(崔元直)의 아들이다.
1. 공민왕대의 공적과 관력
풍채가 괴걸하고 힘이 뛰어났다. 처음에 양광도도순문사(楊廣道都巡問使)휘하에서 왜구를 자주 토벌하여 그 공으로 우달치(于達赤: 司門人)가 되었다.

1352년(공민왕 1)에 안우(安祐)최원(崔源) 등과 함께 조일신(趙日新)의 난을 평정하여 호군(護軍)이 되었고, 1354년에 대호군이 되었다.

이때 원나라에서 고려에 원병을 청하자 유탁(柳濯)염제신(廉悌臣) 등 40여명의 장수와 함께 군사 2,000명을 거느리고 원나라에 갔는데, 그때 원나라승상(丞相) 탈탈(脫脫) 등을 좇아 중국 고우(高郵) 등지에서 싸우고 이듬해에는 회안로(淮安路)에서 적을 막았으며 팔리장(八里庄)에서 싸워 용맹을 떨쳤다.

1355년에 원나라에서 귀국하였는데, 고려에서는 이듬해부터 배원정책(排元政策)을 쓰게 되어 서북면병마부사(西北面兵馬副使)서북면병마사 인당(印璫)과 함께 원나라에 속했던 압록강 서쪽의 8참(站)을 공격하여 파사부(婆娑府: 九連城) 등 3참을 쳐부수었다.

1357년 동북면체복사를 거쳐 이듬해 양광전라도왜구체복사(楊廣全羅道倭寇體覆使)가 되어 배 400여척으로 오예포(吾乂浦)에 침입한 왜구를 복병(伏兵)을 이용하여 격파하였다.

1359년 홍건적 4만명이 침입하여 서경을 함락시키자, 여러 장수와 함께 생양(生陽)철화(鐵和)서경함종(咸從) 등지에서 적을 무찌르고 이듬해 평양윤 겸 서북면순문사가 되었다가 다시 이듬해 서북면도순찰사(西北面都巡察使)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가 되었다.

1361년에 홍건적 10만이 다시 침입하여 개성을 함락시키자, 이듬해 안우이방실(李芳實) 등과 함께 이를 격퇴하여 개성을 수복하였으며, 그 공으로 훈 1등에 도형벽상공신(圖形壁上功臣)이 되었고 전리판서(典理判書)에 올랐다. 뒤이어 양광도진변사(楊廣道鎭邊使)를 겸하였다가 도순문사(都巡問使)를 겸하였고, 1363년에 김용(金鏞)의 난(興王寺의 變)을 평정시켜 그 공으로 훈 1등에 진충분의좌명공신(盡忠奮義佐命功臣)이 되었다. 뒤이어 판밀직사사 평리(判密直司事評理)를 거쳐 찬성사(贊成事)가 되었다.

1364년 원나라에 있던 최유(崔濡)덕흥군(德興君: 충선왕의 제3자)을 왕으로 받들고 군사 1만 명으로 압록강을 건너 선주(宣州: 지금의 宣川)에 웅거하자, 서북면도순위사(西北面都巡慰使)이성계(李成桂) 등과 함께 수주(隨州: 지금의 定州)달천(獺川)에서 싸워 물리쳤다.

동녕로만호(東寧路萬戶) 박백야대(朴伯也大)연주(延州: 지금의 雲山郡)에 침입하자, 장수를 보내어 물리쳤다.

이듬해 왜구가 교동(喬桐)강화(江華)에 침입하자 동서강도지휘사(東西江都指揮使)가 되어 동강(東江)에 나가 진수하였는데, 이때 신돈(辛旽)의 참소로 계림윤(鷄林尹)으로 좌천되었다가 귀양갔으나, 1371년 신돈이 처형되자 곧 소환되어 다시 찬성사가 되었다.

1373년 육도도순찰사(六道都巡察使)가 되었는데, 이때 군호(軍戶)를 편적(編籍)하여 전함(戰艦)을 만들게 하고 또 나이 70세 이상이 되는 자로부터 쌀을 거두어 군수(軍需)에 보충함으로써 백성들의 원망을 사기도 하였다.

이듬해 경상전라양광도도순문사가 되었는데, 이때 육도도순찰사가 되어 6도를 소동하게 하였다는 이유로 대사헌 김속명(金續命) 등의 탄핵을 받았으나, 도리어 김속명이 파면되고 진충분의선위좌명정란공신(盡忠奮義宣威佐命定亂功臣)의 호가 하사되었다.

그해 명나라가 요구하는 제주도의 말 2,000필에 대하여 제주도의 호목(胡牧)이 300필만 보내옴으로써 제주도를 치기로 되었는데, 이때 양광전라경상도도통사(楊廣全羅慶尙道都統使)가 되어 도병마사 염흥방(廉興邦)과 함께 전함 314척과 군사 2만 5,600명으로 제주도를 쳐서 평정하였다.
2. 우왕대의 공적과 관력
1375년(우왕 1)판삼사사(判三司事)가 되었고, 이듬해 왜구가 연산(連山) 개태사(開泰寺)에 침입하여 원수(元帥) 박인계(朴仁桂)가 패배하자, 늙은 몸으로 출정하기를 자원하여 홍산(鴻山: 지금의 扶餘郡)에서 왜구를 크게 무찔러 그 공으로 철원부원군(鐵原府院君)이 되었다.

1377년 도통사가 되어 강화통진(通津) 등지에 침입한 왜구를 격퇴하였는데, 이때 왕에게 말하여 교동강화의 사전(私田)을 혁파하여 군자(軍資)에 충당하게 하였다. 이무렵 왜구가 침입하여 개성을 위협하므로 도읍을 철원으로 옮기자는 논의가 있었으나, 군사로서 굳게 지킬 것을 주장하고 이를 반대하였다.

1378년 왜구가 승천부(昇天府: 지금의 豊德)에 침입하자, 이성계양백연(楊伯淵) 등과 함께 적을 크게 무찌르고 그 공으로 안사공신(安社功臣)이 되었다.

1380년 해도도통사(海道都統使)가 되어 동서강(東西江)에 나가 왜구를 막다가 병에 걸렸는데, 왕이 공을 기록한 철권(鐵券)을 내리고 공을 치하하는 교서를 내렸다.

이듬해 수시중(守侍中)이 되었고, 아버지에게는 순충아량염검보세익찬공신(純忠雅亮廉儉輔世翊贊功臣)‧벽상삼한삼중대광(壁上三韓三重大匡)판문하사(判門下事)영예문춘추관사(領藝文春秋館事)상호군(上護軍)동원부원군(東原府院君)이 증직되고, 어머니 지씨(智氏)삼한국대부인(三韓國大夫人)이 되었다. 뒤이어 영삼사사(領三司事)가 되었고, 1384년 문하시중을 거쳐 판문하부사(判門下府事)가 되었다.

1388년 다시 문하시중이 되어 왕의 밀령(密令)으로 부패와 횡포가 심하던 염흥방임견미(林堅味)와 그 일당을 숙청하였다. 그해 그의 딸이 왕비(寧妃)가 되었다.
3. 요동정벌 실패와 몰락
이때 명나라철령위(鐵嶺衛)의 설치를 통고하여 철령 이북과 이서‧이동을 요동(遼東)에 예속시키려 하자, 요동정벌을 결심하고 팔도도통사(八道都統使)가 되어 왕과 함께 평양에 가서 군사를 독려하는 한편, 좌군도통사 조민수(曺敏修), 우군도통사 이성계로 하여금 군사 3만 8,800여 명으로 요동을 정벌하게 하였으나, 이성계조민수를 달래어 위화도(威化島)에서 회군함으로써 요동정벌은 실패로 끝나고 말았다.

이렇게 위화도회군을 단행하는 이성계의 세력을 막으려 하였으나, 막대한 원정군을 지휘하는 그를 막을 수 없어 도성을 점령당하고 말았다. 이것은 고려 말기의 군벌(軍閥) 대립에 있어서 고려왕조를 수호하려는 구파 군벌이 고려왕조를 부정하려는 신진 군벌에게 패배를 당한 셈이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강용(剛勇)하고 청렴하였던 그는 이성계에게 잡혀 고향인 고봉현(高峰縣: 지금의 高陽)으로 귀양갔고, 다시 합포(合浦: 지금의 馬山)충주로 옮겼다가 공료죄(攻遼罪)로 개성으로 압송되어 순군옥(巡軍獄)에 갇힌 뒤 그해 12월에 참수(斬首)되었다. 이 소식을 들은 개성 사람들은 저자의 문을 닫고 슬퍼하였으며, 온 백성이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이성계는 새 왕조를 세우고 나서 6년만에 무민(武愍)이라는 시호를 내려 넋을 위로하였다. 개풍군(開豊郡) 덕물산(德物山)에 있는 적분(赤墳)은 바로 그의 무덤으로 무덤에 풀이 나지 않는다는 것이며, 그 산 위에 장군당(將軍堂)이 있어 무당들의 숭상의 대상이 되고 있다.

[참고문헌]

高麗史
高麗史節要
太祖實錄
崔瑩(金庠基, 朝鮮名人傳, 朝鮮日報社, 1939)
崔瑩(閔丙河, 韓國의 人間像 2, 新丘文化社, 1965)

[집필자]

민병하(閔丙河)

명 : "영(瑩)"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5安社㓛臣號
紀年便攷v5再爲侍中謝病不起至是封上都絻使印乞釋兵權禑遣廉生秀勉令視事瑩赴都堂極言諸宰相兼并之獘遂具文案禁断侵奪
紀年便攷v5瑩再爲侍中謝病不起至是封上都絻使印乞釋兵權禑遣廉生秀勉令視事赴都堂極言諸宰相兼并之獘遂具文案禁断侵奪目諸相曰署此案後復如前日乎諸默䣭然
紀年便攷v5我太祖與崔瑩入政房盡黜於廉所用之人太祖曰林廉執政日久凢
紀年便攷v5士大夫皆其所舉今但問才之賢否恶咎其旣徃不聽
紀年便攷v5泣且固摳麾下鄭承可䓁逢迎禑竟卒奪瑩志
紀年便攷v5初瑩泣且固摳麾下鄭承可䓁逢迎禑竟卒奪
紀年便攷v5太祖回軍郭忠輔䓁直入殿中索禑執瑩乎泣別瑩再拜隨
紀年便攷v5時政亂瑩當國大明通有鐵嶺建衛之舉禑与瑩决䇿倡事元之議因使我太祖攻遼時太祖威德日盛且有李氏當王之說每見忌之而無辭可罪使攻遼而淂罪於明廷欲因以除之
紀年便攷v5曺敏修領左軍我太祖領右軍發平壤衆号十萬左右軍渡鴨綠江屯威化島左右軍都絻使曺李上書陳不可犯大邦之義禑與不聽督令進兵太祖乃諭諸將曰若犯上國之境獲罪天子宗社生民之禑立至矣予以順逆上書請還師王不省臺又老耄不聽
紀年便攷v5太祖回軍郭忠輔䓁直入殿中索瑩禑執乎泣別瑩再拜隨
紀年便攷v5太祖回軍郭忠輔䓁直入殿中索瑩禑執瑩乎泣別再拜隨
紀年便攷v5謝病不出副令孔俯慨然曰吾而不謚廣平則誰敢爲之獨至典儀議謚曰荒繆李崇仁姜淮伯河崙䓁折辱之俯以詼諧對其後諌論仁任罪自俯發之
紀年便攷v5時政亂當國大明通有鐵嶺建衛之舉禑与瑩决䇿倡事元之議因使我太祖攻遼時太祖威德日盛且有李氏當王之說瑩每見忌之而
紀年便攷v5時政亂瑩當國大明通有鐵嶺建衛之舉禑与决䇿倡事元之議因使我太祖攻遼時太祖威德日盛且有李氏當王之說瑩每見忌之而無辭可罪使攻遼而淂罪於明廷欲因
紀年便攷v5正色直言不少隱左右無應者獨自歔欷而已常語人曰吾於國事中夜思之詰朝語同列則諸相無與我同心者不如致仕閑居事玄陵定亂興王驅僧北鄙逮奉上主却倭寇於昇。天以存社稷監羣㐫於今春以濟生民誠社稷之臣也然闇於大軆不顧羣
紀年便攷v5以詩吊曰奮威光國髩星星學語街童盡識名一片壮心應不死千秋永與太山橫瑩甞與我太祖聯聮太祖云三尺劒頭安社稷遽續曰一條鞭末定乾坤官至侍中封鉄城府院君謚武愍
紀年便攷v5監羣㐫於今春以濟生民誠社稷之臣也然闇於大軆不顧羣議决䇿攻遼獲罪天子幾至覆國辛禑戊辰我太祖威化囬軍後流于髙峰縣尋誅之臨刑辭色自若首已断猶植立者久之年七十三死之日都人罷市遠近聞者至于街童巷婦皆爲之流涕屍在
紀年便攷v5都人罷市遠近聞者至于街童巷婦皆爲之流涕屍在道傍行者下馬都堂賻米豆百五十石布二百五十匹墓在髙陽俗稱赤墳臨刑之日乃曰我平生若有貪欲之心則墓上生草不然則不生矣塚上果不生草尹紹宗論曰㓛盖一國罪滿天下世以爲名言
紀年便攷v5論曰㓛盖一國罪滿天下世以爲名言卞季良以詩吊曰奮威光國髩星星學語街童盡識名一片壮心應不死千秋永與太山橫甞與我太祖聯聮太祖云三尺劒頭安社稷瑩遽續曰一條鞭末定乾坤官至侍中封鉄城府院君謚武愍
紀年便攷v5王好色然必以夜不令人見忠肅王好遊然必以時不令民怨今殿下遊戯無度墮馬傷軆臣備位宰相不能匡救何靣目見人乎臨陣對敵神氣安閒矢石交於左右略無惧色戰士却一步者悉斬期以必勝以故大小百戰所向有㓛未甞一敗國頼以安人受
紀年便攷v5人情益汹王遣瑩將精兵急赴安州瑩聞命旣行率厲將卒誓必滅賊朝野恃以爲重瑩道遇亡卒斬以徇於是軍令始肅禑欲納女瑩不可曰臣女卑陋不足配至尊殿下必欲納之老臣剃髮入山矣涕泣固拒禑竟納之冊爲寧妃禑荒滛無度瑩泣諌曰忠惠
紀年便攷v5益汹王遣瑩將精兵急赴安州瑩聞命旣行率厲將卒誓必滅賊朝野恃以爲重瑩道遇亡卒斬以徇於是軍令始肅禑欲納瑩女不可曰臣女卑陋不足配至尊殿下必欲納之老臣剃髮入山矣涕泣固拒禑竟納之冊爲寧妃禑荒滛無度瑩泣諌曰忠惠王好
紀年便攷v5始肅禑欲納瑩女瑩不可曰臣女卑陋不足配至尊殿下必欲納之老臣剃髮入山矣涕泣固拒禑竟納之冊爲寧妃禑荒滛無度泣諌曰忠惠王好色然必以夜不令人見忠肅王好遊然必以時不令民怨今殿下遊戯無度墮馬傷軆臣備位宰相不能匡救何
紀年便攷v5都巡使時瘡痍未復餓莩相望瑩廣置賑濟塲給粮種勸耕農收瘞戰亡骸骨甲辰諸軍旣敗人情益汹王遣瑩將精兵急赴安州聞命旣行率厲將卒誓必滅賊朝野恃以爲重瑩道遇亡卒斬以徇於是軍令始肅禑欲納瑩女瑩不可曰臣女卑陋不足配至尊
紀年便攷v5粮種勸耕農收瘞戰亡骸骨甲辰諸軍旣敗人情益汹王遣瑩將精兵急赴安州瑩聞命旣行率厲將卒誓必滅賊朝野恃以爲重道遇亡卒斬以徇於是軍令始肅禑欲納瑩女瑩不可曰臣女卑陋不足配至尊殿下必欲納之老臣剃髮入山矣涕泣固拒禑竟
紀年便攷v5崔瑩惟清五世孫元直一云雍子丙辰生字平仲風姿魁偉膂力過人剛直忠清年十六其父臨終戒曰見金如石佩服遺訓不事產業居第湫隘服食儉素其視乘肥衣輕者如犬豕然性少戆不學無術凡事断以已意喜殺立威及其衰耗識慮
紀年便攷v5少戆不學無術凡事断以已意喜殺立威及其衰耗識慮顚錯妄興攻遼之師恭愍辛丑爲西北靣都巡使時瘡痍未復餓莩相望廣置賑濟塲給粮種勸耕農收瘞戰亡骸骨甲辰諸軍旣敗人情益汹王遣瑩將精兵急赴安州瑩聞命旣行率厲將卒誓必滅賊
紀年便攷v5恭愍辛丑爲西北靣都巡使時瘡痍未復餓莩相望瑩廣置賑濟塲給粮種勸耕農收瘞戰亡骸骨甲辰諸軍旣敗人情益汹王遣將精兵急赴安州瑩聞命旣行率厲將卒誓必滅賊朝野恃以爲重瑩道遇亡卒斬以徇於是軍令始肅禑欲納瑩女瑩不可曰臣
紀年便攷v5愍薨太后及慶復興欲立宗親仁任欲立禑遂率百官立禑仁任甞言李判三司太祖須爲國主崔瑩聞之甚怒不敢言至回軍後歎曰仁任之言是也先是有童謠云西京城外火光安州城外煙光徃來其間李元帥太祖願言救濟黔蒼以甞有德於崔瑩故辛
紀年便攷v5任之言是也先是有童謠云西京城外火光安州城外煙光徃來其間李元帥太祖願言救濟黔蒼以甞有德於崔瑩故辛禑戊辰白禑并其子弟皆免死安置京山府國人歎曰正直崔公私活老賊仁任尋死於貶所官至門下侍中辛昌之立也曺敏修請禮葬
紀年便攷v5李子松崔瑩勸禑攻遼子松詣第力言不可瑩托以林廉之黨杖流遠道辛禑戊辰殺之子松清廉國人注意復相及聞其死莫不悲之官至公山府院君禑興師
紀年便攷v5李子松崔瑩勸禑攻遼子松詣瑩第力言不可托以林廉之黨杖流遠道辛禑戊辰殺之子松清廉國人注意復相及聞其死莫不悲之官至公山府院君禑興師我太祖極言不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