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고형산(高荊山)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CE0D615C0B0B1453X0
자(字)정숙(靜叔)
시호(諡號)위열(威烈)
생년1453(단종 1)
졸년1528(중종 23)
시대조선전기
본관횡성(橫城)
활동분야문신 > 문신
고사신(高思信)

[상세내용]

고형산(高荊山)
1453년(단종 1)∼1528년(중종 23).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횡성(橫城). 자는 정숙(靜叔). 고사신(高思信)의 아들이다.

소과를 거쳐 1483년(성종 14)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이후 연산군해주목사함경도병마절도사를 지냈다. 중종강원도관찰사형조호조병조판서 등 요직을 차례로 역임하고 우찬성에 이르렀다.

1507년(중종 2) 강원도관찰사로 있을 때 부국강병을 위한 제도개혁을 상소한 바 있으나 정치성향은 대체로 보수적이었다. 조광조(趙光祖) 일파의 정치개혁을 반대하는 세력의 한 사람으로 현량과(賢良科)의 실시 등을 극력 반대하였으며, 1519년 남곤(南袞) 일파와 함께 기묘사화를 일으켜 신진세력을 축출하였다.

곧고 근검한 성품으로 수리(數理)에 밝아 행정능력이 뛰어났다.

[참고문헌]

燕山君日記
中宗實錄
大東韻府群玉
輿地圖書
朝鮮前期畿湖士林派硏究(李秉烋, 一潮閣, 1984)
高荊山의 상소문(김원각, 전통문화 1984. 7.)

[집필자]

윤용혁(尹龍爀)

성명 : "고형산(高荊山)"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06服刑訊何如傳曰其勿刑推只以欲復愼氏妄生邪議遲晩取招事判付可也○朝講領事鄭光弼知事申用漑說經任權特進官高荊山成夢井力陳朴祥等不可罪之意上不從○弘文館副提學盧思謹等請原朴祥等之罪四啓不允○義禁府朴祥等照律杖一百
郯述v03高荊山
鏡城郡邑誌(咸鏡北道), 光武十一年陰四月君兼司僕將來 李蓀 壬戌四月僉知來甲子五月同知去 高荊山 甲子南兵使來正德 元年丙寅九月同知去 黃衡 丙寅
東國續修文獻錄v1衡見相八十九河崙見相七十五李茂見相七十九崔恒見相七十九盧思愼見相八十四魚世謙見相八十一柳洵見相七十五高荊山靜叔濟州人九十一贊成李惟淸見相七十九任由謙叔讓豐川人七十二判書安潤德善卿廣州人九十一參贊鄭光弼見相七
國朝人物志v1葉以甘汁寫走肖爲王四字山蟲緣蝕成文己卯十一月十五日誘致兵曹判書李長坤與洪景舟金詮高荊山初昏入自神武門密啓搆黨禍皆衮之主張也遞鄭光弼陞衮爲左議政以金詮李惟淸充三公辛巳
國朝人物志v1停兩間及禍作同被逮獄蒙放年五十四卒諡文敬大東韻玉己卯十一月十五日初昏南衮沈貞金詮高荊山洪淑孫澍方有寧金謹思金克愊成雲尹希仁等密約而擧事時若無兵判不能號令於衛士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