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정봉수(鄭鳳壽)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815BD09C218B1572X0
자(字)상수(祥叟)
시호(諡號)양무(襄武)
생년1572(선조 5)
졸년1645(인조 23)
시대조선중기
본관하동(河東)
활동분야무신 > 무신

[관련정보]

[상세내용]

정봉수(鄭鳳壽)
1572년(선조 5)∼1645년(인조 23). 조선 중기의 무신‧의병장. 본관은 하동(河東). 자는 상수(祥叟).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하던 공부를 포기하고 무과에 급제, 선전관이 되어 왕을 호종(扈從)하여 부장(部將)이 되었으며, 사복시주부(司僕寺主簿)감찰영산현감을 지냈다.

1605년(선조 38) 무안현대장으로 흑산도 앞바다에 침입한 왜구를 참획하였다.

1627년(인조 5)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의병장에 추대되어 4,000여명의 의병을 모집, 출신(出身) 김종민(金宗敏)중군(中軍)으로 삼고 미곶첨사(彌串僉使) 장사준(張士俊)이광립(李光立) 등과 함께 정예병을 양성하며 정세를 관망하고 있었다.

이때 용골산성(龍骨山城)에는 철산(鐵山)의주 등지의 피난민이 모여 있었는데, 조정에서는 고립된 이 성을 지킬 수 없다 하여 평안도관찰사로 하여금 난민들을 산속으로 피신하게 하여 전멸의 화를 입지 않게 하려고 종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정봉수 등이 이 성을 고수할 것을 결의하자 조정에서 그에게 당상계(堂上階)를 주어 전군을 지휘하게 하였다. 그는 적에게 투항한 장사준 등을 참수하고 적의 침입에 대처하였다.

용골산성에서 많은 후금군을 살해하고 포로가 된 수천명의 백성을 구출, 그 공으로 철산부사가 되었으며, 이어 가선계(嘉善階)에 올라 용천부사 겸 조방장(龍川府使兼助防將)이 되었다. 곧 방어사(防禦使)의주부윤을 겸직하고, 적이 철수한 뒤 구성부사개천군수오위장이 되었다.

1630년 부총관으로 전라좌수사에 특제(特除)되었고, 이듬해 경상도병마절도사가 되어 가의대부(嘉義大夫)로 승계하였다. 이어 청북방어사(淸北防禦使)가 되었으며, 1634년 전라도병마절도사, 이듬해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부총관 겸 훈련도정을 역임하였다.

철산충무사(忠武祠)에 제향되었으며, 시호는 양무(襄武)이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光海君日記
仁祖實錄
國朝人物考
增補文獻備考

[집필자]

이장희(李章熙)
대표명정봉수(鄭鳳壽)
봉수(鳳壽)
성명정봉수(鄭鳳壽)
시호양무(襄武)
상수(祥叟)

성명 : "정봉수(鄭鳳壽)"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19各道勤王兵○四月初十日車駕發江都十二日車駕還都陞江華爲留守府東宮亦自湖南還○賊兵又圍龍骨山城鉄山縣監鄭鳳壽起兵討賊初諸將相繼失守鳳壽招集散卒聲言復讐人皆樂從遂整軍以待賊大至城中人殊死戰殺傷無筭事聞陞堂上除嘉
紀年便攷v20鐵山府使鄭鳳壽招募㪚卒聲言復讎人皆樂從整軍討捕斬殺屡百遂入龍骨山城諸賊屡進屡敗殺賊將三人事聞上大喜賜鳳壽嘉善階陞授
紀年便攷v22鄭鳳壽河東人宣祖壬申生字祥叟居鐵山有大將才少學經史壬辰亂投筆登武科扈駕龍灣以其勞陞監察爲靈山縣監遭喪三十年
紀年便攷v24立介立時立得立希立忠立大立起立克先顯先彰先繼先柱天希老賢老得霖仲己一門三十餘人皆以勇力雄於邊上丁卯與鄭鳳壽守龍骨山城皆有勞績或登武科或除官職後皆贈爵或旌閭獨起立柱天二人褒賞未行
紀年便攷v24二百餘步訓鍊院試場立碑表之至今稱智得男射所仁祖甲子适亂從戰鞍峴有功錄原從勳丁卯虜入宣川衆推得男爲帥與鄭鳳壽金礪器等聲勢相應屢衊虜兵又伏兵斬虜四十一級事聞賜衣資除方山萬戶病不赴與州人築劍山城虜至得男入而拒守丁
震乘總v8建之所築而變起倉卒希建棄城走每涕泣傷歎期於自效遇賊格鬪死叛人張士俊以城應賊府民倡義誅士俊推邑人前縣監鄭鳳壽爲將虜合勢來圍三胡將率數萬衆潛從山後將踰城鳳壽知其謀先伏精砲三十一時齊放三酋落馬轉崖死兵皆潰散收䤋數
震乘總v8鄭鳳壽擊却寇
震乘總v8壤中路軍又潰以此拿竄臺特赦丁好恕啓擬極律而特原之蓋念斬适使之功也○金人圍龍骨山城鄭鳳壽擊却寇鐵山縣監鄭鳳壽擊却之龍骨府使李希建之所築而變起倉卒希建棄城走每涕泣傷歎期於自效遇賊格鬪死叛人張士俊以城應賊府民倡義
記聞v5○初諸城瓦解士民波散父母妻子人不相保鐵山縣監鄭鳳壽招募散卒聲言復讐聞者樂從遂整軍埋伏討捕前後斬殺累百事聞陞堂上除授嘉山郡守自後應募日衆軍勢漸盛備糧善械
東藩大義v5守土之將不得離境姑待命令豈敢爲戰酋曰雖已定和汝兵甚盛與我一戰以決帷雄可乎答曰不敢酋遂釋之而去○鐵山人鄭鳳壽以前縣監招集散卒聲言復讐人皆樂從前後斬殺幾累百事聞陞堂上授嘉山郡守自後應募日衆入據龍骨山城義安諸鎭之
小華龜鑑v11鄭鳳壽鐵山人丁卯前以以前縣監招集散卒斬賊累百授嘉山倅軍勢漸振入據龍骨山城擊賊又大捷授防禦使初金景瑞降在虜中
小華龜鑑v11縣監招集散卒斬賊累百授嘉山倅軍勢漸振入據龍骨山城擊賊又大捷授防禦使初金景瑞降在虜中謂虜酋曰爾等往我國鄭鳳壽者不可犯也蓋景瑞龍岡人故習鳳壽智勇也鳳壽又追賊於義州斬百餘級獲馬五十匹朝廷密諭使暫避以待大軍過去鳳壽
海東外史v1鄭鳳壽 者河東府人也世居關西之鐵山府鳳壽 爲人忠厚有膽略身長七尺萬曆壬辰之役中武擧從軍有勞父死守其墓不求仕
湖南節義錄v1鄭賢輔字聖佐號東庵晉州人右議政忠莊公苯玄孫通德郞積善子文藝拔萃智力絶倫萬曆丙子生員壬辰與鄭鳳壽倡義赴崔忠毅公幕聞梨峴屯賊南下鈔掠還歸本縣設義兵廳募收兵粟遂破賊於多慶浦及朱龍江斬獲甚多賊酋夜遁沿邑
東國續修文獻錄v1亭靈光人奉事鄭谷口思竣侄尹涵坡平人魏大器大用從弟水使羅迪錦城人郡守尹誠立坡平人文明會柏軒南平人守門將鄭鳳壽靈叟日峯羅州人贈參議宋悌梅窩南陽人贈參議文後素美村南平人武主簿姜泰亨叔九山晉州人僉正鄭諶仲實逸軒羅州
國朝人物志v3焰蔽天矢石如雨淸兵死者無數乃退遴移軍都農島而守之毛文龍以軍餉濟其急送船移軍於大界島與義兵將鄭鳳壽爲掎角之勢仍奏聞於明遴乃推出身李立爲主將啓聞於朝遴持狀啓至京仁祖引見問狀卽除中部主簿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