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정윤겸(鄭允謙)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815C724ACB8B1463X0
자(字)익부(益夫)
시호(諡號)장양(莊襄)
생년1463(세조 9)
졸년1536(중종 31)
시대조선전기
본관초계(草溪)
활동분야무신 > 무신
정온(鄭溫)
공신호병충분의정국공신(秉忠奮義靖國功臣)

[관련정보]

[상세내용]

정윤겸(鄭允謙)
1463년(세조 9)∼1536년(중종 31).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초계(草溪). 자는 익부(益夫). 첨지중추부사 정온(鄭溫)의 아들이다.

일찍부터 병법을 익혔고, 1491년(성종 22) 변경을 시끄럽게 하는 야인을 토벌할 때 원수 허종(許琮)의 막하에서 활약하였다.

이듬해 무과에 급제, 훈련원에 보직되고 이어 사헌부감찰군자시주부사복시판관 등을 역임하였다.

1506년의 중종반정에 참여 그 공으로 삼등공신인 병충분의정국공신(秉忠奮義靖國功臣)에 녹훈되고 군기시첨정(軍器寺僉正)에 발탁되었다.

이듬해 공신에게 특별히 품계를 주는 예에 따라 통정대부로 당상관에 오르고, 간성군수에 임명되었으며, 4년 뒤 웅천부사로 옮겨 삼포왜란 이후의 민심수습과 복구에 힘썼다.

다시 충청도수군절도사를 거쳐 함경남도병마절도사로 임명되자 북청에 성을 쌓아 여진의 침입에 대비하였고, 1518년(중종 13) 첨지중추부사로 전보되었다가 이듬해 가선(嘉善)으로 승진, 청계군(淸溪君)에 봉하여지고 특별히 회령부사에 제수되었다.

1522년 전라도수군절도사로 기용됨에 병선과 무기를 수리하여 유사시에 대비하다가 명나라를 약탈하고 돌아가는 왜구를 격멸, 그 공로로 품계가 더하여지고 조정으로부터는 궁시(弓矢)와 의대(衣帶)가, 그리고 명나라로부터도 백금이 하사되었다.

이어 훈련원도정이 되었다가 1525년 성절사(聖節使)명나라에 다녀온 뒤 평안도병마사가 되고, 상호군을 거쳐 충청도병마사로 있을 때 무고로 인하여 횡성에 유배되었다.

그러나 곧 죄가 풀려 부총관에 서용되고, 동지중추부사를 거쳐 삼척부사가 되었다. 청렴하며 장재(將材)로 손꼽혀 30여년간 남북 변경의 장수를 역임하였다. 시호는 장양(莊襄)이다.

[참고문헌]

成宗實錄
燕山君日記
中宗實錄
國朝人物考

[집필자]

정만조(鄭萬祚)

성명 : "정윤겸(鄭允謙)"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11鄭允謙草溪人草溪君温子登武科官止兵使中宗朝策靖國㓛三等封清溪君以清白稱謚襄莊庶女蘭貞為尹元衡妾子淑䕃仕止縣
紀年便攷v11鄭允謙
國朝捷錄v01州君文簡公能文崇祿韓恂西原襄平知敦伯倫子李蓀漢山君胡簡公贊成兵使守哲子柳涇高興君武金壽卿永安君壽童弟鄭允謙淸溪君莊襄武任邊閫三十八年金敬義文山君李菡德豊君武左贊沈貞見相尹陽老坡川君靈平公武崇政貞显王后弟四等
郯述v03鄭允謙
十九功臣會盟錄勳籍 故不載於諸子之列靖國功臣成夢井 嫡長孫成夏宗鄭允謙嫡長孫鄭基廣 扈聖功臣李幼澄嫡長子李命雄許浚嫡長
鏡城郡邑誌(咸鏡北道), 光武十一年陰四月 柳庸謹 己卯六月 右旨 右承旨 來同年十二月罷 鄭允謙 庚辰正月會寧府使來壬午同知去 禹孟善 嘉靖元年壬
東國續修文獻錄v1恭簡公宋軼見上相李蓀漢山君贊成胡簡公韓恂西原君知敦襄平公姜渾晉川君崇祿文簡公柳涇高興君武金壽卿永安君鄭允謙淸溪君武莊襄公金敬義文山君李菡海豐君武沈貞左相尹陽老坡川君貞顯王后弟靈平公武
二十一功臣會盟錄n1책李徵垕 靖國功臣李菡嫡長孫通德郞臣李德恒 靖國功臣鄭允謙嫡長孫通德郞臣鄭八 柱 靖國功臣尹坦嫡長孫通德郞臣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