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허엽(許曄)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D5C8C5FDFFFFB1517X0
자(字)태휘(太輝)
호(號)초당(草堂)
생년1517(중종 12)
졸년1580(선조 13)
시대조선전기
본관양천(陽川)
활동분야문신 > 문신
허한(許瀚)
저서『초당집』
저서『전언왕행록(前言往行錄)』

[상세내용]

허엽(許曄)
1517년(중종 12)∼1580년(선조 13).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양천(陽川). 자는 태휘(太輝), 호는 초당(草堂). 군자감부봉사 허한(許瀚)의 아들이며, 허봉(許篈)허균(許筠)의 아버지이다.

진사시를 거쳐 1546년(명종 1) 식년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였다.

1551년 부교리를 거쳐 1553년 사가독서한 뒤, 장령으로 있을 때 재물을 탐한 죄로 파직되었다.

1559년 필선으로 서용되고, 이듬해 대사성에 이르렀다.

1562년 지제교를 겸하였을 때 박계현(朴啓賢)과 함께 왕의 소명을 받고 옥취정(玉翠亭)에 들어가 율시(律詩)로 화답하였다. 이해 동부승지참찬관이 되어 경연(經筵)에 참석하여 조광조(趙光祖)의 신원을 청하고 허자(許磁)구수담(具壽聃)의 무죄를 논한 사건으로 파직되었다.

1563년 삼척부사로 서용되었으나 과격한 언론 때문에 다시 파직되었다.

1568년(선조 1) 진하사(進賀使)명나라에 다녀와서 향약의 설치‧시행을 건의하였다.

1575년 부제학을 거쳐 경상도관찰사에 임명되었으나 병으로 사퇴하고, 동지중추부사의 한직에 전임되었다가 상주의 객관에서 객사하였다.

어려서 나식(羅湜)에게 『소학』『근사록』 등을 배웠고, 서경덕(徐敬德)의 문인으로 학문을 익혔으며, 노수성(盧守成)과 벗하였다. 동‧서인(東西人)의 대립시 김효원(金孝元)과 함께 동인의 영수가 되어 당시 사류의 지도급 인물이 되었다. 벼슬을 30년간이나 지냈으면서 생활이 검소하였다.

『율곡집』에 보면 이론이 모순된 점이 많고 문의(文義)에 잘 통달되지 못하였다고 하였으며, 이황(李滉)은 학문 토론에 접하여 차라리 학식이 없었다면 착한 사람이 되었을 것이라고 개탄하였다.

박순(朴淳)과는 동문이었으나 당파가 서로 달라 사이가 벌어졌고, 말년에 경상도관찰사로 있을 때 김정국(金正國)이 찬수한 『경민편(警民編)』을 보충 반포하고, 『삼강이륜행실(三綱二倫行實)』의 편찬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청백리에 녹선(錄選)되고, 개성화곡서원(花谷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초당집』『전언왕행록(前言往行錄)』 등이 있다.

[참고문헌]

明宗實錄
宣祖實錄
國朝榜目
燃藜室記述
東儒師友錄
知退堂集
栗谷全書
蘇齋集
眉巖日記
溪峰全書
南溪集

[이미지]

[집필자]

공원영(孔黿泳)

성명 : "허엽(許曄)"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08得道而其所論說皆收拾佛老緖餘實無所見識者笑其妄作但居官稍廉故聚怨亦輕只罷其職貶敀鄕里熱中飮冷發病死○許曄遆承旨尹根壽出爲果川縣監上御夜對承旨許曄玉堂上下番李遴尹根壽入侍曄啓曰趙光祖以正士爲小人所陷而死其時
國朝編年v09於跡未著之君子矣李文純公滉曰大升學問之士而但未熟矣然則恐是未熟之疵謬也而抑亦天短其年爲之何哉○大司諫許曄請設鄕約上以爲迃闊駭俗不允三司交章請行屢啓乃允○十月客星見於策星之側大於金星○以盧守愼爲吏曹判書守愼
國朝編年v10持則必還怒矣安能以數日之喜解其平生之怒乎且自古未聞畏人之怒而授以大柄者○十一月左議政朴淳謝病免淳少與許曄爲同門友相善至是曄爲少年宗主論議頗僻淳甚不韙之交道遂疎曄翕翕張議其勢甚盛淳見士類乖張力不能定遂解相職
紀年便攷v13許曄
紀年便攷v13許曄陽川人愭五世孫奉事澣子字太暉號草堂徐敬德門人尊賢下士出於至誠中宗庚子進士明宗丙午登明經科選湖堂歴銓郞
紀年便攷v14典翰舍人直學副學赴公每先於人 上聞呵辟聲輒歎曰李某之勤也歴完伯箕伯戶判兵判與奇大升尹斗壽朴素立尹根壽許曄最好所忤李芑尹元衡李樑也宣祖壬午卒官止吏判年七十三
紀年便攷v14壬申大諌許曄請設鄊約 上以為迃濶駭俗不聴至是三司交章請令八道郡邑士民皆行鄊約屢啓不已 上許之直提學李珥白上曰鄊約
紀年便攷v14義謙為害正之人由是士林前後軰不相協有朋黨之漸右沈者為西人以義謙家在白門也右金者謂東人以孝元家在駱山也許曄雖前軰而推許孝元故為東人領袖金宇顒李山海柳成龍李潑1李洁李敬中鄭仁弘皆東也朴淳有清名重望而是前軰故為
紀年便攷v14故為西人領袖鄭澈金継輝辛應時尹斗壽尹根壽洪聖民皆西也時載寧有奴殺主之獄至三省推鞫淳為委官獄久不成大諌許曄司諌金孝元以按獄失軆啓請推考淳乃謝病士林益疑孝元欲攻淳以孤義謙之勢物情甚不韙之大司憲金継暉論曄持論過
紀年便攷v14也須調和使之同寅協㳟又言趙光祖宜從祀文廟疏凢數千言 上優荅之令政院謄書一夲入內備覧焉○未幾李珥疏出而許曄李文馨徃見仁傑曰何與李珥疏相合邪仁傑曰出於珥手矣仁傑乃上疏自明曰李珥修潤臣疏矣宋之程頤代彭思永作候王
紀年便攷v16禹性傳仁烈七世孫以武經歴彦謙子為仲父䕃都事俊謙后中宗壬寅生許曄婿字景善號秋淵又淵菴李滉門人少滉四十一年與柳成龍同年生交道甚宻眼高於世間人少許可逰師門稍得善名而負才
紀年便攷v16洪可臣瀚曽孫别提昷子中宗辛丑生字興道號萬全又艮翁遊閔純李滉許曄之門宣祖即位丁卯進士辛未除参奉甲戊以才行卓異授六品官除持平掌令論事有古諍臣風歴扶餘水原壬辰倡郷人討賊
記聞v1尹潔尹春卿韓智源朴民獻沈守慶許曄柳順善金貴榮金弘度金質忠尹毅中金繼輝安璲明宗大提學申光漢
龍問門答v1少士流尊以爲主朴思庵有淸名重望而亦是前輩故指之爲義西之黨主偏於攻金者鄭松江澈也甚於疾沈者許曄也沈金角立之說自此紛紜栗谷見盧蘇齋守愼曰兩人皆士流非黑白邪正之可卞而且非眞成嫌隙必欲相害也只是
歷代帝王紀年v01許詡稠之子與六臣同死慶倬許曄太輝草堂
國朝捷錄v01南原人時傑子號惺夫乙巳冤死韓智遠士達願祖子靑蓮有三體集朴民獻號醫俗軒咸陽人監司學易於花潭沈守慶思順侄許曄字大輝草堂監司瀚子尹毅中駱村衢子有東湖對策字致遠柳順善繼仲素齋監司蒸子晉州人金貴榮見相金弘度南厓牧使
郯述v04許 曄
靑邱風雲v1多扶詡之自是沈金角立而士林先後輩遂成睽貳孝元家在駱山號東人義謙家在白門號西人東人推金孝元金宇顒許曄李山海柳成龍李潑李浩李敬中鄭仁弘等西人推沈義謙朴淳鄭澈金辛應時尹尹根壽洪聖民等是皆經術才猷一代之偉
東國續修文獻錄v1禍尹春年彥久滄海參判仁安子坡平人吏判韓智源士達都正碩祖子淸州人二相沈守慶希安聽天舍人思遜子豐山人右相許曄太暉草堂奉事澣子陽川人嶺伯柳順善繼仲參判蒸子晉州人副學金貴榮顯卿東園應武子尙州人左相平難勳金弘度重遠
國朝人物志v2易朝廷高其義欲除金吾郞公聞之輒避山寺公與羅淑諸賢爲友淑常曰堅固刻厲吾於鼎見之名卿閔箕許曄一齋李恒宗室鍾城令皆出其門以學名世東儒師友錄
國朝人物志v2判書居昌愼希復女生言愼踰弱冠慨然闢佛請誅妖僧普雨篤爲己之學眉菴柳希春草堂許曄蘇齋盧守愼之門無不追隨師事退溪多有問答丁卯生員丁丑文科歷檢閱官至吏曹判書請治郭
國朝人物志v2號秋淵丹陽人縣令彥謙子出系參奉俊謙后高麗宰臣仁烈之裔大司憲陽川許曄以女妻之弱冠親炙退陶門講論書牘盈篋辛酉進士甲子請誅妖僧普雨戊辰文科選入翰苑玉署舍人
國朝人物志v2文科官至正壬辰以東萊敎授被害同上金誠立字汝見安東人校理瞻子副提學陽川許曄壻壬午生員己丑文科正字壬辰遇害同上趙希哲字晦叔林川人承旨瑗子有孝行己
國朝人物志v3西村張雲翼果齋尹暹西坰柳根芝川黃廷彧白沙李恒福等扶沈故謂之西黨而草堂許曄東岡金宇顒鵝溪李山海蘇齋盧守愼西厓柳成龍鶴峯金誠一東岩李潑坡谷李誠中丹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