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권협(權悏){1}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AD8CD611FFFFB1553X0
자(字)사성(思省)
호(號)석당(石塘)
시호(諡號)충정(忠貞)
생년1553(명종 8)
졸년1618(광해군 10)
시대조선중기
본관안동(安東)
활동분야문신 > 문신
권상(權常)
외조부나운걸(羅云傑)
공신호선무공신

[상세내용]

권협(權悏)
1553년(명종 8)∼1618년(광해군 10).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사성(思省), 호는 석당(石塘).

부친은 동지중추부사 권상(權常)이며, 모친은 나운걸(羅云傑)의 딸이다.

1577년(선조 10) 알성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전적사예승문원춘추관 등의 벼슬을 거쳐 『명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1589년 각 도에 괴질이 발생하자 함경도에 파견되어 백성들을 돌보고 제사를 올렸다. 임진왜란 때에는 장령으로서 서울을 굳게 지킬 것을 주장하였다.

1596년에 교리시강관을 거쳐 이듬해 응교로 있을 때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고급사(告急使)명나라에 가서 사태의 시급함을 알리고 원병을 청하였다.

이때, 명나라 병부시랑 이정(李楨)이 우리나라의 지세를 알고자 하므로, 산천의 형세와 원근을 도면에 그려가며 설명하는 데 막힘이 없었으며, 이로 인해 보병과 수군을 얻고 군량을 조달하게 했다. 돌아와서 예조참판호조참판이 되었으며, 황해도관찰사로 나아갔다.

1604년 대사헌이 되었고, 특명을 받아 선무공신 3등에 봉해지고, 이듬해 길창군(吉昌君)에 봉해졌으며 전라도감사가 되었다.

1607년 예조판서를 거쳐 1609년 종묘영건을 감수한 공으로 정헌대부가 되었으나, 광해군 때에 홍문관의 탄핵을 받아 관직을 버리고 두문불출하였다. 시호는 충정(忠貞)이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國朝人物考
燃藜室記述
國朝榜目

[집필자]

이정일(李貞一)
대표명권협(權悏){1}
협(悏)
봉호길창군(吉昌君)
성명권협(權悏)
시호충정(忠貞)
사성(思省)
석당(石塘)

호 : "석당(石塘)"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寒臯觀外史v1共縛其備禦因刼其家而敓之貨兮恣毒瘧而靡懼雖是么麼小醜兮似無煩乎示怒然未浹月而變至三兮誠可疾而可惡於是石塘爰度爰思爰詢爰訪渠魁主名如指諸掌迺集官屬迺陳器仗迺授方畧迺分嚮徃密謀旣定于烏臺元惡豈逃于天網於是羣兇
寒臯觀外史v1兮化爲鴟鳶幸石塘之按莅兹土兮計出萬全雖異議之紛紛兮持志彌堅不煩一失兮不費一錢坐銷大變兮千里晏然然則若石塘者抑亦可以爲賢矣憶昔大同之變兮六師徃戰分道并進兮殺人無算攻城不下兮三月有半師老財匱兮功不補患以此較彼
寒臯觀外史v1此較彼兮孰得孰失蓋不待辨而自判也是故汲黯在朝淮南謀止范滂攬轡汙吏潛徙張綱降廣陵之盗龔遂化潢池之子以今石塘方之又何多讓于彼㢤重曰鯨鯢戮兮海不波風塵息兮邉人和䇿騘馬兮
寒臯觀外史v1家之保障兮故至于今絶東顧之憂奈何撫臣失御兮政令顛倒遂使鸞鳯與鸑鷟兮化爲鴟鳶幸石塘之按莅兹土兮計出萬全雖異議之紛紛兮持志彌堅不煩一失兮不費一錢坐銷大變兮千里晏然然則若石塘者抑亦可以爲
寒臯觀外史v33彥信號懶庵東萊人官右相言愼字寡尤號壺峯礪山人官吏判謚榮襄廷彧字景文號芝川長水人官二相謚文貞悏字思省號石塘安東人官禮判謚忠貞
國朝人物志v2字思省號石塘安東人憘弟丁丑文科行禮曹判書丁酉奉命入明請救明兵部問本國山川險夷道路經過令作圖以來公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