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당규(李堂揆)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B2F9ADDCB1625X0
자(字)기중(基仲)
호(號)퇴촌(退村)
시호(諡號)문경(文敬)
생년1625(인조 3)
졸년1684(숙종 10)
시대조선중기
본관전주(全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성구(李聖求)
안동권씨(安東權氏)
외조부권흔(權昕)

[상세내용]

이당규(李堂揆)
1625년(인조 3)∼1684년(숙종 10).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기중(基仲), 호는 퇴촌(退村). 영의정 이성구(李聖求)의 아들이며, 모친은 안동권씨(安東權氏)한림사 권흔(權昕)의 딸이다.

1650년(효종 1) 진사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 들어갔다. 같은해 동료들을 이끌고 당론문제로 상소하자 왕이 비지(批旨)를 내려 학업에만 열심히 하라고 당부하였다. 곧 문음으로 입사하여 여러 관직을 거친 뒤 1668년(현종 9) 의성현령이 되었다. 이해에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672년 홍문관수찬이 된 이래 정언이조좌랑이조정랑을 거쳐 국장도감의 낭청이 되었다. 다시 겸문학을 거쳐 1674년 동부승지에 발탁되었다.

그뒤 이조참의승지대사간부교리대사성대사헌이조참판 등의 청요직을 두루 거치면서 숙종초의 남인정권에서 많은 활약을 하였다.

1677년(숙종 3) 대제학으로 백골징포(白骨徵布)‧황구첨정(黃口簽丁)과 같은 군포(軍布)의 폐단과 서북지방의 전세(田稅) 문제에 대하여 과감한 개혁을 건의하기도 하였다.

그뒤 이조참판대사간부제학을 역임하고 1679년 함경도관찰사로 외직에 나갔다가 다음해에 이조참판이 되었으나, 경신대출척으로 파직되어 폐서인이 되었다.

1682년 직첩을 환수받았다. 시호는 문경(文敬)이다.

[참고문헌]

孝宗實錄‧顯宗實錄‧肅宗實錄
國朝榜目
燃藜室記述

[집필자]

장동익(張東翼)

성명 : "이당규(李堂揆)"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23曾孫斗緖正言爾厚子李堂揆婿字孝彥號恭齋善書畫能格物名入筆苑
紀年便攷v27旡以重國軆靖朝著矣右議政許穆上剳伸救曰壽慶以直諌聞夫誰曰壽慶以罪得罪也必以為直道見斥也於是金海一李沅李堂揆睦昌明李沃䓁或剳或啓迭請壽慶之罪而正言李瑞兩極論壽慶之直言出於率厼妄發許穆托以焚黃乞暇歸鄕上勉留不許
三官記v1李堂揆時爲北伯堂揆是敏求之姪子而與議政公爲虜中共患難者同朝之後仍與相識及聞謫行之過出見敍舊厚饋明川所在營穀
野乘v27最易為德矣李生者吾曽王考通判感興時遠宗人得官妓所生者後己丑余以評事過咸興訪問李生之後孫則已死亾盡矣○李堂揆時為业伯堂揆是敏求之侄子而與議政公虜中同患難者同朝之後仍與相識及聞謫行之過出見叙舊厚餽明川所在營榖以
郯述v04李堂揆
永寧殿修改都監儀軌놼內資寺主簿鄭興胄刑曹佐郞李壽徵戶曹佐郞李元龜正郞李堂揆訓鍊院僉正魚尙佶判官黃震文攝通禮 十員 司僕寺判官
顯宗大王實錄纂修廳儀軌宿本廳 掃除他務 專 意撰出 則庶可速成矣 參贊官李堂揆曰 我國之事 元不着 實 類多如此 自上宜有警飭之
顯宗大王實錄纂修廳儀軌堂上金錫胄之代差出事 旣已定奪 其代 以吏曹 參判李堂揆差下 今日內 令該曹兼春秋口傳下批 使之從速 察任
顯宗大王實錄纂修廳儀軌一日 實錄廳郞廳 以摠裁官意 啓曰 本廳堂上大司憲李堂揆 纔遭同氣之戚 未得肅謝新命故 不得來仕本廳 而本
顯宗大王實錄纂修廳儀軌守李觀徵.行大司成李袤.戶 曹參判李弘淵.行副提學李堂揆.吏曹參判吳始復.咸鏡監司吳 挺昌.戶曹參議李夏鎭
顯宗大王實錄纂修廳儀軌 本仕二百三日 □三房堂上仕二十三日 禮曹參判李堂揆 仕一百十日 都廳郞廳 弘文館應敎柳命賢 仕三百六
顯宗大王實錄纂修廳儀軌洪宇遠. 郞廳柳命賢.兪夏益.竝加資 堂上李觀徵.李堂揆.郞廳姜碩賓.睦林儒.吳始 大.睦昌明 各熟馬一匹
顯宗大王實錄纂修廳儀軌十二月二十二日 加出啓下 畢印出減下 吏曹參判李堂揆 丁巳三月二十四日 金錫胄遞代啓下 畢印出減下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