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장운익(張雲翼)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A5C6B4C775B1561X0
자(字)만리(萬里)
호(號)서촌(西村)
시호(諡號)정민(貞敏)
생년1561(명종 16)
졸년1599(선조 32)
시대조선중기
본관덕수(德水)
활동분야문신 > 문신
장일(張逸)

[상세내용]

장운익(張雲翼)
1561년(명종 16)∼1599년(선조 32).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만리(萬里), 호는 서촌(西村). 장일(張逸)의 아들이며, 우의정 장유(張維)의 아버지이다.

1579년(선조 12) 사마시에 합격하고, 1582년 식년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전적공조좌랑을 거쳐 고산찰방으로 좌천되었다가 예조정랑으로 돌아왔다.

선천군수로 있을 때에는 평안도 목민관으로는 으뜸가는 치적을 남겼다. 장령을 거쳐, 1591년 양양부사로 재직중 정철(鄭澈)의 일당이라 하여 온성으로 귀양갔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귀양에서 풀려나 망혜령(芒鞋嶺)을 넘어 왕을 호종하였다.

특히, 중국어에 능통하여 왕의 총애를 받았고, 이듬해 집의로서 주청사(奏請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그뒤 도승지해주목사형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1597년 정유재란 때 이조판서로서 접반사(接伴使)가 되어 명나라 제독 마귀(麻貴)를 영접하고, 그와 함께 울산싸움에 참전하였다. 후에 형조판서가 되었다. 시호는 정민(貞敏)이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國朝榜目
海東名臣錄
月沙集

[집필자]

조계찬(趙啓纘)
대표명장운익(張雲翼)
운익(雲翼)
성명장운익(張雲翼)
시호정민(貞敏)
만리(萬里)
서촌(西村)

성명 : "장운익(張雲翼)"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11觀卿上疏具見忠懇予非不欲策勵有爲而眇眇寡昧才識不逮以至于今事與心違予亦竊嘆焉當更加警省留念焉○設科取張雲翼等三十五人○冬以右贊成李珥移拜兵曹判書
國朝編年v12與凡罪人同何以爲之命議大臣回啓曰大臣有罪者鞫於三省前無可據○政院啓曰大臣推鞫無前例命更議諸大臣○掌令張雲翼持平曰惟咸啓曰伏見大司諫沈忠謙司諫吳億㱓避辭只擧鄭彦信欺罔締結之罪無一言及於斬告者之說且曰因其已著之
國朝編年v16臣本院無文籍可攷問于吏曹則其時大司諫李海壽司諫李廷立獻納李洽正言具宬李尙吉大司憲尹斗壽執義宋象賢掌令張雲翼成軾持平閔善李幼澄諫院再鞫論啓後第三日出仕同參尹論啓第六日同參云皆出於傳聞事在十餘年之前未能的知矣上
紀年便攷v18張雲翼
紀年便攷v18張雲翼玉曾孫縣監逸子朴崇元婿明宗辛酉生字萬里號西村宣祖己卯十九進士壬午魁明經科厯兩司以通才儁器称忤悻相入黨
紀年便攷v18長幾月字汝秀號休菴宣祖壬午進士庚寅登增廣厯翰林壬辰為沈守慶計倭從事丁酉以靈光郡守為道伯幕下又為接伴使張雲翼從事壬寅以大臣薦為四道調度使昏朝不參廢母議見斥十一年朴應犀獄有所失言仁祖追咎前事謪吉州五年赦還所著有
紀年便攷v21史籀體獨擅當時素喜山水有名畫古蹟羅列左右名其菴曰臥遊壬辰連爲體察使鄭澈檢察使金瓚都元帥權慄接伴使金睟張雲翼從事光海時不參廢母論遊於舁彀七年仁祖甲子難爲檢察使丁卯難上幸江都畀以留寄壬申拜右相入耆社丙子難以老病
小華龜鑑v7松江鄭澈思庵朴淳黃岡金繼輝柏潭具鳳齡梧陰尹斗壽月汀尹根壽藥圃李海壽靑蓮李後白拙翁洪聖民白麓辛應時西村張雲翼果齋尹暹西坰柳根芝川黃廷彧白沙李恒福等卽西也草堂許曄東岡金宇顒鵝溪李山海蘇齋盧守愼西崖柳成龍鶴峯金誠
龍問門答v1之人請遠竄從之鄭江界白慶興柳慶淚李三水同月兩司合啓左贊成尹根壽判中樞洪聖氏驪州牧使李海壽襄陽府使張雲翼黨付鄭澈引進奸邪請削黜從之七月兩司合啓兵判黃廷或戶判尹斗壽承旨黃赫黃海監司李山甫禮曹佐郞金權高山縣
國朝人物志v2移晉州改寘江界加棘於是洪聖民李海壽尹斗壽根壽李山甫朴漸柳拱辰白惟咸張雲翼李春英黃廷彧黃赫金權黃愼柳根李洽任鉉具等皆坐竄李誠中以同請建儲禹性傳
國朝人物志v3鳳齡梧陰尹斗壽月汀尹根壽藥圃李海壽靑蓮李後白拙翁洪聖民白麓辛應時西村張雲翼果齋尹暹西坰柳根芝川黃廷彧白沙李恒福等扶沈故謂之西黨而草堂許曄東岡金宇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