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강위빙(姜渭聘)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C15C704BE59B1569X0
자(字)백상(伯尙)
호(號)서호(西湖)
시호(諡號)충렬(忠烈)
생년1569(선조 2)
졸년1637(인조 15)
시대조선중기
본관진주(晉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저서『혜국지(惠局志)』

[상세내용]

강위빙(姜渭聘)
1569년(선조 2)∼1637년(인조 15).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백상(伯尙), 호는 서호(西湖).

증조부는 강연(姜淵)이고, 조부는 성균관진사(成均館進士) 강시(姜偲)이며, 부친은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 강응생(姜應生)이다. 외조부는 안동김씨(安東金氏[舊]) 김덕붕(金德鵬)이고, 처부는 연안이씨(延安李氏) 이지남(李至男)이다.

1603년 성균관에 입학했다가 학행으로 천거되어 희릉참봉(禧陵參奉)종묘서봉사(宗廟署奉事)순안현령(順安縣令)을 지냈다. 광해군 때 여러번 내외 관직에 보직되었으나 국정이 문란함을 보고 나아가지 않았다.

1623년 인조반정을 계기로 벼슬길에 나아가 익찬(翊贊)사어(司禦)를 거쳐 청풍군수(淸風郡守)를 지냈다.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사어(司禦)로서 뒤늦게 강화도로 가서 봉림대군(鳳林大君)인평대군(麟坪大君) 등을 배종, 호위하였다.

이듬해 강화성이 함락되자 적에게 포로가 되어 항복을 강요당하였으나 “내 목은 끊을 수 있으나 너희들 앞에 무릎은 꿇을 수 없다.” 하여 끝내 순절하였다.

1657년(효종 8) 좌승지에 추증되고, 뒤에 고향인 강화에 충신정문(忠臣旌門)이 세워졌다.

1811년(순조 11)에 다시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강화충렬사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혜국지(惠局志)』가 있다. 시호는 충렬(忠烈)이다.

[참고문헌]

孝宗實錄
純祖實錄
燃藜室記述
江華志
經山集(鄭元容)

[집필자]

차문섭(車文燮)
대표명강위빙(姜渭聘)
위빙(渭聘)
성명강위빙(姜渭聘)
시호충렬(忠烈)
백상(伯尙)

성명 : "강위빙(姜渭聘)"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20前判書李尙吉前都正沈誢前奉常寺正李時稷司僕主簿宋時榮弼善尹烇前掌令鄭百亨前承旨洪命亨前佐卽金秀南翊衛姜渭聘李惇五新及第李嘉相鐡串僉使金得男把摠李參安夢祥黃大坤哨官李嗣後旗牌官李光遠武學徐彥吉教師高義謙兵正車
紀年便攷v21姜渭聘淮仲六世孫都事應生子宣祖己巳生癸卯進士以才行薦授寢郞歷順安見光海政亂遂不就職仁祖反正除翊贊拜淸風丙子
紀年便攷v22請偕匿紫燕島中惇五曰江都廟社所在豈可捨而他適乎乃入江華見差訓鍊都監分司郞明年江都陷與尹烇李時稷宋時榮姜渭聘約同死遇賊受亂刃不屈而卒年五十三贈都承旨加贈左贊成諡忠顯
鶴塘銓攷v1重林察訪○姜渭聘李宅溥權煒
尹忠憲公實記v1蓋宋公曾筵白魯西公處義而於公節義不能詳達故也至是宋公以贊善入經筵與應敎趙公復陽同啓曰故弼善尹烇與翊衛姜渭聘李惇五等同死姜李二人則皆因其子陳疏已蒙恩典而尹烇則尙未及焉當有褒贈上允之遂有是命
尹忠憲公實記v1請行公曰吾與其見俘而受辱寧死於此遂不行至二十五日宋公先自縊李公繼之公抱屍大慟亦取其繩自縊人又解之翊衛姜渭聘李惇五共來相守二十六日敵兵盡驅城中人出公引佩刀自刺猶不死乃憤罵曰恨我刃短不能絶吭豈從汝也速殺我遂與姜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