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홍경주(洪景舟)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D64DACBDC8FCD1521X0
자(字)제옹(濟翁)
시호(諡號)도열(度烈)
생년?(미상)
졸년1521(중종 16)
시대조선전기
본관남양(南陽[唐])
활동분야문신 > 문신
홍임(洪任)
공신호정국공신(靖國功臣)
공신호정난공신(定難功臣)

[상세내용]

홍경주(洪景舟)
미상∼1521년(중종 16).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唐]). 자는 제옹(濟翁). 봉사 홍임(洪任)의 아들이며, 딸이 중종의 후궁 희빈홍씨(熙嬪洪氏)이다.

1501년(연산군 7)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홍문관정자를 거쳐, 1504년 지평에 올랐다. 연산군이 국정을 어지럽혀 민생이 도탄에 빠지자, 1506년(중종 1) 박원종(朴元宗)성희안(成希顔) 등이 중종반정을 도모할 때, 사복시첨정(司僕寺僉正)으로 신윤무(辛允武)박영문(朴永文) 등과 함께 군대 동원의 책임을 맡아 거사를 성사시켰다.

그 공으로 정국공신(靖國功臣) 1등에 책록되고 남양군(南陽君)에 봉해졌으며, 동부승지에 올랐다. 곧이어 도승지에 오르고, 품계가 자헌대부(資憲大夫)에 이르렀다.

이듬해에 이과(李顆) 등이 견성군(甄城君: 성종의 아들)을 옹립하려던 난이 일어나자 이를 처리한 공로로 정난공신(定難功臣) 2등에 다시 책록되었다. 이어 병조판서에 올라 지경연사(知經筵事)를 겸하여 경연에서 국사를 논의하였다.

그뒤 판중추부사로 잠시 옮겼다가 호조판서를 역임하고, 좌참찬좌찬성을 지냈다.

이때 조광조(趙光祖) 등 사림들이 정부 요로에 대거 등용되어 훈구세력을 비판하며, 공로 없이 정국공신에 책록된 자가 많다고 하여 그 개정을 요구하니, 1516년 그는 정국공신의 명단을 개정하는 척하면서 남곤(南袞)심정(沈貞) 등과 함께 기묘사화를 일으켜 사림을 숙청하였다.

당시 사림들이 훈구세력의 비행을 지적하면서 정국공신의 일부를 삭제하고자 하니, 남곤심정 등은 홍경주의 딸 희빈중종의 총애를 받는 것을 기화로 조광조를 모략하고, 홍경주는 훈구세력을 대표하여 조광조의 일파를 처형해야 한다고 밀고하였던 것이다. 이때 죽은 사람을 후일 기묘명현이라 하였다.

그뒤 판중추부사를 거쳐 좌찬성을 다시 역임하고, 1521년 이조판서에 이르렀다.

시호는 도열(度烈)이다.

[참고문헌]

燕山君日記
中宗實錄
新增東國輿地勝覽
國朝榜目
燃藜室記述
己卯錄

[집필자]

최완기(崔完基)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