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동언(李東彦)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B3D9C5B8B1662X0
자(字)국미(國美)
호(號)삼복재(三復齋)
생년1662(현종 3)
졸년1708(숙종 34)
시대조선중기
본관전주(全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세무(李世茂)
외조부김우(金楀)

[상세내용]

이동언(李東彦)
1662년(현종 3)∼1708년(숙종 34).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국미(國美), 호는 삼복재(三復齋). 목사 이세무(李世茂)의 아들이며, 모친은 군수 김우(金楀)의 딸이다.

1693년(숙종 19) 사마시에 합격, 같은해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문한관(文翰官)을 거쳐 1697년 성균박사가 되었고, 4년 뒤 사간원정언에 승진하였다.

이때 과거시장(科擧試場)의 문란과 대간선발의 공정을 강조하는 상소를 올렸다. 이어서 지평정언을 번갈아 역임하였는데, 이 시기 국정전반에 걸친 시정(時政)의 득실을 논하는 상소를 올리자, 왕이 ‘사정의엄(辭正義嚴)’이라 하여 이를 가납(嘉納)하였다.

그뒤 지평정언문학 등을 역임하면서 활발한 언론활동을 전개하였는데, 그 중 재상(災傷)의 피해구제책 및 파주목의 봉상시(奉常寺) 시장(柴場) 폐해의 시정책 등이 채택되었다.

1702년 북평사로 외직에 나갔는데, 다음해에 귀환하여 함경도의 행정구역관할, 청나라의 사상활동(私商活動), 말‧군사 동원 등과 같은 이 지역의 중요문제에 대한 개혁책을 상소하였다.

대간활동을 활발히 전개하였으나, 남의 미움도 많이 받게 되어, 결국 1708년 조태억(趙泰億)의 모함으로 인하여 투옥되었다. 추고관(推考官)동지의금부사 한성우(韓聖佑)의 변호도 있었지만 석방되지 못하고 옥사하였다. 다음해에 이재(李縡)의 상소로 신원(伸寃)되었다.

[참고문헌]

肅宗實錄
燃藜室記述
國朝榜目

[집필자]

장동익(張東翼)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