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김미(金亹)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AE40BBF8FFFFU9999X2
자(字)시옹(時翁)
생년?(미상)
졸년?(미상)
시대조선중기
본관삼척(三陟)
활동분야문신 > 문신
김율(金硉)

[상세내용]

김미(金亹)
생졸년 미상.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삼척(三陟). 자는 시옹(時翁).

부친은 제주목사 김율(金硉)이다.

1522년(중종 17)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이듬해 기사관이 되었다.

1525년에 대교로부터 벼슬길에 들어서 1529년 정언이 되어 국정 전반에 관한 내용을 임금에게 직간하였다.

특히, 1529년 정언으로 있으면서, 선왕인 성종 때에는 문신과 무신들이 모두 재예를 갖추어 임금의 총애를 받아 자신들의 재능을 모두 정치에 반영할 수 있었으나, 오늘의 실정이 그렇지 못한 것은 임금의 책임도 없지 않다고 직언한 바 있다.

1531년 헌납이 되었고, 이어 지평검상전한집의정주별선위사(定州別宣慰使)우승지를 거쳐 첨지중추부사 등의 관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명종초에는 『중종실록』 편찬에 참여하였으며, 1553년(명종 8)에는 호군으로도 활약하였다.

말년에는 김안로(金安老)이임(李任)허항(許沆) 등과 함께 괘방서사건(掛榜書事件)으로 인하여 파직되었다. 한어(漢語)에 밝았고 사리판단 능력이 뛰어났다고 한다.

[참고문헌]

中宗實錄
明宗實錄
國朝榜目

[집필자]

이존희(李存熙)
대표명김미(金亹)
성명김미(金亹)

성명 : "김미(金亹)"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郯述v02金 亹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