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김진성(金振聲){1}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E40C9C4C131B1892X0
호(號)소아(素我)
생년1892(고종 29)
졸년1968
시대항일기
활동분야호국 > 독립운동가
출신지평안남도 덕천
공훈건국포장

[상세내용]

김진성(金振聲)
1892년∼1968년. 독립운동가. 본명은 김필보(金弼堡), 호는 소아(素我). 평안남도 덕천 출신.

1918년 만주 하얼빈(哈爾濱)에서 한국인 2세 원(元)가이와 상의, 제1차세계대전에 참전한 한국인 2세 4백여명을 모아, 하얼빈의 러시아군 사령관 호리랏트와 교섭하여 이들을 표면적으로는 동청철도(東靑鐵道)수비를 담당하게 하면서 실제로는 독립군으로 양성하였다.

1919년 유동열(柳東悅)신영삼(申榮三)조맹선(趙孟善) 등과 함께 무장독립군을 창설하였다.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와 연락을 취하다가 12월 일본경찰에 붙잡혀 서울로 이송, 2개월간 악형과 고문을 받다가 유동열양기탁(梁起鐸)의 노력으로 석방되었다.

1920년 전라남도 광양 지방의 부호들로부터 군자금으로 6만7천원을 모금하여 신태현(申泰鉉)양기탁 등에게 전달하고, 미국 의원단이 한국을 방문할 때 살포하기 위해 삐라 1천여매를 만들었으며, 같은해 9월 고산 부호 고갑준의 아들 고정식(高貞植)을 비롯해 이순명(李順明)김한규(金漢奎) 등과 함께 고갑준을 위협하여 현금 9천6백원을 군자금으로 받아 상경하였다가, 종로경찰서의 예비검속에 걸려 10년 징역형을 언도받고 6년 8개월 동안 복역하였다.

1977년 건국포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韓國獨立史(金承學, 獨立文化社, 1965)

[집필자]

변승웅(邊勝雄)
대표명김진성(金振聲){1}
성명김진성(金振聲)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