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세영(李世永)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C138C601B1869X0
이명(異名)이세영(李世榮)
이명(異名)이유흠(李維欽)
이명(異名)이천민(李天民)
자(字)좌현(佐顯)
호(號)고광자(古狂子)
생년1869(고종 6)
졸년1938
시대조선후기
본관덕수(德水)
활동분야호국 > 의병
이민하(李敏夏)
출신지충청남도 청양
공훈건국훈장 국민장

[상세내용]

이세영(李世永)
1869년(고종 6)∼1938년. 한말의 의병장‧독립운동가. 본관은 덕수(德水). 일명 세영(世榮)유흠(維欽)천민(天民). 자는 좌현(佐顯), 호는 고광(古狂)고광자(古狂子). 충청남도 청양 출신.

내금위장 이민하(李敏夏)의 아들이다. 양헌수(梁憲洙)에게서 한학을 수학한 뒤 1889년(고종 26)에 육영공원(育英公院)에 입학하였다.

1894년 동학혁명이 일어나자 이봉학(李鳳學)과 향리에서 유회(儒會)를 설립, 스스로 약장(約長)이 되어 지방의 안정을 도모하였다.

1895년 을미사변에 격분하여 홍주에서 이인의(李寅義)와 함께 관찰사를 총대장으로 추대, 의병을 일으켰으나 이승우(李勝宇)의 간계로 패퇴하여 홍산(鴻山)으로 피신하였는데 김복한(金福漢) 등 많은 동지가 붙잡혔다.

이듬해에 황재현(黃載顯)이관(李寬)김홍제(金弘濟) 등과 남포에서 재기하였으나 실패하였고, 그뒤 군주사(軍主事)를 제수하였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1897년 대한제국군의 육군 참위(參衛), 1899년 부위(副尉), 1902년 정위(正尉)‧헌병대장서리를 지냈다.

1904년 낙향하였으며,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민종식(閔宗植)채광묵(蔡光黙)과 함께 의병봉기를 모의하였다.

1906년 의병장 민종식의 참모장으로 활약하였으나 홍주성에서 패하여 붙잡혀 황주로 종신유배되었고, 1907년 철도(鐵島)로 이배되었다가 풀려났다. 같은해 독립의군부 충청전라경상도 등 3도의 사령관에 임명되었다.

1908년 동생 이창영(李昌永)과 성명학교(誠明學校)를 설립하여 교장이 되었고, 이듬해에 대한협회 은산지회(殷山支會)를 조직, 항일활동을 하였다.

1913년 3월 독립의군부 함경평안황해도의 3도사령으로 활약하였고, 그해 6월 만주로 망명, 대종교에 입교하여 상교(尙敎)가 되었다.

1917년 6월 신흥강습소(新興講習所)소장, 그해 11월 신흥학교 교장이 되었다.

1919년 대한민국임시정부 참모부차장에 임명되었으나 이듬해 5월에 다시 만주로 건너가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교장이 되었다.

1921년 주만통군부(駐滿統軍府)사령관이 되었고, 1922년 2월에 한교교육회(韓僑敎育會)이사장, 8월에 대한통군부(大韓統軍府)군사부장, 10월에 대한통의부(大韓統義府)군사위원장이 되어 재만주 독립군의 최고 영도자가 되었다.

1923년 환인현(桓仁縣)에서 손극장(孫克章)독고 욱(獨孤旭) 등과 한교공회(韓僑公會)를 조직하여 구국활동을 계속하다가 일제의 추격을 피하여 다시 북경으로 건너갔다.

1930년 2월 북경에서 조성환(曺成煥)손일민(孫逸民) 등과 한족동맹회(韓族同盟會)를 조직하였으며, 같은해 7월에는 강구우(姜九禹) 등과 조선혁명당 제1지부를 조직하여 항일투쟁을 계속하였다.

1932년 충칭신사회(重慶新社會)부위원장, 요‧길‧흑민중후원회(遼吉黑民衆後援會)간사로 활약하였다.

1963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騎驢隨筆
武裝獨立運動秘史(蔡根植, 大韓民國公報處, 1949)
韓國獨立運動史(愛國同志援護會, 1956)
독립운동사 1‧5(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0‧1973)
독립운동사자료집 1‧2(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0)
獨立有功者功勳錄 1(國家報勳處, 1986)

[집필자]

오세창(吳世昌)
대표명이세영(李世永)
성명이세영(李世永)

성명 : "이세영(李世永)"에 대한 용례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