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홍시중(洪時中)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D64DC2DCC911U9999X0
생년?(미상)
졸년?(미상)
시대조선후기
활동분야문신 > 문신

[상세내용]

홍시중(洪時中)
생졸년 미상. 조선 말기의 문신‧학자.

1880년(고종 17) 수신사일본에 다녀온 김홍집(金弘集)황쭌셴(黃遵憲)의 저술 『조선책략(朝鮮策略)』을 국왕에게 바친 뒤 이의 사본이 널리 유포되자, 이미 1876년 개항 이래 중앙정부의 개화정책에 반대하고 전통적인 성리학적 세계관을 유지하고 있던 위정척사 계열의 유생들은 『조선책략』의 내용이 성현을 모독하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김홍집을 탄핵하고 실정을 맹렬히 공박하였다.

특히 1881년의 경상도 예안 유생 이만손(李晩孫)을 소두(疏頭)로 하는 「영남만인소(嶺南萬人疏)」는 개화정책에 대한 유생의 반대입장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상소였다. 그 결과 이만손 등이 체포되어 유배를 간 이후에도 척사파 유생들은 계속 상소를 통한 척사운동을 전개하였는데, 이때 과거에 올랐으나 아직 관직에 나아가지 못하고 있던 그는 「영남만인소」에 이어 바로 상소를 올려 개화정책을 반대하였다.

일본에 대하여 문호를 개방한 것은 실책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제 일본과 단교하면 분쟁을 초래할 위험이 있으므로 별도로 조목을 만들어 대일본 관계를 규제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첫째, 사절의 교환을 10년에 1회로 제한하였다.

둘째, 개항장 인천은 요충지이므로 그 주변의 방위를 강화하자고 하였다.

셋째, 무역을 제한하되 그 방법으로서는 내왕하는 일본선박의 수를 2, 3척으로, 교역일을 월 2회로 제한하고 교역품을 일본의 생산물로 한정하며, 서양제품의 수입을 엄금할 것을 전제로 물물교환만 허락하여 화폐의 사용을 금지하고 조선상인에게는 5할의 세금을 부여하여 일본상인과의 거래를 줄이도록 제안하였다.

넷째, 『중서견문(中西見聞)』『만국공법(萬國公法)』『공사(公史)』『신보(申報)』『흥아회잡사시(興亞會雜事詩)』『속금일초(續今日抄)』『공업육학(工業六學)』『조선책략』 등 서양을 소개한 서적이나 서양과 일본의 서적은 모두 압수하여 소각하라고 요구하였다. 이같은 상소에 대하여 조정에서는 논의 결과 내용이 무엄하다고 하여 영남만인소사건과 마찬가지로 엄히 다스리도록 결정함으로써 섬으로 유배되었다.

[참고문헌]

高宗實錄
日省錄
承政院日記

[집필자]

하원호(河元鎬)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