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은찬(李殷瓚)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C740CC2CB1878X0
이명(異名)이언찬(李諺瓚)
이명(異名)이헌찬(李憲瓚)
생년1878(고종 15)
졸년1909(융희 3)
시대항일기
본관전주(全州)
활동분야호국 > 의병
출신지강원도 원주
공훈건국훈장 대통령장

[상세내용]

이은찬(李殷瓚)
1878년(고종 15)∼1909년. 한말의 의병장. 본관은 전주(全州). 일명 언찬(諺瓚)헌찬(憲瓚). 강원도 원주 출신.

1907년 고종의 퇴위와 군대해산을 계기로 각지에서 의병이 재기하자 그해 9월 이구재(李九載)와 더불어 원주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그리고 해산군인 80명을 포함한 500명의 의병을 소모(召募)한 뒤 문경으로 이인영(李麟榮)을 찾아가 총대장이 되어줄 것을 요청하였다.

이구재와 나흘간의 간청으로 응낙을 받아내고 이인영을 대장으로 추대한 뒤 사방으로 격문을 보내어 의병모집에 진력하였는데, 원근에서 응모자가 날로 늘어갔다.

그뒤 원주를 떠나 횡성지평(砥平)춘천 등지를 전전하며, 의병규합에 진력하면서 평안도함경도를 제외한 전국 각지에 격문을 띄워 양주로 집결할 것을 촉구하였다.

이에 호응하여 양주로 집결한 의병들이 13도의병연합부대를 편성하고, 이인영원수부십삼도총대장(元帥府十三道總大將)으로 선출할 때 그의 중군이 되었다.

의병연합부대는 곧 진격을 개시하여 일거에 서울을 공략할 계획이었으나, 때마침 총대장 이인영이 부친상을 당하여 문경으로 돌아가자 작전계획에 차질을 초래하여 그가 설정한 서울 침공작전은 실패하고 말았다.

의병연합부대의 서울 침공작전이 실패로 돌아가자 같은해 12월에 소속부대를 거느리고 양근포천 방면으로 이동하여 임진강유역에서 허위(許蔿)와 손을 잡고 재차 임진강의병연합부대를 편성한 뒤, 허위를 총대장으로 추대하고 이 방면에서 크게 위세를 떨쳤다.

1908년말 허위와 김수민(金秀敏)이 일본군에게 잡혀 순국하자 이곳 의병부대는 의병 수가 적은 곳은 수십명, 많은 곳은 200명 내외의 집단으로 양주포천영평연천삭녕금천배천연안을 잇는 선내 및 해상도서에서 유격전술로 전과를 거두었다.

또, 민폐를 없애는 데 노력하여 그곳 주민들로부터 지지를 받았다.

1909년 1월 초순에 일본군의 압력이 심해지자 의병부대를 거느리고 남방의 연안 도서지방으로 이동하여, 1월 19일에는 야음을 타고 2척의 배에 분승하여 연평도 일본군파견대를 기습공격한 뒤 증산도(甑山島)로 후퇴하였다.

2월 27일에는 300명의 의병을 거느리고 양주군 석우리 북방에서 일본군과 교전하여 큰 타격을 입혔으나, 의병 또한 수십명의 희생자를 내었다.

그러자 간도로 들어가 정병을 양성한 뒤 보다 적극적인 항전을 계속할 계획을 세웠는데, 이때 서울에 있던 박노천(朴魯天)신좌균(申左均)이 이 계획을 탐지하고 군자금을 제공하겠다는 미끼로 그를 서울로 유인하였다. 그들의 말을 믿고 3월 31일 서울에 잠입하여 용산역에 나타났다가, 잠복하고 있던 일본경찰에 잡혀 1909년 경성지방법원에서 교수형을 선고받고 순국하였다.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梅泉野錄
騎驢隨筆
韓國獨立運動之血史(朴殷植, 維新社, 1920)
독립운동사 1(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0)
독립운동사자료집 3(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1)
독립운동사자료집 별집 1(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4)
抗日義兵將列傳(金義煥, 正音社, 1975)
義兵傳(尹炳奭, 韓國近代史料論, 一潮閣, 1979)
의병들의 항쟁(조동걸, 민족문화협회, 1980)

[집필자]

박광성(朴廣成)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