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인영(李麟榮)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C778C601B1867X0
이명(異名)이준영(李竣榮)
생년1867(고종 4)
졸년1909(융희 3)
시대조선후기
활동분야호국 > 의병
출신지경기도 여주
공훈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상세내용]

이인영(李麟榮)
1867년(고종 4)∼1909년. 한말의 의병장. 일명 준영(竣榮). 경기도 여주 출신.

정동현(鄭東鉉)의 문인으로 일찍이 대성전재임(大成殿齋任)을 지냈다.

1895년 을미사변으로 명성황후(明成皇后) 민씨(閔氏)가 시해되고 이어서 단발령이 내려지자, 유인석(柳麟錫)이강년(李康埏) 등의 의거에 호응하여 원주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그리고 유인석의 제천전투에 참여하기도 하였으나 별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가 경상북도 문경으로 이주하여 은둔생활을 하면서 농업에 종사하였다.

1905년 을사조약을 계기로 국권회복을 위한 의병이 전국적으로 확대되어가자 의병을 일으킬 결심을 하였으나 때마침 아버지가 병석에 누워 있었으므로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그뒤 1907년 고종의 강제퇴위, 군대해산을 계기로 의병을 재기하여 일부 해산군인과 제휴하였는데, 원주에서 의병을 일으킨 이은찬(李殷贊)이구재(李九載, 본명은 求采)가 해산군인 80명을 포함한 500명의 의병을 소모한 뒤 그를 찾아와 총대장이 되어줄 것을 요청하였다.

아버지가 병석에 누워 있어 망설였으나, 사사로써 공사를 미룰 수 있겠느냐는 그들의 간곡한 권유에 이를 수락하고 원주로 출진하여 관동창의대장(關東倡義大將)에 오른 뒤 사방으로 격문을 발하여 의병을 소모하였다.

의병의 수가 수천명에 이르자 식량과 자금의 조달이 큰 문제였는데, 반역배들의 재산을 몰수하여 이를 충당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9월에는 서울주재 각국영사관으로 사람을 밀파하여 일본의 불의를 성토하고, 의병은 순수한 애국단체이니 열강은 이를 국제법상의 전쟁단체로 인정하여 적극 성원해줄 것을 바란다는 관동창의대장 명의의 격문을 전달하기도 하였다.

원주는 교통이 불편하여 대사를 도모할만한 곳이 못 된다고 판단, 횡성지평춘천 등지를 전전하며 의병규합에 노력하면서, 평안도함경도를 제외한 각 도에 격문을 발하여 경기도 양주로 집합할 것을 촉구하였다.

격문에 호응하여 11월에는 각 도의 의병장들이 속속 양주로 집결하였으니 경기도허위(許蔿), 황해도권중희(權重熙, 일명 義熙), 충청도이강년, 강원도민긍호(閔肯鎬), 경상도신돌석(申乭石), 전라도문태수(文泰洙, 일명 泰鉉), 평안도방인관(方仁寬), 함경도정봉준(鄭鳳俊) 등이었다. 평안도함경도에는 격문을 보내지 않았는데도 방인관평안도에서 80여명, 정봉준함경도에서 70여명을 거느리고 자진 참여하였다.

이때 양주에 집결한 의병의 수는 약 1만명(또는8,000명)에 달하였는데, 그 중에 근대식 무기를 가진 진위대출신의 병사와 기타 훈련받은 군인이 약 3,000명이었다.

의병장들의 연합전략회의 결과 13도의병연합부대를 편성하여 원수부13도 총대장에 추대되어 전병력을 24진으로 하는 연합부대를 편성, 의병부대는 서로 기일을 정하고 서울 동대문 밖에 집결하여 대오를 정비한 뒤 일거에 서울을 공략할 작전계획을 세우고 진격을 개시하였다.

그런데 이 중대한 시기에 아버지의 사망 부고가 전하여져 문경으로 돌아가 아버지의 장례를 마쳤다.

그뒤에도 여러 차례 의병들이 찾아가 재기할 것을 권유하였으나 아버지의 3년상을 마친 뒤 다시 13도의 창의군을 일으켜 권토중래(捲土重來)의 세력으로 일본인을 소탕하겠다고 말하면서 그들의 권유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뒤 노모와 두 아들을 데리고 상주군에 숨어살다가 다시 충청북도 황간군 금계동으로 옮겼는데, 1909년 6월 7일 일본헌병에게 잡혀 경성감옥에서 죽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梅泉野錄
騎驢隨筆
韓國獨立運動之血史(朴殷植, 維新社, 1920)
韓國獨立運動史 1(國史編纂委員會, 1965)
독립운동사 1(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2)
의병과 독립군(윤병석,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7)
義兵傳(尹炳奭, 韓國近代史料論, 一潮閣, 1979)

[집필자]

박광성(朴廣成)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