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근수(宋近洙)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1A1ADFCC218B1818X0 |
자(字) | 근술(近述) |
호(號) | 입재(立齋) |
호(號) | 남곡(南谷) |
시호(諡號) | 문헌(文獻) |
생년 | 1818(순조 18) |
졸년 | 1903(광무 7) |
시대 | 조선후기 |
본관 | 은진(恩津)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송흠락(宋欽樂) |
생부 | 송흠학(宋欽學) |
저서 | 『송자대전수차(宋子大全隨箚)』 |

[상세내용]
송근수(宋近洙)
1818년(순조 18)∼1903년.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은진(恩津). 자는 근술(近述), 호는 입재(立齋)‧남곡(南谷).
송시열(宋時烈)의 8대손이며, 송흠학(宋欽學)의 아들로 송흠락(宋欽樂)에게 입양되었다.
1848년(헌종 14)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대사헌‧공조판서‧병조판서‧이조판서‧좌찬성‧우의정 등의 요직을 역임하였다. 좌의정이 된 뒤 1882년(고종 19) 5월 정부의 조미수호통상조약체결교섭에 반대하여 사직소를 올렸다.
이 상소에서 양교(洋敎), 즉 기독교의 폐해를 지적하고 일본 이외의 외국과의 조약체결을 반대하는 한편, 청국에 파견된 영선사(領選使)의 철환(撤還)도 주장하였다.
퇴직 후에는 봉조하(奉朝賀)가 되었으며, 저서로는 『송자대전수차(宋子大全隨箚)』가 있다. 시호는 문헌(文獻)이다.
송시열(宋時烈)의 8대손이며, 송흠학(宋欽學)의 아들로 송흠락(宋欽樂)에게 입양되었다.
1848년(헌종 14)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대사헌‧공조판서‧병조판서‧이조판서‧좌찬성‧우의정 등의 요직을 역임하였다. 좌의정이 된 뒤 1882년(고종 19) 5월 정부의 조미수호통상조약체결교섭에 반대하여 사직소를 올렸다.
이 상소에서 양교(洋敎), 즉 기독교의 폐해를 지적하고 일본 이외의 외국과의 조약체결을 반대하는 한편, 청국에 파견된 영선사(領選使)의 철환(撤還)도 주장하였다.
퇴직 후에는 봉조하(奉朝賀)가 되었으며, 저서로는 『송자대전수차(宋子大全隨箚)』가 있다. 시호는 문헌(文獻)이다.
[참고문헌]
高宗實錄
承政院日記
國朝榜目
承政院日記
國朝榜目
[이미지]
[집필자]
유영익(柳永益)
명 : "근수(近洙)"에 대한 용례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