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달(李承達)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774C2B9B2ECB1767X0 |
자(字) | 재방(在邦) |
호(號) | 수우(守愚) |
생년 | 1780(정조 4) |
졸년 | 1827(순조 27) |
시대 | 조선후기 |
본관 | 전주(全州)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이계(李溎) |

[상세내용]
이승달(李承達)
1780년(정조 4)∼1827년(순조 27).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재방(在邦), 호는 수우(守愚). 형조판서 이계(李溎)의 아들이다. 종숙인 이송(李淞)의 문하에서 수업하였다.
1803년(순조 3)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몇 번에 걸쳐 주서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다가, 1807년 원릉별검(元陵別檢)으로 처음 나아갔다.
그뒤 전적을 거쳐 병조좌랑을 지내고 정언이 되었다. 얼마 뒤에 충청도도사가 되어 충실하게 근무하였다.
1814년에는 황해도의 시관이 되어 많은 선비를 뽑았다.
시문과 글씨에 능하여 당시 예술에 관심 있는 사람들과 널리 교유하였다.
1803년(순조 3)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몇 번에 걸쳐 주서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다가, 1807년 원릉별검(元陵別檢)으로 처음 나아갔다.
그뒤 전적을 거쳐 병조좌랑을 지내고 정언이 되었다. 얼마 뒤에 충청도도사가 되어 충실하게 근무하였다.
1814년에는 황해도의 시관이 되어 많은 선비를 뽑았다.
시문과 글씨에 능하여 당시 예술에 관심 있는 사람들과 널리 교유하였다.
[참고문헌]
國朝榜目
梅山集
梅山集
[집필자]
권오호(權五虎)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