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유광천(柳匡天)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20AD11CC9CB1732X0
자(字)군필(君弼)
호(號)귀락와(歸樂窩)
생년1732(영조 8)
졸년1799(정조 23)
시대조선후기
본관서산(瑞山)
활동분야문신 > 문신
유휘소(柳輝韶)
함평이씨(咸平李氏)
조부유지채(柳之采)
증조부유익서(柳益瑞)
울산김씨(蔚山金氏)
처부김기조(金基祖)
외조부이숙빈(李淑馪)
출생지전라남도 광주(光州) 오호리(五湖里)
묘소군북(郡北) 오동촌(梧桐村)
저서『귀락와문집(歸樂窩文集)』

[상세내용]

유광천(柳匡天)
1732년(영조 8) 1월 26일∼1799년(정조 23) 1월 19일. 조선 후기 문신‧유학자. 자는 군필(君弼), 호는 귀락와(歸樂窩)이며, 본관은 서산(瑞山)이다. 전라남도 광주(光州) 오호리(五湖里)에서 출생하였다.

증조부는 나옹(懶翁) 유익서(柳益瑞)이고, 조부는 생원(生員) 유지채(柳之采)이며, 부친은 증사복시정(贈司僕寺正) 양기공(兩棄公) 유휘소(柳輝韶)이고, 모친은 함평이씨(咸平李氏) 생원 이숙빈(李淑馪)의 딸이며, 처부는 문정공(文正公) 김인후(金麟厚)의 6세손 김기조(金基祖)이다.

7세 때부터 학문을 익혀, 9세에 『논어(論語)』『맹자(孟子)』를 마쳤다.

28세 때인 1759년(영조 35) 기묘 별시(別試) 병과 6위로 급제한 뒤, 벼슬은 1779년(정조 3) 장령(掌令)을 거쳐 경성판관(鏡城判官)에 제수(除授)되고, 1786년(정조 10) 헌납(獻納), 1792년(정조 16) 사간(司諫)에 이어, 1796년(정조 20) 승지(承旨)에 이르렀다.

『정조실록(正祖實錄)』에 의하면, 1787년(정조 11) 2월 헌납(獻納) 유광천이 성군의 도리와 백성들의 구제에 대해 상소하였고, 3월에 성균관(成均館) 유생의 일과 선정(先正) 조헌(趙憲)의 후손의 녹용에 대해 건의하였으며, 12월에는 청렴한 관리의 등용 등을 들어 오늘날의 폐단을 없애기를 주청한 상소가 있다.

부인 울산김씨(蔚山金氏) 사이에 두 아들 유학(幼學) 유동식(柳東植)‧유학 유동환(柳東煥)을 두었다. 저서는 시문집 『귀락와문집(歸樂窩文集)』 16권 8책의 석판본이 있는데, 1934년 그의 5세손 유영희(柳永禧)가 연보(年譜)를 작성하고, 6세손 유병구(柳秉九)유병희(柳秉熙)가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序文)은 없고, 권말에 유병구유병희의 발문(跋文)이 있다. 잡저 가운데 「산언(散言)」은 주로 경전(經典)에 있는 은미한 말과 매우 깊은 뜻만을 발췌하여 자신의 견해를 밝힌 것으로, 국립중앙도서관에 있다.

묘지는 군북(郡北) 오동촌(梧桐村) 뒤 간좌(艮坐)의 언덕에 있다. 묘갈명(墓碣銘)은 이조판서(吏曹判書) 이조원(李肇源)이 짓고, 행장(行狀)은 정기(鄭琦)가 지었다.

[참고문헌]

전라남도지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歸樂窩文集
正朝實錄
日省錄
CD-ROM 司馬榜目

[집필자]

김동섭
수정일수정내역
2009-09-302009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