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성대중(成大中)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131B300C911B1732X0
자(字)사집(士執)
호(號)청성(靑城)
생년1732(영조 8)
졸년1809(순조 9)
시대조선후기
본관창녕(昌寧)
활동분야문신 > 문신
성효기(成孝基)
저서『청성집』

[상세내용]

성대중(成大中)
1732년(영조 8)∼1809년(순조 9).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사집(士執), 호는 청성(靑城).

부친은 찰방 성효기(成孝基)이다.

1753년(영조 29)에 생원이 되고 1756년에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그는 서얼이라는 신분적 한계 때문에 순조로운 벼슬길에 오르지 못할 처지였으나, 영조의 탕평책에 편승한 서얼들의 신분상승운동인 서얼통청운동(庶蘖通淸運動)에 힘입어 1765년 청직(淸職)에 임명되어 서얼통청의 상징적 인물이 되었다.

1763년에 통신사 조엄(趙曮)을 수행하여 일본에 다녀왔고, 1784년(정조 8)에 흥해군수(興海郡守)가 되어 목민관으로서 선정을 베풀었다.

정조의 극진한 보살핌에도 불구하고 신분적인 한계에 묶여 부사(府使)의 벼슬에 그쳤다.

학맥은 노론 성리학파 중 낙론계(洛論系)에 속하여 성리학자로서의 체질을 탈피하지는 못했으나, 당대의 시대사상으로 부각된 북학사상(北學思想)에 경도하여 홍대용(洪大容)박지원(朴趾源)이덕무(李德懋)유득공(柳得恭)박제가(朴齊家) 등과 교유하면서 이들에게 가학(家學) 및 스승 김준(金焌)에게서 전수받은 상수학적(象數學的)인 학풍을 발전적으로 계승, 전달하여 북학사상 형성에 일익을 담당하였다.

낙론계 성리학자와 북학파의 중간적 위치에 처하여, 정조대에 추진된 문체반정(文體反正)의 정책에 적극 호응하여 북학파와 다른 성향을 보이는 점도 바로 이 중간적 위치와 신분적 약점 때문으로 파악된다.

저서로는 『청성집』 10권 5책이 있다.

[참고문헌]

英祖實錄
正祖實錄
國朝人物考
朝鮮圖書解題

[집필자]

정옥자(鄭玉子)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