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송명흠(宋明欽)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1A1BA85D760B1705X0
자(字)회가(晦可)
호(號)늑천(櫟泉)
시호(諡號)문원(文元)
생년1705(숙종 31)
졸년1768(영조 44)
시대조선후기
본관은진(恩津)
활동분야문신 > 문신
송요좌(宋堯佐)
저서『늑천집』

[관련정보]

[상세내용]

송명흠(宋明欽)
1705년(숙종 31)∼1768년(영조 44).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은진(恩津). 자는 회가(晦可), 호는 늑천(櫟泉).

부친은 송요좌(宋堯佐)이며, 이재(李縡)의 문인이다.

사화를 피하여 낙향하는 아버지를 따라 옥천도곡(塗谷)송촌(宋村) 등지로 옮겨다니며 살았다. 뒤에 학행으로 추천되어 충청도도사지평장령 등이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으며, 1754년(영조 30) 특별히 서연관(書筵官)에 제수되어 별유(別諭)가 내려지기까지 하였으나 글을 올려 사양하였다.

1755년 옥과현감(玉果縣監)이 되었으나 모친상을 당하여 사직하였다.

3년상을 마친 뒤 집의승지참의 등의 벼슬이 주어졌으나 모두 글을 올려 거절하였다.

만년에 정국이 다소 안정되면서 1764년 부호군에 임명되고 찬선(贊善)으로 경연관이 되어 정치문제를 논의하는 가운데 영조의 비위에 거슬리는 발언을 하여 파직되었다.

그는 자신의 학문을 완성하기 위하여 이재민우수(閔遇洙)송사능(宋士能)김양행(金亮行)신소(申韶) 등과 서신으로 학문에 대한 의견을 교환하였다.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문원(文元)이다.

저서로는 『늑천집』이 있다.

[참고문헌]


[집필자]

권오호(權五虎)

명 : "명흠(明欽)"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東國歷代總目v02世子幸溫泉○壬午世子卒上復政諡世子曰思悼前右相趙載浩賜死甲申命世孫嗣孝章世子後○癸未召致贊善宋明欽○明欽言事不合而去儒臣洪啓能金亮行伸救竝被罪至是召致
政堂故事v6事請還收前後下敎朴聖源之兼輔德寢議事及金元行之偕來史官還寢事幷乞還收又請還收洪啓能疏還給之敎答曰放恣明欽啓能其雖參酌此等愧鬼之類決不參酌其疏給之亟施刊削之典以嚴君臣之義朴事亦官制也一臺臣焉敢干預
政堂故事v6三月三日宋明欽入侍晝講是日大風乖常同經黃仁儉時進官朴相德承旨權導玉堂李得培朴師海史官洪檢韓後樂明欽言宮家所受太濫宜減省又言宗廟宜用酒向者臺啓梟示之律導人主殺戮且尹九淵犯禁在於令前而枉殺之宜罪臺臣以謝
政堂故事v6令前而枉殺之宜罪臺臣以謝其言又言金時燦尹蓍東徐迥修宜放釋之上幷不允辭氣嚴厲朴師海言山林言雖狂率宜容之明欽曰臣但奏己之所見如此耳非欲上之必行此也上乃勉留明日宋出城還鄕止東門外以未盡之懷上疏而去其略云殿下之志
政堂故事v6禮不終莫非臣忘請之故此臣之罪也其疏斷章取義豈敢一毫有他而淵衷激惱至有不敢聞之敎以殿下天地之量獨不容一明欽乃爲此過擧耶答曰宋明欽事決非此人所爲百計伺隙之輩百般恐動釀成此事今當自強以喜聞過爲三字符幺麽曺侯何累
國朝人物志v3禁錮基普學語出口如老成髫齡能屬詩文長者命賦雉應聲云斑斑毛不白中國無聖人及長受學于櫟泉宋明欽明欽歿又事渼湖金元行元行曰櫟泉之門先數金愛黃仁燾而今見李某豈出金黃下哉行狀
國朝人物志v3字恩津人贊善明欽孫抄選經筵官歷南臺官至漢城判尹諡文敬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