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한사득(韓師得)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D55CC0ACB4DDB1689X0
자(字)계능(季能)
생년1689(숙종 15)
졸년1766(영조 42)
시대조선중기
본관청주(淸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한배상(韓配商)
외조부윤세형(尹世衡)

[상세내용]

한사득(韓師得)
1689년(숙종 15)∼1766년(영조 42).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계능(季能).

부친은 한배상(韓配商)이며, 모친은 윤세형(尹世衡)의 딸이다. 사마시에 합격한 뒤 1722년(경종 2) 알성문과에 을과로 급제하고 설서를 거쳐, 1726년(영조 2) 정언으로 재임중 붕당의 폐단을 논하는 소를 올려 내심 탕평책(蕩平策)을 실시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있던 영조로부터 신임을 얻었다.

1728년 지평이 되어 역시 활발한 언론활동을 전개하였는데, 이듬해 언로의 보장을 요구하는 과격한 소를 올려 삭직되었다가, 다시 정언으로 재서용되었으며, 이후 집의사간 등 언관직을 두루 역임하였고, 1731년 장릉(長陵)을 옮기는 데 개폐봉관(開閉封官)으로 공이 있어 가자(加資)되었다.

1734년 승지로 전임되었으며, 2년 후인 1736년 영조석곶현(石串縣)에 행차하여 친히 금군(禁軍)을 지휘하여 어영군(御營軍)을 공격하는 군사훈련을 실시하던 중 병방승지로서 어명을 잘못 전달하여 파직당하였다. 뒤에 다시 기용되어 대사간승지를 번갈아 지내고, 외보(外補)되어 영암군수영해부사를 역임하였다.

1743년 경직(京職)으로 복귀하여 다시 승지대사간을 거쳐, 병조호조참판이 되었으며, 1753년 진하 겸 사은부사연경(燕京)에 다녀왔고, 다시 형조참판으로 전직되었다가 도승지를 제수받았다.

1760년 한성부판윤으로 옮겼다가 1764년 판돈녕부사(判敦寧府事)로 치사(致仕)하였다.

70세에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는데 아들인 참판 한광조(韓光肇) 역시 뒷날 기로소에 입사하여 부자기사(父子耆社)로 세인들의 부러움을 샀다.

[참고문헌]

英祖實錄
國朝榜目
淸選考

[집필자]

이문기(李文基)
대표명한사득(韓師得)
사득(師得)
성명한사득(韓師得)

명 : "사득(師得)"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郯述v03師得再從侄七十九
長陵遷奉謄錄v1堂上皆陳所見可也錫命曰聞大臣諸臣所達之言極爲驚心矣 國家旣聞此言則不可遲延博採群議斯速遷奉似合情禮矣師得曰風水之說旣甚茫昩 帝王家固不可取信而惟此蛇蝎之患齋郞皆曰目覩則不潔莫甚於此豈可一日奉安於如此之地乎
鞠廳日記v16上曰僉言是矣上曰姜行鼎放之如何師得曰別無干連之狀而但累朔來宿終涉如何天輔曰累朔來宿而一不緊出於諸罪人之招此是可脫之端矣上曰此則知義禁之
鞠廳日記v16之事直招無妨而亦欲掩諱雖不干涉此獄事大抵與亮濟親密往來者也終不可全釋矣聖應曰蜼無可執之端全釋則不可矣師得曰掩諱之狀極涉殊常亮賊旣死則雖不可更推而島配則斷不可已也鳳祚曰道行之處之地形跡旣涉殊常雖無緊犯卽令遠
鞠廳日記v16矣上曰此則有何殊常乎聖應曰若然則渠何以觀科乎至於贖良則分明矣鳳祚曰勿論良賤旣是信任於崇家者不可全釋矣師得曰臣意亦然上曰知義禁之意如何天輔曰德海有三事湊合涉疑者崇之奴一也住接亮濟二也被告投書三也道行旣爲二次
鞠廳日記v16禁所見與予同矣若使更訊則告訐之弊必生矣聖應曰又有未拿來罪人金守一矣上曰此則亮濟旣死無可問之端放送可也師得曰拿來後一問而見其虛實亦似無妨矣在魯曰古亦有黯之壻遠配之事矣天輔曰得妾於炤家雖極恠異旣無關涉於此則別
鞠廳日記v16中似無分別矣上曰莫烈進食於炤家而匙色之變云者極殊常矣在魯曰若盡去炤家之羽翼則已不然何可以此而盡罪之乎師得曰全釋似涉如何矣鳳祚曰初雖巧詐而終無隱情之可見則此不過在渠家爲上典指使之事刑推足徵矣載敏曰雖有巧詐而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