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항(李沆){2}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774D56DFFFFD1637X0
시호(諡號)경무(景武)
생년1586(선조 19)
졸년1637(인조 15)
시대조선중기
본관함평(咸平)
활동분야무신 > 무신
이수원(李樹元)
공신호정사공신(靖社功臣)

[상세내용]

이항(李沆)
1586년(선조 19)∼1637년(인조 15).(주1)
생졸년
『국조인물고』의 최명길 찬 [이항의 비명(碑銘)]의 "나와 공이 생년이 같은 병술년(丙戌年, 1586년 선조 19)이고, 또 함께 맹약(盟約)에 참여하였다"와 "1636년(인조 14) 12월 청나라가 침범해 오자 ... 군사를 파해 진(鎭)으로 돌아가게 하니, 이 때가 바로 이듬해인 1637년(인조 15) 2월이었다. 사헌부와 사간원에서 후원하러 온 장수들이 머뭇거린 죄를 물어 공은 곽산(郭山)의 능한성(凌漢城)으로 귀양을 갔다가 몇 개월 후 병을 얻어 졸(卒)하였다." 참고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함평(咸平).

할아버지는 이염(李琰)이고, 동지중추부사 이수원(李樹元)의 아들이다.(주2)
부조명과 부 관직
『萬曆三十四[宣廟三十九]年丙午九月初十日增廣司馬榜目)』(국립중앙도서관[XG1-2005-197]) 이수원 사마시 기록에는 부명이 이수원(李樹元)으로 되어 있다. 한편 『국조인물고』의 최명길 찬 [이항의 비명(碑銘)]에는 "이염(李琰)은 좌참찬(左參贊)에 추증되었고, 참찬이 이수원(李守元)을 낳으니 음사(蔭仕)에 들어 여러 관직을 거쳐 가선대부(嘉善大夫)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가 되었다. 그 배위(配位) 김해허씨(金海許氏)는 별좌(別坐) 허임필(許霖弼)의 딸로 정부인(貞夫人)에 봉해졌으니, 이분이 공을 낳았다."로 되어 있어 부명을 이수원(李守元)으로 기록하고 있다. 부명은 사마시 급제 기록을 따른다.
1618년(광해군 10) 무과에 급제, 북방을 지켰다.

1623년(인조 1) 인조반정 때에 훈국장관(訓局將官)으로 공을 세워 당상관으로 가자되고 정사공신(靖社功臣) 3등에 책록되었으며 함녕군(咸寧君)에 봉해졌다. 장단부사가 된 뒤 계속 승진하여 내직으로는 훈련도감포도대장, 외직으로 충청도경기도함경도평안도병마절도사 등 주로 북방지방의 병사를 10년간에 3차나 역임하였다.

1636년 12월 청병의 침입으로 인조남한산성에 행행(行幸)하였을 때 종성의 행영(行營)에 있다가 청병의 침입소식을 듣고 서울로 달려왔으나 군대를 이끌고 진(鎭)에 돌아가라는 왕명을 받았다. 대간들이 서울 구원이 늦은 장수들의 죄를 추론(追論)할 때 각 도 장수들과 함께 파직되어 곽산 능한성(凌漢城)에 유배되었다가 수개월 만에 병을 얻어 사망하였다.

인조는 그가 죽자 슬퍼하며 그의 관직을 복구시켰다. 시호는 경무(景武)이다.(주3)
시호
숙종실록 1717년 8월27일 기사 "증(贈) 함녕군(咸寧君) 이항(李沆)에게 경무(景武)라는 시호를 내렸다." 참고

[주 1]생졸년 : 『국조인물고』의 최명길 찬 [이항의 비명(碑銘)]의 "나와 공이 생년이 같은 병술년(丙戌年, 1586년 선조 19)이고, 또 함께 맹약(盟約)에 참여하였다"와 "1636년(인조 14) 12월 청나라가 침범해 오자 ... 군사를 파해 진(鎭)으로 돌아가게 하니, 이 때가 바로 이듬해인 1637년(인조 15) 2월이었다. 사헌부와 사간원에서 후원하러 온 장수들이 머뭇거린 죄를 물어 공은 곽산(郭山)의 능한성(凌漢城)으로 귀양을 갔다가 몇 개월 후 병을 얻어 졸(卒)하였다." 참고
[주 2]부조명과 부 관직 : 『萬曆三十四[宣廟三十九]年丙午九月初十日增廣司馬榜目)』(국립중앙도서관[XG1-2005-197]) 이수원 사마시 기록에는 부명이 이수원(李樹元)으로 되어 있다. 한편 『국조인물고』의 최명길 찬 [이항의 비명(碑銘)]에는 "이염(李琰)은 좌참찬(左參贊)에 추증되었고, 참찬이 이수원(李守元)을 낳으니 음사(蔭仕)에 들어 여러 관직을 거쳐 가선대부(嘉善大夫)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가 되었다. 그 배위(配位) 김해허씨(金海許氏)는 별좌(別坐) 허임필(許霖弼)의 딸로 정부인(貞夫人)에 봉해졌으니, 이분이 공을 낳았다."로 되어 있어 부명을 이수원(李守元)으로 기록하고 있다. 부명은 사마시 급제 기록을 따른다.
[주 3]시호 : 숙종실록 1717년 8월27일 기사 "증(贈) 함녕군(咸寧君) 이항(李沆)에게 경무(景武)라는 시호를 내렸다." 참고

[참고문헌]

仁祖實錄
숙종실록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권60, 계해거의인(癸亥擧義人), [이항의 비명(碑銘)](崔鳴吉)

[집필자]

송정현(宋正炫)
대표명이항(李沆){2}
봉호함녕군(咸寧君)
성명이항(李沆)
시호경무(景武)
중숙(仲叔)

성명 : "이항(李沆)"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06承旨慶世昌曰今日延訪專爲太廟之災臺諫以昭陵事至五朔伏閤請復今左右大臣如出一口皆以爲可復當速快定直提學李沆曰昭陵無罪見廢誰不知之人皆以爲積年地下之冤今可雪而上不聽故人心憤鬱災異必出於太廟豈無以人心如此則天意
國朝編年v07之餘血受病故然耳敎治血之方服之如常人服其術精識由是見重於一時縉紳之士皆與之交遊同輩人忌嫉如讎己卯之變李沆爲大司憲以交結黨人拿鞫酷加屢訊拷掠無數又受杖一百流外至延曙驛而死人皆嗟嘆扁鵲倉公皆以伎術高世卒見殃禍
國朝編年v07如鬼如蜮憸邪媚嫉之類將不得肆志於太陽之下故含沙石張機弩期伺其隙而一發焉則其不爲所中者鮮矣嗚呼南袞沈貞李沆之罪可勝誅哉袞以媢嫉奸邪之魁而餙以文墨小技貞沆以貪毒兇巧之徒而听袞頤指見公議益張是非益明而賢邪之勢不
紀年便攷v22李沆從生六世孫蔭同樞守元子宣祖戊寅生字仲叔光海戊午登武科仁祖朝以長湍防禦使策靖社功三等封咸寧君歷捕將統使
記聞v1己卯秋成守琮擢第時安瑭爲命官趙靜菴金大成爲考官靜菴見試卷曰如此文藻非成守琮不能作遂取之及禍作李沆等倡言以守琮對策不成文理而用私取之衮不得下手且參榜之人皆是出入門下者兩司交章請罷其榜上難之問諸南
野乘v1竄右相李沆以沈貞代之
龍問門答v1在位號之定不定也正位有慶先事周詳之慮古今不易之論也尤翁亦上疏言之此固義理之當然也於是李玄紀睦林一李沆李允修李濟民等左右搆揑睦來善權大運閔黯沈榟李觀徵柳命天兪夏益金德遠吳始復等相與鼓煽至於己巳四月二十
紫橋小藏v1他日奸凶輩之心跡而一鏡以爲恩福生出惟上是克市徼爲說在下不敢臣之前疏中所引朱子之論微生高謂之市恩李沆之論人疏章亦用恩福者蓋恩福二字不獨用於在上者假使或如其說市之徼之自是希覬者之罪其於在上者有何一毫挨逼
國朝捷錄v01慶州人金世弼字公碩己卯被杖薰子十淸朴誾高靈人申用漑女被甲子禍時年二十六聘孫子任熙載勿庵士洪子被戊子禍李沆浩叔奸臣中廟時賜死世仁子朴祥字昌世訥齋牧使忠州人智興子李希輔安分堂醒狂門人克文子右魚世謙洪貴達成俔金
郯述v04座目未詳○以前館錄仍用而卞時益申河普朴吉應李弘淵沈世鼎林翰伯李沆任義伯九人未參閔鼎重加入
職官考v01李 沆
東國續修文獻錄v1鄭文炯奉化人道傳后李沆京山人文右政丞辛卯罪死林百齡善山人右政丞吳謙字敬夫羅州人右政丞鄭大年字景老東萊人右政丞
東國續修文獻錄v1容齋司諫宜茂子德水人左相文定金安國國卿慕齋奉事璉子義城人文衡文敬配仁廟金安老頤叔工參訢子延安人左相李沆浩叔監司世仁子京山人二相李希曾同知允儉子陜川人修撰金淨元中沖菴正郞孝貞子慶州人刑判儒林沈義義之大觀豐
東國續修文獻錄v1朴維明南原君武韓嶠西原君郡守壬辰倡義宋英望鎭南君監司李沆武統制使崔來吉完川君文工判鳴吉兄申景植靈原君牧使具仁曁綾豐府院君判敦宏子趙潝豐安君左尹李厚源完南府院
國朝人物志v3必大成其勿問光海甲寅武科歷全羅兵馬虞候仁祖丁丑爲洪原縣監以斥堠將從北兵使李沆南兵使徐佑申進陣至楊根淸兵退去朝廷命乘機追討蒙古兵北路還者至安邊南山驛與敵遌沆
二十一功臣會盟錄n1책大 長孫禦侮將軍行忠佐衛大護軍臣具聖 弼 靖社功臣李沆嫡長孫禦侮將軍行忠 佐衛大護軍臣李昌遠 靖社功臣李
(新編) 尺牘大方v1李沆爲相或譏―――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2006-06-09『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권60, 계해거의인(癸亥擧義人), [이항의 비명(碑銘)](崔鳴吉)을 참고하여 생년 및 조부명을 추가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