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유극량(劉克良)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20ADF9B7C9D1592X0
자(字)중무(仲武)
시호(諡號)무의(武毅)
생년?(미상)
졸년1592(선조 25)
시대조선중기
본관연안(延安)
활동분야무신 > 무신

[관련정보]

[상세내용]

유극량(劉克良)
미상∼1592년(선조 25). 조선 중기의 무신. 자는 중무(仲武).

연안유씨(延安劉氏)의 시조이다. 모친은 재상 홍섬(洪暹)의 노비였다.

어려서부터 고학을 하여 무과에 급제하였다. 당시의 신분제도로서는 과거에 응시할 수 없는 노비출신이었으나, 홍섬의 깊은 배려로 노비신분을 면제받았다. 여러 무관직을 거친 뒤 1591년(선조 24) 전라좌수사가 되었고, 곧 조방장(助防將)으로 전임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 죽령(竹嶺)을 방어하다가 패배하자, 군사를 영솔하여 방어사 신할(申硈)의 밑에 들어가 그 부장이 되었다. 대장 신할과, 마침 1,000명의 군졸을 이끌고 그곳에 달려온 도순찰사 한응인(韓應寅) 등과 함께 임진강을 방어하였다.

이때 임진강 남안에 이른 적병이 감히 강을 건너지 못하자, 대장 신할이 강을 건너 적을 공격하자고 하였다. 이에 대하여 그는 “적이 우리 군사를 유인하고 있으니 함부로 움직이지 말고, 5, 6일간 우리 군사의 힘을 길러 사기가 올라간 다음에 적을 치자.”고 하였다.

그러나 마침내 신할과 뜻이 같지 않다 할지라도 어찌 뒤떨어질 수 있으랴 하고, 그의 군사를 수습하여 거느리고 선봉에 서서 곧 강을 건넜다.

그러나 미처 강을 다 건너기도 전에 적의 복병이 수없이 나타나 공격해옴으로써 좌위장(左衛將) 이천(李薦)이 강 상류에서 패하고, 신할도 난군(亂軍) 중에 전사하였다.

이때 그는 강을 건너 수명의 적을 죽였으나 그도 역시 이 전투에서 전사하였다. 지용(智勇)을 겸비한 그의 전략을 무시한 결과 임진강전투가 참패로 끝난 것은 매우 애석한 일이며, 백발을 흩날리며 싸우러 나가는 모습을 바라본 군사들은 그의 충절에 모두 눈물을 흘렸다고 한다.

개성 숭절사(崇節祠)에 제향되었으며, 병조참판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무의(武毅)이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崧陽耆舊傳
國朝人物考

[집필자]

이재범(李在範)
대표명유극량(劉克良)
극량(克良)
성명유극량(劉克良)
시호무의(武毅)

명 : "극량(克良)"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編年v13兵遠來罷弊稍待休息而擧事則可以取勝應寅以爲逗遛斬數人命元以應寅來時不受自已節制故雖知不可而不敢言別將克良年老習兵力言不宜輕擧硈欲斬之克良曰吾結髮從軍豈以避死爲心所以云云者恐誤國事耳憤憤而出率其屬先渡遇賊邏
小華龜鑑v8命元知其不可而朝廷勿令受已節制故不顯言劉克良止之硈不聽克良曰大將已渡我何敢後隨渡賊大至硈渡未半而溺死克良力戰死命元應寅還行在賊遂西下○時全羅道勤王兵中路叛歸玉果衆推趙仁郉大元爲盟主據蘆嶺作亂淳昌倅金國禮獲
寒臯觀外史v61克良雪城人武兵使副元帥謚武毅
梁大司馬實紀v1初韓應寅與金命元守臨津賊無舡不得渡十餘日賊焚幕佯退申硈欲渡擊劉克良不可硈欲斬之遂追擊賊果伏精兵迎之克良硈被殺軍士匍匐受刃或自投江朴忠侃先逃應寅命元皆走守灘軍潰散五月二十七日賊渡江西下
梁大司馬實紀v1初韓應寅與金命元守臨津賊無舡不得渡十餘日賊焚幕佯退申硈欲渡擊劉克良不可硈欲斬之遂追擊賊果伏精兵迎之克良硈被殺軍士匍匐受刃或自投江朴忠侃先逃應寅命元皆走守灘軍潰散五月二十七日賊渡江西下
大事編年v7劉克良其母洪暹婢也及登武科官至榮顯母謂曰我本某家婢也克良大驚卽上京尋舊主欲陳情上疏削科還爲奴洪義之書給放良文券克良猶執主僕禮金時獻邃於易學會克良於禁直夜設危
大事編年v7渡江觀江而已賊七八人赤身舞劍而出直衝我陣伏兵一時俱發釗丸交接左右軍皆奔潰克良呼砬欲收陣而退砬不應遂死克良下馬地坐曰我死所也彎弓射賊矢盡而死諸軍亂投江岸賊奮長刀亂斫爭赴水死如風打亂葉鳳祥亦死命元應寅奔詣行在
大事編年v7洪暹婢也及登武科官至榮顯母謂曰我本某家婢也克良大驚卽上京尋舊主欲陳情上疏削科還爲奴洪義之書給放良文券克良猶執主僕禮金時獻邃於易學會克良於禁直夜設危酒生東仍及萬物生植之理劉縱談陰陽變化之竗達於天地有形之外其
大事編年v7我本某家婢也克良大驚卽上京尋舊主欲陳情上疏削科還爲奴洪義之書給放良文券克良猶執主僕禮金時獻邃於易學會克良於禁直夜設危酒生東仍及萬物生植之理劉縱談陰陽變化之竗達於天地有形之外其說不窮艾軒大驚服晨起往叩則劉驚
大事編年v7恃者江邊土兵遠來疲奬稍待休息而擧事則可以取勝應寅以爲逼遛斬數人別將劉克良年老習兵力言不宜輕擧硈欲斬之克良曰吾結髮從軍豈以避死爲心所以云云者恐誤國事耳憤憤而率其屬先渡遇賊邏騎數人斬之時命元亦言其不可而硈不從
大事編年v7祥以爲我師必勝歡呼踊躍鳳祥急渡江觀江而已賊七八人赤身舞劍而出直衝我陣伏兵一時俱發釗丸交接左右軍皆奔潰克良呼砬欲收陣而退砬不應遂死克良下馬地坐曰我死所也彎弓射賊矢盡而死諸軍亂投江岸賊奮長刀亂斫爭赴水死如風打
國朝人物志v2暹之婢也少孤學登武科歷榮顯諸公爭以將才薦母謂曰我本洪家婢也誤碎玉杯懼罪逃遇汝父生汝克良卽上京陳情欲上疏削科還賤洪相曰非也何出此言克良曰何敢背主欺君乎洪相義之放文卷給之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