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권이진(權以鎭)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D8CC774C9C4B1668X0
자(字)자정(子定)
호(號)수만헌(收漫軒)
시호(諡號)공민(恭敏)
생년1668(현종 9)
졸년1734(영조 10)
시대조선중기
본관안동(安東)
활동분야문신 > 문신
권유(權惟)
외조부송시열(宋時烈)
출신지공주
저서『유회당집』

[상세내용]

권이진(權以鎭)
1668년(헌종 9)∼1734년(영조 10).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자정(子定), 호는 유회당(有懷堂) 또는 수만헌(收漫軒). 공주 출신. 부친은 현감 권유(權惟)이며, 외조부는 송시열(宋時烈)이다. 윤증(尹拯)의 문인이다.

1693년(숙종 19) 사마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 승문원부정자가 되었다. 이어서 1698년 설서, 이듬해 지평을 거쳐 1701년에 사서가 되었고, 부수찬을 거쳐 1710년 동래부사를 역임하였다.

본래 당론으로 인하여 벼슬길이 순탄하지 못하였으나, 1721년(경종 1) 좌의정 이광좌(李光佐)의 천거로 승지에 올랐으며, 이듬해 사은부사청나라에 다녀왔다.

1728년(영조 4) 호조판서가 되어 궁중에서 민간의 전답을 매입하지 말 것과 공물을 정액 이상으로 거두지 못하게 할 것 등을 건의하였다.

1732년에는 평안도관찰사로 부임하여, 국경을 넘어와 위원군(渭原郡)에 숨어 살던 청나라 사람들을 체포할 것을 건의하는 장계를 올렸다.

글씨에도 능했으며, 사람됨이 무실(務實)하였으며 강직하였다.

저서로는 『유회당집』이 있다. 시호는 공민(恭敏)이다.

[참고문헌]

肅宗實錄
景宗實錄
英祖實錄
海左集

[집필자]

김용조(金容祚)

명 : "이진(以鎭)"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斷爛v13禍殆甚於靖康而時烈之罪有浮於安石矣噫時烈多年秉國資行威福壞亂世道陷溺人心固不一一數列雖其子孫亦豈不知以鎭之兄以鋌常以此慨恨憂歎於其祖之事而有所酬酢於先正臣尹拯以冀其針砭之功矣今以鎭則反欲掩匿而覆蓋之有若其
斷爛v13一一數列雖其子孫亦豈不知以鎭之兄以鋌常以此慨恨憂歎於其祖之事而有所酬酢於先正臣尹拯以冀其針砭之功矣今以鎭則反欲掩匿而覆蓋之有若其祖眞無疵累而枉被誣辱者然不亦可笑之甚者乎孟子之言曰名之曰幽厲雖孝子慈孫百世不
斷爛v13判若天壤則固不可謂之敬信尊慕而至於向時凶黨之終始所尊信者只惟曰時烈時烈之身後所傳法者亦惟曰向時凶黨則以鎭所以爲訂者何其不襯之甚也嗚呼昔在戊辰我殿下以先大王元子將行冊禮則一國臣民孰不延頸而彼時烈者乃敢陳箚而
斷爛v13掩匿而覆蓋之有若其祖眞無疵累而枉被誣辱者然不亦可笑之甚者乎孟子之言曰名之曰幽厲雖孝子慈孫百世不能改也以鎭何不取孟子書讀之也噫以鎭固不足責以喬岳之爲凶黨而乃敢肆然投疏作梗於斥邪之正議者一何其護惡也臣等愚見尤
斷爛v13疵累而枉被誣辱者然不亦可笑之甚者乎孟子之言曰名之曰幽厲雖孝子慈孫百世不能改也以鎭何不取孟子書讀之也噫以鎭固不足責以喬岳之爲凶黨而乃敢肆然投疏作梗於斥邪之正議者一何其護惡也臣等愚見尤有慨然於聖明者館學事體無
羹墻錄v2臣雖鄕闇未聞以贊揚成就君德也折受之弊已極而又復買入民田民何以堪上曰卿之眷眷之意則甚嘉但此非國家買之也以鎭曰雖自宮家買之宮家之主非殿下耶後日宋寅明復以爲言上曰漢帝有言予子敢與先帝子等乎卽今國用蕩竭每事撙節新
羹墻錄v2擧皆贊揚臣不勝慨然上曰所陳嘉矣然宮家折受之法自古如此卒未易釐革也至於經筵將欲成就君德卿不知先後之序矣以鎭對曰國家設法筵將以成就君德而擧皆贊揚臣雖鄕闇未聞以贊揚成就君德也折受之弊已極而又復買入民田民何以堪上
勅使日記v4兩矣以此參酌何如耶東弼曰一大通官則似多矣上曰此則給之有辭先朝時持空靑出來今又以首通官出來以此言及好矣以鎭曰二大通官亦累次出來者矣上曰注書出招首譯問二大通官吳旭周前日幾度出來其他通官亦有曾來與否可也泰溫還奏
勅使日記v4此極寒心如此時則固無所事而兩國機事只憑譯舌輩相通或有大於此者豈不可可慮乎文官漢語各别學習事申飭似好矣以鎭曰漢學教授舊以善漢語者爲之而近則專以名士有勢力者兼之矣東弼曰聞李憙習知漢語云自朝家破格爲之使之教習譯
勅使日記v4之道豈容如是乎上曰予則未及見之大臣見之乎事極駭然當該延接都監郞廳推考可也出擧條上曰例贈入給在於何時耶以鎭曰例於出軍令後給之而今番則促見單子故臣先爲出給矣上曰旣是應給之物則遲延亦無益矣今日給之何如耶台佐曰今
勅使日記v4給參酌下教好矣上曰一大通官則一千一百兩好矣而二大通官則八百兩可矣台佐曰好矣上曰次通官亦給三百兩何如耶以鎭曰使譯官觀勢加減似宜矣上曰使譯官輩私自加減則或不無操縱之獘矣我國譯官皆不能善解解漢語只有金是瑜李樞等
勅使日記v4皇帝德意有所密贈不可名以贐行可矣東弼曰名雖密贈而已成前例矣上曰丁酉上副勅則一千兩大通官則一千三百兩矣以鎭曰其時有事故如是矣上曰謄錄中亦有一千五百兩而此則太多矣上副勅則贈以一千兩通官則循例九百兩似少矣台佐曰
勅使日記v4勅則通官亦豈無希望者乎東弼曰出來者有所事則皆有所給而名雖贐行實則密贈也廷濟曰豈以規式而爲慮而必密贈耶以鎭曰規例何可不慮雖涉苟管簡稱以密贈者亦出於不得已也上曰事體則然而後獘亦不可不慮矣台佐曰權以鎭性本固執故
勅使日記v4見單子故臣先爲出給矣上曰旣是應給之物則遲延亦無益矣今日給之何如耶台佐曰今日給之則有給於促去姑待之好矣以鎭曰聞有欲見之意故已送件記矣上曰贈給之物今日使之待令矣右相所達臨去時出給之言是矣分付都監及尙方更待下教
勅使日記v4情而數次請留卽許四日之留其不誠實可知矣姑未知末梢之無事而今則姑無生梗之意我國接待之道亦可以好意待之矣以鎭曰時無别求請而上勅家丁求夏衣故雖無别前例亦欲製給矣上曰使之善製以給可也勅使可謂良順矣今見所乘轎子以全
國朝人物志v3壬子卒贈參贊人物考子愭字伯仁號無愁翁顯宗乙巳文科右尹惟縣監惟子以鎭字子定號漫軒肅宗癸酉進士甲戌文科戶曹判書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