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학천(羅學川)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B098D559CC9CB1658X0 |
자(字) | 사도(師道) |
호(號) | 창주(滄洲) |
생년 | 1658(효종 9) |
졸년 | 1731(영조 7) |
시대 | 조선중기 |
본관 | 수성(壽城)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나수성(羅壽星) |
생부 | 나수종(羅壽宗) |
출신지 | 영주 |
[상세내용]
나학천(羅學川)
1658년(효종 9)∼1731년(영조 7).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수성(壽城). 자는 사도(師道), 호는 창주(滄洲). 영주 출신.
부친은 첨지중추부사 나수종(羅壽宗)이며, 통덕랑(通德郞) 나수성(羅壽星)에게 입양되었다.
1682년(숙종 8)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1688년 전적을 거쳐 병조좌랑‧강원도도사를 역임하고, 1690년 지평‧정언‧면천군수(沔川郡守)‧울산부사‧예빈시정‧인동부사‧판교(判校)‧서천군수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
영조가 즉위한 뒤 노론(老論)의 일파로 시론(時論)을 진언하여 민생의 어려움과 군비의 소홀함 등을 지적하였고, 1725년(영조 1) 사성‧필선‧보덕‧사간을 거쳐 승지‧병조참지‧우부승지에 이르러 영조가 탕평책에 대한 근본적인 생각을 바꾸려고 하였다.
즉, 영조는 탕평책을 위하여 시비를 가리는 것까지도 거론하지 못하게 하자, 사색을 논하는 당론이 아닐 경우인 역적을 토척한다든가 의리를 밝힌다든가 하는 일은 권장하여야 하며, 역적 김일경(金一鏡)일파의 예를 들어 모역자들은 엄벌에 처하여야 한다고 권고하고 있다.
1727년에 좌부승지에 제수되자 나이 칠십을 이유로 극구 사양하다가 좌승지‧형조참의가 되었다. 그때 영남에 이인좌(李麟佐)의 난이 일어나자 북관(北關)사람들이 그를 난적(亂賊)으로 몰아 파직시키자, 고향에 내려가 있다가 난이 평정된 뒤 1729년 다시 병조참지가 되었다.
이어 비록 영남사람이기는 하나 김일경과는 다르다는 변무소(辨誣疏)를 올렸다. 성품이 강직하고 자신을 지키는 태도가 확고하여, 당시의 당론에 휩쓸리지 않고 독보적인 존재로 정명의리론(正明義理論)을 주장하였다.
부친은 첨지중추부사 나수종(羅壽宗)이며, 통덕랑(通德郞) 나수성(羅壽星)에게 입양되었다.
1682년(숙종 8)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1688년 전적을 거쳐 병조좌랑‧강원도도사를 역임하고, 1690년 지평‧정언‧면천군수(沔川郡守)‧울산부사‧예빈시정‧인동부사‧판교(判校)‧서천군수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
영조가 즉위한 뒤 노론(老論)의 일파로 시론(時論)을 진언하여 민생의 어려움과 군비의 소홀함 등을 지적하였고, 1725년(영조 1) 사성‧필선‧보덕‧사간을 거쳐 승지‧병조참지‧우부승지에 이르러 영조가 탕평책에 대한 근본적인 생각을 바꾸려고 하였다.
즉, 영조는 탕평책을 위하여 시비를 가리는 것까지도 거론하지 못하게 하자, 사색을 논하는 당론이 아닐 경우인 역적을 토척한다든가 의리를 밝힌다든가 하는 일은 권장하여야 하며, 역적 김일경(金一鏡)일파의 예를 들어 모역자들은 엄벌에 처하여야 한다고 권고하고 있다.
1727년에 좌부승지에 제수되자 나이 칠십을 이유로 극구 사양하다가 좌승지‧형조참의가 되었다. 그때 영남에 이인좌(李麟佐)의 난이 일어나자 북관(北關)사람들이 그를 난적(亂賊)으로 몰아 파직시키자, 고향에 내려가 있다가 난이 평정된 뒤 1729년 다시 병조참지가 되었다.
이어 비록 영남사람이기는 하나 김일경과는 다르다는 변무소(辨誣疏)를 올렸다. 성품이 강직하고 자신을 지키는 태도가 확고하여, 당시의 당론에 휩쓸리지 않고 독보적인 존재로 정명의리론(正明義理論)을 주장하였다.
[참고문헌]
肅宗實錄
英祖實錄
純祖實錄
國朝榜目
悔軒集
英祖實錄
純祖實錄
國朝榜目
悔軒集
[집필자]
박정자(朴定子)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