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정제두(鄭齊斗)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815C81CB450B1649X0
자(字)사앙(士仰)
호(號)하곡(霞谷)
시호(諡號)문강(文康)
생년1649(인조 27)
졸년1736(영조 12)
시대조선중기
본관영일(迎日)
활동분야학자 > 유생
정상징(鄭尙徵)
한산이씨(韓山李氏)
조부정유성(鄭維城)
외조부이기조(李基祚)
출생지서울
저서『학변(學辨)』
저서『존언(存言)』
저서『중용설』
저서『대학설』
저서『논어설』
저서『맹자설』
저서『삼경차록(三京箚錄)』
저서『경학집록』
저서『하락역상(河洛易象)』
저서『심경집의(心經集義)』
저서『정성서해(定性書解)』
저서『통서해(通書解)』

[관련정보]

[상세내용]

정제두(鄭齊斗)
1649년(인조 27)∼1736년(영조 12). 조선 후기의 유학자‧양명학자. 본관은 영일(迎日). 자는 사앙(士仰), 호는 하곡(霞谷).
1. 가계 및 관력
정몽주(鄭夢周)의 후손으로, 우의정 정유성(鄭維城)의 손자이고, 진사 정상징(鄭尙徵)의 아들이며, 모친은 한산이씨(韓山李氏)호조판서 이기조(李基祚)의 딸이다.

서울에서 출생하여 어려서는 이상익(李商翼)에게 수학하였다. 몇 차례 과거시험에 실패한 뒤에 24세 때부터는 과거공부를 그만둔 다음 학문연구에만 전념하였다.

32세 때는 영의정 김수항(金壽恒)이 천거하여 사포서별제(司圃署別提)에 임명되었고, 그뒤 종부시주부공조좌랑에 임명되었다.

40세 때는 평택현감에 임명되고 그뒤 서연관(書筵官)을 비롯하여 상령군수종부시주부사헌부장령사헌부집의에 임명되었다.

61세 때 강화도 하곡(霞谷)으로 옮겨 살았으며, 호조참의강원도관찰사동지중추부사한성부좌윤에 임명되었다.

74세에는 사헌부대사헌이조참판에 임명되고 그뒤 성균관좨주사헌부대사헌에 임명되었다.

78세 때는 이정박(李廷撲)이 조정에서 그가 양명학을 한다고 배척하였으나 영조의 보호를 받았으며, 80세에 의정부우참찬, 88세에는 세자이사(世子貳師)로 임명되었다.
2. 학풍
20여세 때부터 박세채(朴世采)를 스승으로 섬기며 수학하였고, 처음에는 주자학을 공부하였으나 일찍부터 양명학에 심취하였다.

당시의 도학은 정통주의적 신념에서 양명학을 이단으로 배척하였으나, 그는 자신의 확고한 신념으로 양명학의 이해를 체계화시키고 양명학파를 확립하였다.

그는 당시에 주자학의 권위주의적 학풍에 대하여 학문적 진실성에서 비판하면서, “오늘날에 주자의 학문을 말하는 자는 주자를 배우는 것이 아니라 곧 주자를 핑계대는 것이요, 주자를 핑계대는 데에서 나아가 곧 주자를 억지로 끌어다 붙여서 그 뜻을 성취시키며, 주자를 끼고 위엄을 지어서 사사로운 계책을 이루려는 것이다.”라고 지적하고 있다.

그는 송시열(宋時烈)과의 서한을 통하여 경전의 뜻과 처신의 의리문제에 관한 논의를 펼치고 있으며, 스승 박세채를 비롯하여 윤증(尹拯)최석정(崔錫鼎)민이승(閔以升)박심(朴鐔) 등 스승과 벗들 사이의 왕복편지를 통하여 양명학의 문제를 토론하고 있다.

치양지설(致良知說)이나 지행합일설(知行合一說)에서 양명학의 견해를 받아들여서 『학변(學辨)』『존언(存言)』 등의 저술을 남겼다. 박세채는 「왕양명학변(王陽明學辨)」을 지어 양명학을 비판하여 그가 양명학을 버리도록 종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정제두는 “왕씨(王守仁)의 학설에 애착을 가지는 것이 만약 남보다 특이한 것을 구하려는 사사로운 마음에서 나온 것이라면 결연히 끊어버리기도 어려운 바가 아닙니다.

그러나 우리가 학문하는 것은 무엇을 위한 것입니까? 성인의 뜻을 찾아서 실지로 얻음이 있고자 할 뿐입니다.”라고 하여 결연한 자세를 보여주었다.

특히, 민이승과는 여러 차례 만나서 토론을 벌이거나 서한을 통하여 조목별로 심즉리(心卽理)‧치양지‧지행합일‧친민(親民) 등 양명학의 문제들에 관한 논란을 전개함으로써 양명학과 주자학의 두 견해의 본격적인 토론을 전개하였다.

민이승에게 왕수인의 글을 초록하여 제시하기도 하고, 「양지체용도(良知體用圖)」와 「여명체용도(麗明體用圖)」를 그려서 양명학의 심성론 내지 양지론의 도상적 표현을 시도하기도 하였다.

그는 왕수인의 심즉리설을 받아들여 주자의 마음〔心〕과 이(理)를 구별하는 견해를 비판한다. 마음과 이의 일치뿐만 아니라 이와 기(氣)의 이원화도 거부하고 이기합일론의 입장을 취하였다.

이처럼 이가 마음과 일치되어 마음 밖에 이가 따로 존재할 수 없게 되기에 이가 공허하지 않고 실실이 있게 됨을 주장하였다.

양지의 개념에 대해서도 지각이나 지식의 뜻과 구별하여 성체(性體)의 지(知)요, 본연의 선(善)이며, 곧 오상(五常: 仁‧義‧禮‧智‧信)의 지(知)임을 가리킨 것이라 하고 성의 본체라 한다.

「양지체용도」에서도 중심의 원 속에는 마음의 성과 인‧의‧예‧지와 마음의 본원과 양지의 본체를 동일시하고 있으며, 바깥의 가장 큰 원은 천지만물인 동시에 마음을 가리키고 있다고 하였다.

심(心)‧성(性)‧정(情)의 관계도 성은 양지의 본체이고, 정은 양지의 작용이며, 마음은 바로 양지의 전체라 이해한다. 지행합일설에 대해서도 그는 지와 행을 둘로 나누어 놓는 것은 물욕에 가리워진 것이라 하고, 양지의 본체에서 보면 지와 행이 하나임을 지적한다.

그는 이황과 이이의 성리설도 비판하면서 양명학의 확립에 전념하였다.
3. 저서
저술로는 『학변』『존언』 이외에도 『중용설』『대학설』『논어설』『맹자설』『삼경차록(三京箚錄)』『경학집록』『하락역상(河洛易象)』 등 경전주석이 있으며, 『심경집의(心經集義)』『정성서해(定性書解)』『통서해(通書解)』 등의 송대 도학자의 저술에 대한 주석도 하였다.

아들 후일(厚一)을 비롯하여 윤순(尹淳)이광사(李匡師)형제, 김택수(金澤秀) 등이 그의 문인으로서 학풍을 이었으며, 그가 속하는 소론의 가학으로서 학파를 형성하여 강화도를 중심으로 표면에 나타나지 못한 채 계승되어갔다. 시호는 문강(文康)이다.

[참고문헌]

霞谷集
陽明學演論(鄭寅普, 鄭寅普全集 2, 延世大學校出版部, 1983)
朝鮮時代의 陽明學硏究(尹南漢, 1982)
韓國의 陽明學(劉明鍾, 同和出版公社, 1983)
霞谷哲學의 陽明學的 理解(柳承國, 東洋哲學硏究, 垈域書齋, 1983)
陽明學의 傳來와 理解(李丙燾, 韓國儒學史, 亞細亞文化社, 1978)

[집필자]

김장태(琴章泰)
대표명정제두(鄭齊斗)
제두(齊斗)
성명정제두(鄭齊斗)
시호문강(文康)
사앙(士仰)
하곡(霞谷)

성명 : "정제두(鄭齊斗)"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國朝彙鑑v5年後稱孝嗣可無窒碍或者以哀嗣嗣王兩嗣字重疊爲未安然哀嗣之嗣嗣續之義也嗣王之嗣承嗣之義也上命問議于贊善鄭齊斗齊斗議如光佐言於是魂殿永徽殿祝遂稱哀嗣嗣王臣三年後稱孝嗣嗣王臣大司憲李明彦言顯宗大喪禮曹判書張善澂行
紀年便攷v28関鎮周蓍重子鄭齊斗妺夫仁祖丙戌生字孺文顕宗癸丑生貟肅宗甲子以平康縣令登庭試歷三司上命卜相加卜至六大臣請對禀㫖以趙師錫拜
紀年便攷v28鄭齊斗維城孫進士尚徴子李基祚外孫閔鎮周妻男仁祖己丑生字士仰號霞谷以遺逸進歷祭酉官止右賛成篤志力行博學多聞內
紀年便攷v28鄭齊斗
國朝捷錄v01士剛愼獨判中尹鎸希中白湖贊成南原人權諰思誠炭翁右尹李翔打愚大憲宋浚吉明甫同春李惟泰泰之草廬吏參慶州人鄭齊斗參贊延日人李玄逸吏參載寧人李喜朝同甫芝村文簡公金幹士直吏參淸風人徐元履北伯大丘人朴弼周黎吏判湖吏文敬
職官考v01鄭齊斗
鶴塘銓攷v1吏曹判書尹淳金東弼宋寅明申思喆徐命均朴師益鄭齊斗金在魯宋成明金取魯尹游○趙卜相奉朝崔奎瑞領府李光佐判中鄭澔判中閔鎭遠判中李觀命判中李宜顯判中沈壽賢
鶴塘銓攷v1左參贊○金榦鄭齊斗權樸
文獻攷略v1王云云稱孤似是中宗喪制未畢之故固當遵行而於后位則屬稱無可據皇明稱嫂若可遵用而稱嫂則可稱叔則不可祭酒鄭齊斗議聖敎中哀嗣字正爲可據旣是繼嗣之義且字義襯合遂命定祝式大行王稱皇兄永徽殿稱皇嫂兩位同稱嗣字三年內稱哀
文獻攷略v1祖宗禘祫之位而祝辭則用郊壇所用國王字實甚未安祭酒鄭齊斗以爲德宗雖入祔太廟而於文昭殿不得與享故別立懿廟而享之今則遷矣其祝版曰懿廟親享稱孝侄國王臣諱敢昭告于皇
孝章世子喪禮謄錄n1-1책入來引見故置之 服制定奪 一今十一月十八日右參贊鄭齊斗引見時依儒臣所論以繼體之 重大王大妃殿服制用曾孫緦
孝章世子喪禮謄錄n1-1책家朔望參先賢事更問于儒臣稟 處事命下矣江華地右參贊鄭齊斗京畿廣州地贊善金 幹衿川地執義朴弼周處問議事下去曹
孝章世子喪禮謄錄n1-1책更問于儒臣稟處事命下矣 發遺郞廳更問于儒臣則右參贊鄭齊斗以爲下詢私家祭祀 之節曾在庚子甲辰兩大喪之日臣之愚
孝章世子喪禮謄錄n1-1책楊州地行判中樞府事李宜顯江華 地奉朝賀崔奎瑞大司憲鄭齊斗廣州地贊善金幹果 川地執義朴弼周等處今此王世子喪朔
孝章世子喪禮謄錄n1-1책知禮儒臣而處之 可也事命下矣問于知禮儒臣處則大司憲鄭齊斗以爲 凡禮制必有等威差別而其制不同今至尊臨上而羣下
孝章世子喪禮謄錄n1-1책儒臣而處之事 命下矣發遣郞廳問于知禮儒臣處則大司憲鄭齊斗以爲 祭祀之禮如忌日上墓等祭皆是俗禮非正祭也朔望非
孝章世子喪禮謄錄n1-1책有同牆面俯詢之下不敢仰對惟增惶悚只俟嚴誅云 大司憲鄭齊斗以爲下詢殯宮祭禮之事該曹據古例朝臣無參 禮之事云而
孝章世子喪禮謄錄n1-1책十五日 收議馬文 一曹單子江華府奉朝賀崔行副護軍鄭齊斗京 畿驪州地行判府事閔交河地行判府事李楊州 地行判
孝章世子喪禮謄錄n1-1책帶淺 淡服明有考據則以臣愚淺何敢更有贅陳行副護軍 鄭齊斗以爲臣病伏昏廢已甚凡於禮節下詢誠不敢僭 議而今此春
璿源譜略修正時校正廳儀軌n1-1책事申思喆禮曹判書宋寅明靈城君朴文秀副司直李瑜左贊成鄭齊斗行司直李宜晩司直趙最壽大司諫李光輔大司憲金始絅禮曹
璿源譜略修正時校正廳儀軌尙賓 知事申思喆行司直朴乃貞左副承旨魚有龍 左贊成鄭齊斗工曹判書趙正萬右副承旨鄭必寧 知事金始煥副司直南就
璿源譜略修正時校正廳儀軌判書李廷濟 知中樞府事申思喆兵曹判書趙尙絅 左贊成鄭齊斗右參贊鄭亨益 知中樞府事金始煥刑曹判書尹陽來 漢城
璿源譜略修正時宗簿寺儀軌有龜兵曹判書趙尙絅 知事申思喆右參贊鄭亨益 左贊成鄭齊斗刑曹判書尹陽來 知事金始煥行司直朴乃貞 漢城判尹尹
璿源譜略修正時宗簿寺儀軌有龜兵曹判書趙尙絅 知事申思喆右參贊鄭亨益 左贊成鄭齊斗刑曹判書尹陽來 知事金始煥行司直朴乃貞 漢城判尹尹
璿源譜略修正時宗簿寺儀軌龜右參贊鄭亨益知中樞府事申思喆刑曹判書尹陽來左贊成鄭齊斗行司直朴乃貞知中樞府事金始煥工曹判書趙正萬漢城判尹
東國續修文獻錄v1湖南原人贊成權諰思誠炭翁安東人右尹李翔打愚牛峯人大憲宋浚吉明甫同春恩津人文正李惟泰泰之草廬慶州人吏參鄭齊斗延日人參贊李玄逸葛菴載寧人吏判李喜朝同甫芝村延日人文簡金幹士直淸風人吏參徐元履大邱人北伯朴弼周黎湖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