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신후재(申厚載)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2E0D6C4C7ACB1636X0
자(字)덕부(德夫)
호(號)서암(恕庵)
생년1636(인조 14)
졸년1699(숙종 25)
시대조선중기
본관평산(平山)
활동분야문신 > 문신
신항구(申恒耉)

[상세내용]

신후재(申厚載)
1636년(인조 14)∼1699년(숙종 25).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덕부(德夫), 호는 규정(葵亭)서암(恕庵).

부친은 현감 신항구(申恒耉)이다.

1660년(현종 1) 사마시를 거쳐 같은해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 승문원에 들어갔다가 여러 고을의 수령을 지내고 지평홍문관부교리 등을 역임한 뒤 1679년(숙종 5) 강원도관찰사가 되었다.

이듬해 경신대출척으로 남인들이 제거당할 때 삭직되었다.

1689년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다시 집권하자 승정원우승지도승지 등을 역임하였다.

그뒤 사은 겸 진주주청사(謝恩兼陳奏奏請使)의 부사로 청나라에 다녀온 뒤 강화유수개성유수한성판윤 등을 역임하였다.

1694년 갑술옥사가 일어나 소론이 집권하자 여주에 유배되었다.

1697년 석방되었으나 충주 오갑장(鰲甲庄)에 은퇴하여 학문에 전념하다가 여생을 마쳤다.

저서로는 시문집 『규정집』 7권이 있다.

[참고문헌]

顯宗實錄
肅宗實錄
淸選考
星湖文集
燃藜室記述
國朝榜目

[집필자]

조계찬(趙啓纘)
대표명신후재(申厚載)
후재(厚載)
성명신후재(申厚載)

성명 : "신후재(申厚載)"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野乘v30事之錯誤不恭順與不恭不敬大意相似而語勢則差有輕重之別彼此句語中必湏推覈得宲然後有罪無罪可以酌處矣上曰申厚載渠自奏達之語不欲全諱以不恭順三字納招其所下語輕重差殊而不恭順便是不恭不敬之意也當初䑓啓請問姓名而罪之
江華府先生案巳三月遞 鄭樸文嘉 善 己巳閏三月赴任庚午三月遞 申厚載文嘉義 庚午三月赴任壬申二月遞 吳始 大文嘉善 壬
錦營公案都事 申厚載 奉正癸卯六月十八日到甲辰三月日移拜持平 官至判尹
郯述v01正使東平君杭副使右參贊申厚載書狀掌令權持
郯述v04申厚載
莊烈王后國恤謄錄n1-2책例進去眼同董役何 如康熙二十八年三月初一日右承旨臣申厚載次知啓依允
莊烈王后國恤謄錄n1-2책敢擅便上裁何如康熙二十九年二 月二十五日行都承旨臣申厚載次知啓依回啓施行爲良如敎 薦 一曹單子江春道觀察使
大事編年v18儀上從之命廢妃移處別宮自宮供奉張氏聞之太恚廢食發惡上不得已還寢前命罷右議政旋仍時以廢妃之由陳奏於彼國申厚載受專對之任問於左相睦來善曰彼人若聞廢妃罪狀則將何以答之來善曰勢將以上敎中語推演爲說以不恭不敬等言之可
大事編年v18之所爭在於不恭順與不敬不恭兩句語之間兩句文勢語意不無些少緊歇矣雖然初若直以不恭順爲案則其罪亦難容貸第申厚載中變其說且有文疏之證爲來善執言之地到今若以不敬不恭斷案則罪人猶不至無辭若以不恭順斷罪則自緊至歇亦似有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