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오정창(吳挺昌)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624C815CC3DB1636X0
자(字)계문(季文)
생년1634(인조 12)
졸년1680(숙종 6)
시대조선중기
본관동복(同福)
활동분야문신 > 문신
오단(吳端)

[상세내용]

오정창(吳挺昌)
1634년(인조 12)∼1680년(숙종 6).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동복(同福). 자는 계문(季文).

부친은 관찰사 오단(吳端)이다.

1662년(현종 3)에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설서정언을 거쳐 1672년 지평에 올랐다.

1674년(숙종 즉위) 자의대비(慈懿大妃)의 왕대비 장씨(張氏)에 대한 상복논쟁에서 남인의 주장이 받아들여진 뒤 득세하여 헌납에 특제되었다.

이듬해 도당록(都堂錄)에 들었으며, 그뒤 부사직부교리를 거쳐, 동부승지에 특진되었고, 집의부응교부제학대사간 등과 1676년에 대사성을 역임하였다. 숙종 초년, 현종에 대한 자의대비의 상복논의 등에서 윤휴(尹鑴)의 설을 따라 예론을 주장하였다.

1678년경부터 남인의 논의가 준격한 청남(淸南)과 온건한 탁남(濁南)으로 나누어지자 탁남에 가담하여 송시열(宋時烈)의 처벌 등에 온건론을 주장하였다.

1679년 탁남이 중용되면서 대사간부제학한성부우윤이조참판대사헌 등을 역임하고, 1680년 예조판서로 재임중 경신대출척이 일어나 남인이 몰락할 때 정원로(鄭元老)의 옥사에 연루되어 처형당하였다.

1689년 기사환국 때 관작이 회복되었다.

[참고문헌]

顯宗實錄
肅宗實錄
淸選考
燃藜室記述
國朝榜目

[집필자]

김상오(金相五)
대표명오정창(吳挺昌)
정창(挺昌)
성명오정창(吳挺昌)
계문(季文)
용호(龍湖)

명 : "정창(挺昌)"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震史記略v4滉之說將於臘季受服臣謂不可舍先儒已定之說而遽以爲無於禮之禮以作一代之典也疏下禮曹禮官及許穆尹鐫鑴皆以挺昌言爲是領相以爲代服必待小祥者古禮司馬操之說也不必小祥而受服於朔望者先正臣李滉之言也臣與金壽恒累日講究
震乘總v10不可捨先儒已定之說而遽爲無於禮之禮以作一代之典也疏下禮曹禮官及許穆尹䥴鑴許穆許積以挺昌言爲是尹鑴皆以挺昌言爲是從之領相許積自寧陵還白上曰代服必待小祥者古禮司馬操之說也不必小祥而受服於朔望者先正臣李滉之言也
震乘總v10尹䥴鑴許穆許積以挺昌言爲是
我我錄v1軌窺上動靜伺察朝紳徒以淸城光城之在未敢遽動謀所以離間中宮動搖長秋嗾穆建親蠶之議親蠶之則當備嬪御故欲進挺昌之女以圖壼位之計也適以風雷之變議遂寢遂使鄭之虎發告廟之議以禮論殺尤翁則光城以下次第就戮而及於國母計也
郯述v03康熙十九年三月日逆賊枏楨與其舅挺昌及許積之子堅啚設体府謀危宗社禍機甚急申範華李元成等因金錫胄金萬基前後上變告諸悉伏誅是歲五月十六日錄金
鞠廳日記v5計策乎汝與堅相語之際必嘗言及此事一一直招更加鉤問以啓○鞫廳啓曰吳挺昌及申範華之名出於元老前後招辭中而挺昌稱道許堅範華推筭柟命而已其兇謀則無預知之語今姑不爲請拿之意敢啓
大事編年v15老每以俟河淸爲言近觀事勢若不早圖必先被害於西人欲借屯兵之力以爲預防之計一日泩見堅堅元老台瑞同坐台瑞曰挺昌推太乙數謂今年國家當有內變若有內難則大監爲國元老定策立勳非大監而誰堅曰吾言於大監欲送兵判出巡八道大監
國朝人物志v3見挺一慰諭之人物考弟挺緯文科禮判出繼校理竱之後挺垣字仲輔號醉翁文科監司挺昌字季文號龍湖文科判書庚申被禍昭代紀年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