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신익상(申翼相)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2E0C775C0C1B1634X0
자(字)숙필(叔弼)
호(號)성재(醒齋)
시호(諡號)정간(貞簡)
생년1634(인조 12)
졸년1697(숙종 23)
시대조선중기
본관고령(高靈)
활동분야문신 > 문신
신양(申湸)
저서『성재집』

[상세내용]

신익상(申翼相)
1634년(인조 12)∼1697년(숙종 23).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숙필(叔弼), 호는 성재(醒齋). 정언 신양(申湸)의 아들이다.

1660년(현종 1)에 진사시를 거쳐 1662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검열봉교를 거쳐 오랫동안 사관(史官)으로 있으면서 사실을 곧게 기록하여 명성을 얻었다.

1672년 홍문록에 올랐다. 숙종 즉위 후 남인이 득세하자 충청도 아산에 은거하였다가 1680년(숙종 6) 경신환국 때 특지(特旨)로 도승지에 오르고 이어 이조참판전라도관찰사부제학대사성을 거쳐 1684년 평안도관찰사에 제수되었다.

재임시 주변 읍민을 동원하고 공명첩(空名帖)을 발급하는 방법으로 영변철옹외성(鐵甕外城)을 수축할 것을 주장하였다.

그뒤 대사헌이조참판대사성을 역임하였으며, 1689년 기사환국이 일어나고 민비(閔妃)가 폐위되자 그 부당함을 논하고 양주로 퇴거하였다.

1694년 갑술환국 때 다시 기용되어 공조판서를 거쳐 이듬해 우의정으로 승진하였다.

시문에 능하고 필법, 특히 전서(篆書)에 조예가 깊었다. 교리로 있으면서 복창군(福昌君) 정(楨) 등의 방종을 형벌할 것과 시무(時務)를 논한 상소를 올려, 뒤에 숙종으로부터 선견지명을 인정받았다. 대사간 재임시에는 윤휴(尹鑴)의 처자를 연좌하고 적몰하는 것에 반대하였다.

시문집으로 『성재집』 3권이 전한다. 시호는 정간(貞簡)이다.

[참고문헌]

顯宗實錄
肅宗實錄
國朝榜目
淸選考
燃藜室記述

[집필자]

김용곤(金鎔坤)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