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소현세자(昭顯世子)

[요약정보]

UCIG002+AKS-KHF_14C18CD604C138B1612X0
이명(異名)이조()
생년1612(광해군 4)
졸년1645(인조 23)
시대조선중기
본관전주(全州)
활동분야왕실 > 왕자
인조(仁祖)
인열왕후(仁烈王后)
민회빈(愍懷嬪)
처부강석기(姜碩期)
외조부한준겸(韓浚謙)
묘소경기도 고양시 원당동

[상세내용]

소현세자(昭顯世子)
1612년(광해군 4)∼1645년(인조 23). 인조의 맏아들. 본관은 전주(全州). 이름은 이조(李). 모친은 영돈녕부사(領敦寧府事) 서평부원군(西平府院君) 한준겸(韓浚謙)의 딸 인열왕후(仁烈王后)이다.

1625년(인조 3)에 세자에 책봉되고, 1627년 정묘호란 때에는 전주로 내려가 남도의 민심을 수습하였으며, 그해에 강석기(姜碩期)의 딸 민회빈(愍懷嬪)과 혼인하였다. 이원익(李元翼)장유(張維) 등을 빈사(賓師: 세자시강원의 1품관)로 맞아 왕자의 덕을 닦았다.

1636년 병자호란 때 강화도로 옮겨 청나라에 항전하려 하였으나, 청군의 빠른 남하로 인조와 함께 남한산성으로 들어가 항전하다가, 중과부적으로 삼전도(三田渡)에서 굴욕적인 항복을 하였다.

그뒤 자진하여 봉림대군(鳳林大君) 및 주전파 재신(宰臣)들과 같이 인질로 심양(瀋陽)에 갔다. 심양에 9년 동안 있으면서 1642년 3월과 1644년 정월에 두 차례 본국을 다녀가기도 하였다.

심양에서의 그는 단순한 질자(質子)가 아니라 대사(大使) 이상의 외교관 소임을 하였다. 청나라조선에 대하여 무리한 물자를 요구하면 그를 막으려 노력도 하였다. 청나라조선과의 일을 인조가 병중이라서 담판할 수 없다 하여 세자의 재량으로 처리하도록 강요를 하기도 하였다.

그리하여 세자는 본국에서는 무력한 존재이나, 심양관에서는 조청(朝淸)양국간에 제기된 문제를 해결하는 조정자로서 상당한 재량권을 행사하게 됨으로써 한 나라에 두 임금이 있는 격이 되었다.

그는 현실적으로 청의 존재를 인정하면서 청의 왕족 및 장군들과 친교를 맺고 양국간의 관계를 정상화하는 데 노력하였다.

1644년 9월에 그는 청군을 따라 북경(北京)에 들어가 70여일을 머물면서 서양인이 주관하고 있던 천문대를 찾아가 역법(曆法)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특히 독일인 신부 아담 샬(Schall, J. A., 일명 湯若望)과의 친교로 천문‧수학‧천주교 서적과 여지구(輿地球)‧천주상(天主像)을 전래함으로써 서양문물의 적극적인 수용을 통하여 문화적 전기를 마련할 수 있었던 아쉬움을 남기기도 하였다.

그러나 조선의 조정은 서인들의 집권이 되면서 반청친명정책(反淸親明政策)을 고수하여 소현세자의 처사를 부정적으로 평가한듯하다.

특히, 소현세자는 300명이 넘는 시강원 관원을 거느리고 있으면서 청의 요구를 막지 못하고 그들에 영합하면서 막대한 경비만을 국고에 부담지웠고 때로는 사무역(私貿易)을 자행하여 부족한 자금을 마련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세자의 행위는 인조에게 친청적인 인물로 보였으며, 조선 국왕의 후계자로서 부적격하다고 간주된 듯하다.

그 위에 인조의 총비 조소용(趙昭容)은 세자빈과 사이가 좋지 않아 세자를 백방으로 모함하였으니 심양관에서 세자의 과도한 영리추구는 잠도역위(潛圖易位: 세자가 인조를 대신하여 왕위에 오르기 위한 공작) 또는 세자를 대신하여 인조를 청에 입조시키려는 공작이라고 모함하였다.

그리하여 인조는 심양관에 밀정을 보내어 세자의 동정을 주시하고 있었다. 세자는 9년간의 인질생활 끝에 1645년 2월 18일에 입경하였다.

그러나 이때는 환영보다는 냉대였으며, 세자에 대한 군신의 진하(進賀)도 못하도록 막아버렸다. 세자일행이 북경에서 가져온 서양문물에 관한 서적과 물자도 인조의 노여움을 가중시켰다. 뜻하지 않은 부왕과의 갈등으로 인하여 그해 4월 23일 병석에 눕게 되고 4일 만인 26일에 급서하였다.

이와같은 세자의 급서는 의관 이형익(李馨益)의 책임이라 하여 엄벌을 요구하였다. 이형익조소용의 외가와 관련된 인물로 3개월 전에 특채된 의관이었다. 인조는 세자의 사인을 규명하려 하지 않고 관례적인 책임도 지우지 않은 가운데 입회인을 제한하여 입관을 서둘렀다.

『인조실록』에는 시신은 9혈에서 출혈하고 있었으며 진흑(盡黑)으로 변해 있었다고 하여 은연중에 독살되었음을 시사하고 그 하수인으로 이형익을 지목하고 있는 느낌을 주게 한다.

그뒤 세자빈이 역모를 꾸몄다 하여 민회빈은 물론 두 아들과 그의 친정식구, 그리고 세자빈과 친했던 많은 궁녀들이 죽음을 당한 것을 볼 때 살세자(殺世子)의 장본인은 바로 인조일 가능성이 높다. 처음에는 소현묘라 하였으나 고종 때 소경원(昭慶園)으로 격상되었다. 장지는 경기도 고양시 원당동에 있다.

[참고문헌]

仁祖實錄
瀋陽狀啓
瀋陽日記
昭顯世子硏究(金龍德, 朝鮮後期思想史硏究, 乙酉文化社, 1977)
朝鮮西學史硏究(李元淳, 一志社, 1986)
昭顯世子と湯若望―朝鮮基督敎史硏究 其四―(山口正之, 靑丘學叢 5, 1931)
瀋陽考(田川孝三, 小田頌壽記念 朝鮮史論集, 1934)

[집필자]

김용덕(金龍德)
대표명소현세자(昭顯世子)
봉호소현(昭顯), 소현세자(昭顯世子)
시호소현세자(昭顯世子)

시호 : "소현세자(昭顯世子)"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仁祖大王國恤謄錄n1-1책之喪則乃於至尊俱已上也故用白乙亥 年仁烈王后乙酉年昭顯世子之喪則於至尊皆已下也故用 靑實得情禮之宜是白去等獨
仁顯王后國恤謄錄n1-1책謄錄經亂不存而以內文書觀 之則世子大君皆隨詣陵所故昭顯世子於詣陵所後氣塞 藥房提調有啓聞之事乙亥年則分明侍從
孝章世子喪禮謄錄n1-1책后己亥小祥後 享官用黑團領行禮此非今日所可援據者而昭顯世子喪百 官除服後魂宮享官服色依陵所忌辰祭禮烏紗㡌玉
孝章世子喪禮謄錄n1-1책自本曹考出前例後日登對時稟處事 命下矣臣取考前例則昭顯世子入廟時禮官以請倣 順懷古例別入祠宇稟啓則其時下敎以
孝章世子喪禮儀軌七日朝 一 本殿郞廳 以都提調意 啓曰 今此梓室依昭顯世子喪事例 當以兩梓宮取用 而本殿所在 梓宮九部中 尺
愍懷嬪復位宣謚謄錄n1-1책爲遠以其前更爲捧定事分付 議諡吉日改推捧 一曹啓曰昭顯世子嬪議諡吉日二十四日爲遠以其前 更爲推捧事命下矣更爲
愍懷嬪復位宣謚謄錄n1-1책 戊戌四月初十日 議諡吉日推捧 一曹單子今此昭顯世子嬪議諡吉日令日官推捧則 今四月二十四日爲吉其前則皆
愍懷嬪復位宣謚謄錄n1-1책戌四月十三日 神主改造舊主削去粉面埋安 一曹啓曰昭顯世子嬪神主今方奉安於臨昌君焜家 前頭宣諡後卽當合奉于昭
愍懷嬪復位宣謚謄錄n1-1책 戊戌四月十四日 梨峴宮修理 一曹啓曰昭顯世子嬪舊主移奉於梨峴宮事命下矣 移奉吉日推捧及應行節目
愍懷嬪復位宣謚謄錄n1-1책 戊戌四月十六日 命招 一政院啓曰昭顯世子嬪議諡在於明日時任原任大臣及 政府堂上六曹參判以上
愍懷嬪復位宣謚謄錄n1-1책四月日 神主自廟削去 一曹單子今四月二十八日午時昭顯世子嬪神主移奉 于梨峴宮時應行節目依端宗大王復位時例參
愍懷嬪復位宣謚謄錄n1-1책詣臨昌君焜家愍懷嬪神主奉審後主身長 廣厚見樣以來而昭顯世子神主制度尺數端懿嬪虞 主造成時自都監旣已啓稟奉審詳
愍懷嬪復位宣謚謄錄n1-1책 戊戌五月初三日 宣諡習儀 一曹單子今此昭顯世子嬪宣諡習儀吉日令日官推搾則 今五月十七日爲吉云同日
愍懷嬪復位宣謚謄錄n1-1책宗大王定順王后復位上諡後 有頒敎進箋陳賀之擧矣今此昭顯世子嬪宣諡合 奉事體旣有輕重進箋陳賀等事不必擧行而頒敎
愍懷嬪復位宣謚謄錄n1-1책曰云云事命下矣問于大臣則行判中樞府 事李濡以爲今此昭顯世子嬪伸復宣諡合泰之擧 實是聖朝莫大之盛典而與戊寅年事
愍懷嬪復位宣謚謄錄n1-1책五日 頒敎權停例取稟 一曹達曰因本曹草記大臣收議昭顯世子嬪宣諡合奉 後頒敎事定奪矣合奉翌日當爲擧行節日今將
愍懷嬪復位宣謚謄錄n1-1책 令曰依 改題主時提調入參 一復位宣諡都監達曰明日昭顯世子嬪宣諡後改題主 時都提調當爲入參而都提調領議政金今
愍懷嬪復位宣謚謄錄n1-1책 內外梓室陪進吉日 一觀象監深呈內今此愍懷嬪遷祔昭顯世子墓時內梓室 陪進舊山吉日來九月十九日印時外梓室新山
愍懷嬪復位宣謚謄錄n1-1책愍懷嬪遷墓停止事儀大臣備忘 一傳曰今此愍懷嬪祔葬於昭顯世子墓神理人情可謂無 憾而第自丙至今近八十年則遷葬實爲
愍懷嬪復位宣謚謄錄n1-1책八日 遷墓停止收議 一曹啓曰傳曰今此愍懷嬪祔葬於昭顯世子墓神理人情 可謂無憾而第自丙至今近八十年則遷葬實爲
禁衛營謄錄n1-121책 己酉正月二十一日 兵曹啓曰取考謄錄則乙酉年昭顯世子喪發引時 禁御兩營未及創設之故令訓局軍兵六月十四日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