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박종부(朴宗阜)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BC15C885BD80B1600X0
자(字)자후(子厚)
생년1600(선조 33)
졸년1645(인조 23)
시대조선중기
본관함양(咸陽)
활동분야문신 > 문신
박창(朴敞)
거창신씨(居昌愼氏)
외조부신임(愼恁)

[상세내용]

박종부(朴宗阜)
1600년(선조 33)∼1645년(인조 23).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자후(子厚). 군수 박창(朴敞)의 아들이며, 모친은 거창신씨(居昌愼氏)신임(愼恁)의 딸이다.

1633년(인조 11) 생원시에 장원하였고, 이어 증광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여 종부시직장(宗簿寺直長)세자시강원설서사서를 지내고 1635년 사간원정언, 이듬해 지제교(知製敎)를 겸하였다. 이해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남한산성으로의 길이 차단되어 강화도로 들어갔다.

당시 도원수(都元帥) 김자점(金自點)정방(井方)에, 황해감사(黃海監司) 이배원(李培元)장수(長壽)에 머무르면서 적을 공격하지 않았다. 분사(分司)의 대신들이 어사를 파견, 장수(將帥)들을 독려하여 남한산성을 내원(來援)하게 하였으나, 모두 두려워 피하자 분연히 장수산성에 찾아가 군사를 독려하여 적과 싸웠다.

1638년 부수찬검토관을 거치면서 병자호란 이후의 논공행상이 그르게 행하여지는 것을 거론하여, 공이 없는 자가 상을 받고 죄 있는 자가 벌받지 않는 사실을 통박하였다.

그뒤 전라도도사로 나아가 선정을 베풀고 1640년 수찬교리, 1641년 이후에는 정언헌납이조좌랑 등을 역임하였다. 당시 조정의 논의가 뜻에 맞지 않자 자청하여 전라도 김제군수로 나아갔다가 병으로 사직하였다.

[참고문헌]

仁祖實錄
國朝人物考
國朝榜目
大東野乘

[집필자]

권인혁(權仁赫)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