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임숙영(任叔英)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84C219C601B1576X0
이명(異名)임상(任湘)
자(字)무숙(茂淑)
호(號)소암(疎庵)
생년1576(선조 9)
졸년1623(인조 1)
시대조선중기
본관풍천(豊川)
활동분야문신 > 문신
임기(任奇)

[상세내용]

임숙영(任叔英)
1576년(선조 9)∼1623년(인조 1).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초명은 상(湘). 자는 무숙(茂淑), 호는 소암(疎庵). 감역 임기(任奇)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시를 잘 지었고 기억력이 뛰어났다 한다.

1601년(선조 34) 진사가 되고, 성균관에 10년 동안 수학, 논의가 과감하였으며 전후 유소(儒疏)가 그의 손에서 나왔다.

1611년(광해군 3) 별시문과의 대책(對策)에서 주어진 이외의 제목으로 척족의 횡포와 이이첨(李爾瞻)이 왕의 환심을 살 목적으로 존호를 올리려는 것을 심하게 비난하였다. 이를 시관 심희수(沈喜壽)가 적극 취하여 병과로 급제시켰는데 광해군이 대책문을 보고 크게 노하여 이름을 삭제하도록 하였다. 몇 달간의 삼사의 간쟁과 이항복(李恒福) 등의 주장으로 무마, 다시 급제되었다.

그뒤 승문원정자박사를 거쳐 주서가 되었다.

1613년에 영창대군(永昌大君)의 무옥이 일어나자 다리가 아프다는 핑계를 대고 정청(庭請)에 참가하지 않았다. 곧 파직되어 집에서 지내다가 외방으로 쫓겨나 광주(廣州)에서 은둔하였다.

인조반정초에 복직되어 예문관검열홍문관정자‧박사‧부수찬 등을 거쳐 지평에 이르렀다.

고문(古文)에 힘썼으며, 중국 육조(六朝)의 사륙문(四六文)에 뛰어났다. 그가 지은 「통군정서(統軍亭序)」는 중국학자들로부터 크게 칭찬을 받았다 한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光海君日記
國朝榜目
國朝人物考

[집필자]

이재철(李在喆)

호 : "소암(疏菴)"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21任叔英說曾孫監役奇子鄭芝衍外孫李尙弘壻宣祖丙子生字茂叔號疏菴又東海散人辛丑進士光海辛亥登別試對策直言主怒削名旋仍科以此錮廢癸丑獄大臣率百官請置永昌於極典叔英稱脚
國朝人物志v3政亂不樂爲官退藏于鄕與鄭愚伏經世李蒼石埈倘羊山水間世以爲商社三老仁祖反正召入玉堂任疏菴叔英常稱經筵官通古今鄭經世達事理全湜甲子适亂以司僕正扈駕至天安拜執義論
國朝人物志v3顚末以及永昌大君百昌曰上命不至是也閣筆不書爾瞻色沮廢母論起百昌退居楊根大灘上與任疏菴叔英李澤堂植相從至有三士之標榜西平韓浚謙以七臣之一名在謪謫籍洪茂績以抗議廢論
國朝人物志v3字茂叔號疏菴豐川人說曾孫父監役奇娶司諫東萊鄭惟一女生叔英天性夙悟才氣絶倫十歲作古詩壬辰亂
國朝人物志v3字季夏號松坡韓山人大司諫禮堅五代孫受學于任疏菴叔英以童艸詆斥鄭仁弘奸黨嗾李爾瞻帥生俱被儒罰仁祖甲子進士庚午文科選翰苑歷銓郞
國朝人物志v3孫幼慧母金氏抱試授以絶句聞則輒誦及長從掌令李惟達學李曰爾才絶倫吾不足爲師乃摳衣受業于疏菴任叔英爲三從兄弟間也歲餘文詞大進若決江河仁祖甲子生員進士丙寅文科丁卯爲注書陪從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