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임숙영(任叔英)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84C219C601B1576X0
이명(異名)임상(任湘)
자(字)무숙(茂淑)
호(號)소암(疎庵)
생년1576(선조 9)
졸년1623(인조 1)
시대조선중기
본관풍천(豊川)
활동분야문신 > 문신
임기(任奇)

[상세내용]

임숙영(任叔英)
1576년(선조 9)∼1623년(인조 1).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초명은 상(湘). 자는 무숙(茂淑), 호는 소암(疎庵). 감역 임기(任奇)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시를 잘 지었고 기억력이 뛰어났다 한다.

1601년(선조 34) 진사가 되고, 성균관에 10년 동안 수학, 논의가 과감하였으며 전후 유소(儒疏)가 그의 손에서 나왔다.

1611년(광해군 3) 별시문과의 대책(對策)에서 주어진 이외의 제목으로 척족의 횡포와 이이첨(李爾瞻)이 왕의 환심을 살 목적으로 존호를 올리려는 것을 심하게 비난하였다. 이를 시관 심희수(沈喜壽)가 적극 취하여 병과로 급제시켰는데 광해군이 대책문을 보고 크게 노하여 이름을 삭제하도록 하였다. 몇 달간의 삼사의 간쟁과 이항복(李恒福) 등의 주장으로 무마, 다시 급제되었다.

그뒤 승문원정자박사를 거쳐 주서가 되었다.

1613년에 영창대군(永昌大君)의 무옥이 일어나자 다리가 아프다는 핑계를 대고 정청(庭請)에 참가하지 않았다. 곧 파직되어 집에서 지내다가 외방으로 쫓겨나 광주(廣州)에서 은둔하였다.

인조반정초에 복직되어 예문관검열홍문관정자‧박사‧부수찬 등을 거쳐 지평에 이르렀다.

고문(古文)에 힘썼으며, 중국 육조(六朝)의 사륙문(四六文)에 뛰어났다. 그가 지은 「통군정서(統軍亭序)」는 중국학자들로부터 크게 칭찬을 받았다 한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光海君日記
國朝榜目
國朝人物考

[집필자]

이재철(李在喆)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