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남이웅(南以雄)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B0A8C774C6C5B1575X0
자(字)적만(敵萬)
호(號)시북(市北)
시호(諡號)문정(文貞)
생년1575(선조 8)
졸년1648(인조 26)
시대조선중기
본관의령(宜寧)
활동분야문신 > 문신
남위(南瑋)
공신호진무공신(振武功臣)

[상세내용]

남이웅(南以雄)
1575년(선조 8)∼1648년(인조 26).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적만(敵萬), 호는 시북(市北).

남위(南瑋)의 아들이다.

1606년(선조 39) 진사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왕자의 사부(師傅)가 되었고, 세마(洗馬)위수(衛率)통례(通禮)를 거쳐 1613년(광해군 5)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 예조좌랑병조좌랑정언수찬응교 등을 지냈다.

당시의 권신 이이첨(李爾瞻)이 보자고 청할 때 응하지 않았다고 하여 미움을 사기도 하였다.

1623년 인조반정 이후 오위장(五衛將)황해도관향사(黃海道管餉使)안악군수의주부윤 등을 역임하였고, 이듬해 이괄(李适)의 난 때 황주수성대장(黃州守城大將)으로 도원수 장만(張晩)을 도와 공을 세워 진무공신(振武功臣) 3등에 춘성군(春城君)으로 봉해졌다.

1626년(인조 4)에는 형조참판부총관을 겸하였다.

1632년 인목대비의 상사(喪事)에 수릉관(守陵官)이 되었다. 나이 60이 되었는데도 능을 지키는 예법에 조금도 어김이 없으므로 주위 사람이 모두 탄복하였다고 한다.

그뒤 호조참판형조판서 겸 지의금부도총관을 역임하였다.

1636년 병자호란을 겪고, 이듬해 소현세자가 볼모로 심양(瀋陽)에 잡혀갈 때 우빈객으로 세자를 극진히 호위하였으며, 그뒤 돌아와 춘성부원군에 봉해졌다.

1638년 대사헌이 되어 법을 엄하게 집행하였으며, 미신을 없애려고 음사(淫祠)를 파괴하고 무당을 학대하였다.

1646년 이조판서를 거쳐 우의정이 되어 민회빈(愍懷嬪) 강씨(姜氏: 昭顯世子의 嬪)의 사사(賜死)를 반대하여 사직하였다.

그뒤 1648년 좌의정이 되었다. 본래 세업(世業)이 풍족하여 부자라고 일컬었지마는, 그 법제를 준수하며 자손들을 엄하게 단속하여 사치를 억제하였다고 한다.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참고문헌]

仁祖實錄
燃藜室記述
國朝榜目
國朝人物考
南氏追遠誌

[집필자]

공원영(孔黿泳)

명 : "이웅(以雄)"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鞠廳日記v1事沈賊使李之龍走告云亦未知其間實情狀也其中僧兩人亦有疑迹而同謀情狀亦爲難知臣意則如此耳下詢于諸臣何如以雄曰小臣雖不誰詳知而慶業當初功在西路其勞不爲不多兇逆同謀之狀亦不詳知然而逃入中原亡命之罪則難逭自上參酌
鞠廳日記v1情之言與問目事事相符以僧衣服給送之事見之則同謀之事已爲明白矣其中偕往者雖不知同參逆謀而情迹亦極殊常矣以雄曰在於中路而逃走則不必通言逆謀矣金光煜曰沈賊之變小臣以刑房承旨參鞫其時慶業若在則不免刑章矣臣意則嚴刑
鞠廳日記v1點曰逆變若出人人不爲同逆而皆爲震惴譬若天動之時則飛禽走獸皆爲飛走也爲人臣子名出逆口則其爲驚懼爲何如哉以雄曰罷點出似當矣自點曰且潛水人已送而尙不還來雖不可知而其後大水連下必無不可得之勢而投水之玉莫或得之則何
大事編年v10雄航海朝天留玉河館忽見通衢高揭紅紙書以興姓名詢子譯人曰此爾國守城死事臣南某書名詢衆乃天朝褒節之殊典也以雄始知其事哭臨于名下華人知爲以雄之族待之加禮
大事編年v10紅紙書以興姓名詢子譯人曰此爾國守城死事臣南某書名詢衆乃天朝褒節之殊典也以雄始知其事哭臨于名下華人知爲以雄之族待之加禮
國朝人物志v3北宜寧人參判應雲孫宣祖丁未拜王子師傅光海癸丑文科歷修撰李爾瞻用事要見以雄以雄不之顧又於稠坐中肆言罵之爾瞻怒終不畀以雄言官甲子李适反以雄爲管餉使時賊
國朝人物志v3字子豪號城隱宜寧人以雄從弟武科甲子平适亂錄振武一等勳封宜春府院君丁卯胡亂以平安兵使殉節于安州焚死諡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