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평(趙平)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2C870D3C9FFFFB1569X0 |
자(字) | 형중(衡仲) |
호(號) | 운학(雲壑) |
생년 | 1569(선조 2) |
졸년 | 1647(인조 25) |
시대 | 조선중기 |
본관 | 함안(咸安)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조순세(趙舜歲) |
모 | 창녕조씨(昌寧曺氏) |
외조부 | 조이천(曺以天) |
출생지 | 함안 |
저서 | 『운학문집』 |
공신호 | 정사원종공신(靖社原從功臣) |

[상세내용]
조평(趙平)
1569년(선조 2)∼1647년(인조 25).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함안(咸安). 자는 형중(衡仲), 호는 운학(雲壑). 함안 출생. 부친은 장령의 증직을 받은 조순세(趙舜歲)이며, 모친은 창녕조씨(昌寧曺氏)로 조이천(曺以天)의 딸이다. 정구(鄭逑)‧김장생(金長生)의 문인이다.
1609년(광해군 1)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나 광해군의 실정으로 벼슬을 단념하고 최명룡(崔命龍)과 교우를 맺고 성리학과 예학(禮學)에 주력하였다.
1624년(인조 2) 학행으로 천거되어 창릉참봉(昌陵參奉)‧황산찰방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으나, 이어 정사원종공신(靖社原從功臣)의 녹권(錄券)을 받았다.
1627년 세자익위사세마를 거쳐 사근찰방으로 옮겼으며, 송광유(宋匡裕)의 무고를 받았으나, 곧바로 풀려났다.
그뒤 제원찰방을 지내고 의영고직장(義盈庫直長)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제원찰방으로 있을 때 군수 김성발(金聲發)과 협력, 임진왜란 때 금산에서 순절한 칠백의사총(七百義士塚)을 수리하여 오단(五壇)으로 만들고, 조헌(趙憲)‧고경명(高敬命) 등을 봉향하고 제문을 지어 칠백의사의 충혼을 위로하였다.
1636년 병자호란 때는 초모도유사(招募都有司)로서 노등(盧騰)‧이두연(李斗然) 등과 함께 의병을 소집하고 군량미를 모아 여산(礪山)의 의병소에 조달하였다.
1639년 고향인 덕치(德峙)에 보(洑)를 쌓고 장장 20리의 수로를 개척, 황무지인 들판 수십만평을 옥토로 만들어 주민들이 그 공덕을 기려 설보비(雪洑碑)를 세웠다.
만년에는 회문산(回文山) 밑에 문덕당(文德堂)과 삼구재(三求齋)를 짓고 심구정(心求正)‧우구현(友求賢)‧전구경(田求耕)을 좌우명으로 삼아 후진교육에 심혈을 경주하여 많은 영재를 배출하였다.
도학과 문장이 당세에 뛰어났으며, 임실의 학정서원(鶴亭書院)에 배향되었다.
저서로는 『운학문집』 9권 3책이 있다.
1609년(광해군 1) 진사시에 합격하였으나 광해군의 실정으로 벼슬을 단념하고 최명룡(崔命龍)과 교우를 맺고 성리학과 예학(禮學)에 주력하였다.
1624년(인조 2) 학행으로 천거되어 창릉참봉(昌陵參奉)‧황산찰방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으나, 이어 정사원종공신(靖社原從功臣)의 녹권(錄券)을 받았다.
1627년 세자익위사세마를 거쳐 사근찰방으로 옮겼으며, 송광유(宋匡裕)의 무고를 받았으나, 곧바로 풀려났다.
그뒤 제원찰방을 지내고 의영고직장(義盈庫直長)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다. 제원찰방으로 있을 때 군수 김성발(金聲發)과 협력, 임진왜란 때 금산에서 순절한 칠백의사총(七百義士塚)을 수리하여 오단(五壇)으로 만들고, 조헌(趙憲)‧고경명(高敬命) 등을 봉향하고 제문을 지어 칠백의사의 충혼을 위로하였다.
1636년 병자호란 때는 초모도유사(招募都有司)로서 노등(盧騰)‧이두연(李斗然) 등과 함께 의병을 소집하고 군량미를 모아 여산(礪山)의 의병소에 조달하였다.
1639년 고향인 덕치(德峙)에 보(洑)를 쌓고 장장 20리의 수로를 개척, 황무지인 들판 수십만평을 옥토로 만들어 주민들이 그 공덕을 기려 설보비(雪洑碑)를 세웠다.
만년에는 회문산(回文山) 밑에 문덕당(文德堂)과 삼구재(三求齋)를 짓고 심구정(心求正)‧우구현(友求賢)‧전구경(田求耕)을 좌우명으로 삼아 후진교육에 심혈을 경주하여 많은 영재를 배출하였다.
도학과 문장이 당세에 뛰어났으며, 임실의 학정서원(鶴亭書院)에 배향되었다.
저서로는 『운학문집』 9권 3책이 있다.
[참고문헌]
仁祖實錄
陶庵集
雲溪集
重峰集
湖南倡義錄
陶庵集
雲溪集
重峰集
湖南倡義錄
[집필자]
조기대(趙基大)
성명 : "조평(趙平)"에 대한 용례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