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태능(太能)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D0DCB2A5FFFFB1562X0
호(號)소요(逍遙)
시호(諡號)혜감(慧鑑)
생년1562(명종 17)
졸년1649(인조 27)
시대조선중기
활동분야종교 > 불교인
출신지전라남도 담양
저서『소요당집』

[상세내용]

태능(太能)
1562년(명종 17)∼1649년(인조 27). 조선 중기의 고승. 성은 오씨(吳氏). 호는 소요(逍遙). 전라남도 담양 출신.

어머니가 신승(神僧)으로부터 대승경(大乘經)을 받는 태몽을 꾸었으며, 태어나면서부터 살갗이 선명하고 골격이 씩씩하였다.

어려서부터 탐욕을 싫어하고 도훈(道訓)을 듣기를 즐겨하였으며, 베풀기를 좋아하고 자비심이 많아 마을사람들이 성동(聖童)이라고 불렀다.

13세에 백양산(白羊山)에 놀러갔다가 뛰어난 경치를 보고 곧 세속을 떠나기로 결심하여 진대사(眞大師)로부터 계(戒)를 받았다. 그때 부휴대사(浮休大師)속리산과 해인사로 다니면서 교화를 폈는데, 그 밑에서 경률(經律)의 깊은 뜻을 익혔다. 부휴의 문하에 수백의 제자들이 있었으나, 오직 태능충휘(沖徽)응상(應祥)만이 법문(法門)의 삼걸(三傑)이라 불렸다.

명나라 장군 이여송(李如松)이 왜적을 물리치고 돌아가는 길에 해인사에 머무르다가 그의 단아함을 보고 크게 칭찬하였다.

서산대사(西山大師)묘향산에서 교화를 편다는 말을 듣고 찾아가 조사서래의(祖師西來意: 달마대사가 천축국에서 중국으로 온 뜻이 무엇인가를 묻는 話頭)를 물었다.

서산대사는 한번 보고 곧 건당(建幢)을 시켜 의발(衣鉢)을 전한 뒤 3년 동안 지도하였다. 그리고 다시 개당설법(開堂說法)을 하게 하였는데 청중이 그 문에 가득 찼다.

그뒤 얼마 안되어 서산대사는 그에게, “그림자 없는 나무를 베어와서, 물 위의 거품에 모두 살라버린다. 우스워라, 저 소를 탄 사람. 소를 타고서 다시 소를 찾는구나(斫來無影樹 燋盡水中漚 可笑騎牛者 騎牛更覓牛).”라는 법게(法偈)를 주었다.

그는 이 법게를 가지고 남방으로 내려와 여러 스승들에게 물어보았으나, 뜻을 알고 해석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으므로 서산대사에게 다시 와서 물었다.

비로소 무생(無生)의 이치를 깨닫고 자성(自性)에 맡겨 소요하였고, 가는 곳마다 도(道)를 배우려는 자가 모여들어 임제종풍(臨濟宗風)을 크게 떨쳤다.

30세 되던 해 임진왜란이 일어나 서산과 유정(惟政)이 의병을 일으켜 전장으로 나가자, 그는 폐허가 된 빈 절을 지키며 불전(佛殿)을 수리하고 전쟁의 희생자들을 위하여 기도를 올렸다.

1624년(인조 2) 조정에서 남한산성(南漢山城)을 축조하려 할 때 그에게 서성(西城)을 보완하게 하여 이를 완수하였다.

그뒤 지리산의 신흥사(神興寺)와 연곡사(燕谷寺)를 중건하였는데, 태능의 도력에 감화된 사람들의 도움으로 며칠 만에 공사를 끝마쳤으며, 그가 법(法)을 설하면 짐승들과 이류(異類)들까지도 감복하였다고 한다.

1649년 11월 21일 열반(涅槃)이 가까웠음을 알고 제자들에게 설법하다가, 임종 때에는 붓을 찾아 “해탈이 해탈 아니거늘 열반이 어찌 고향이겠는가! 취모검(吹毛劒)의 빛이 빛나고 빛나니 입으로 말하면 그 칼날 맞으리(解脫非解脫 涅槃豈故鄕 吹毛光爍爍 口舌犯鋒鎚).”라는 임종게(臨終偈)를 남기고 나이 87세, 법랍 75세로 입적하였다.

그때 붉은 무지개가 하늘에 뻗치고 이상한 향기가 방에 가득하였다고 한다.

화장하는 날, 영골(靈骨)이 불 밖에 튀어나오고 사리(舍利)두개는 축원(祝願)에 응하여 공중에 솟아오르는 신이(神異)를 보였는데, 연곡사‧금산사(金山寺)‧보개산(寶蓋山) 세 곳에 이를 나누어 모시고 부도(浮屠)를 건립하였다.

평소 태능의 도(道)를 듣고 흠모한 효종은 1652년(효종 3) 혜감선사(慧鑑禪師)라는 시호를 내렸다.

이경석(李景奭)을 시켜 비명(碑銘)을 지어 금산사에 세우게 하였다. 그는 선(禪)과 교(敎)를 일원이류(一源異流)로 보는 전통적 견해를 취하였다. 이러한 사상과 경향은 서산대사와 일맥상통하는 흐름이다.

그는 서산대사의 법맥계승자로 「소요당집서(逍遙堂集序)」에는, “소요선사서산청허조사(西山淸虛祖師)의 뛰어난 제자이다. 조사의 문중(門中)에서 선사와 편양사(鞭羊師)를 선종이라 하고, 송운사(松雲師)를 교종이라 하였는데 같은 시대에 모두 우뚝하였다.” 하였고, 『소요당집』에서는 오직 태능만이 선지(禪旨)를 통달하였다고 하였다.

그의 선사상을 요약하면,

① 본래청정(本來淸淨)하고 자재하며 완전한 일물(一物)이 있다는 것,

② 이 일물은 밖에 있는 것이 아니고 밖으로부터 얻어 가질 수 있는 것도 아닌 우리의 자성(自性)이라는 것,

③ 이 자성은 추상적이거나 관념적인 것이 아니라 구체적 현실 속에서 모든 사물에 작용하면서도 그 스스로는 초월적이라는 것,

④ 이 자성이 나의 참된 주인공인 동시에 모든 것의 주인이라는 것,

⑤ 이 참 주인공을 철두철미하게 자각(自覺)한 사람은 무위진인(無位眞人)으로서 아무 것에도 의존하거나 결점이 없는 온전한 주인으로 살아갈 수 있다는 것 등이다.

특히, 선사상이 실참실수(實參實修)를 통한 체험에 있음을 실감하고, 제자들을 가르칠 때는 상징적인 비유를 즐겨 사용하였다.

즉, 상징적인 비유를 통하여 개념적인 지식을 초월하여 바로 그 실상(實相)을 실감하도록 하는 선종의 방법으로 제자들을 깨우치려 하였으며, 철두철미하게 불교를 주체적으로 깨닫도록 하고자 노력하였다.

후세의 학자들은 그를 평하여, 우국진충(憂國盡忠)의 뜻에서는 유정과 자취를 같이 하였으나, 선적풍격(禪的風格)에 있어서는 유정보다 뛰어난 것이 있었다고 하였다. 뛰어난 제자로는 현변(懸辯)계우(繼愚)경열(敬悅)학눌(學訥)처우(處愚)천해(天海)극린(克璘)광해(廣海) 등이 있으며, 그밖에 소요파(逍遙派)로 불리는 수백명의 제자들이 있었다.

저서로는 『소요당집』 1권이 있다.

[참고문헌]

逍遙堂集
朝鮮佛敎通史(李能和, 新文館, 1918)
西山門徒의 思想(金恒培, 韓國佛敎思想史 4, 圓光大學校出版局, 1974)

[집필자]

김위석(金渭錫)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