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우인(曺友仁)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870C6B0C778B1561X0 |
자(字) | 여익(汝益) |
호(號) | 매호(梅湖) |
호(號) | 이재(頤齋) |
생년 | 1561(명종 16) |
졸년 | 1625(인조 3) |
시대 | 조선중기 |
본관 | 창녕(昌寧)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증조부 | 조계형(曺繼衡) |
출생지 | 경상도 예천 |

[관련정보]
[상세내용]
조우인(曺友仁)
1561년(명종 16)∼1625년(인조 3).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여익(汝益), 호는 매호(梅湖)‧이재(頤齋). 경상도 예천 출생.
우부승지 조계형(曺繼衡)의 증손이다.
1588년(선조 21)에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1605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지내다가 1616년(광해군 8)에는 함경도 경성판관을 지냈다.
1621년에는 제술관(製述官)으로 있으면서 고궁(故宮)이 황적유폐(荒寂幽閉)함을 보고 감회일장(感懷一章)을 지어 광해군의 잘못을 풍자하였다가 필화를 입어 3년간 옥고를 치르고, 인조의 등극으로 풀려나 상주의 매호에서 은거하며 여생을 마쳤다. 시‧서예‧음악에 뛰어나 삼절(三絶)이라는 평을 받기도 하였다.
특히, 그의 가사집 『이재영언(頤齋詠言)』에는 「매호별곡(梅湖別曲)」‧「자도사(自悼詞)」‧「관동속별곡(關東續別曲)」‧「출새곡(出塞曲)」 등 4편의 가사작품이 실려 전한다.
「매호별곡」은 1624년경 그가 노경에 은거하던 상주군 사벌면 매호리에서 자연을 벗하며 한가롭게 살아가는 은일사(隱逸士)의 정경을 노래한 것이고, 「자도사」는 광해군이 간신배들에게 둘러싸여 못된 정사를 하고 있는 것을 안타까이 여겨 풍자하였다가 옥고를 치른 그의 나이 61∼63세 때인 1621, 1623년에 지은 충신연주지사(忠臣戀主之詞)이며, 「관동속별곡」은 만년에 정철(鄭澈)의 「관동별곡」을 읽고 느낀 바가 있어 전날 젊었을 때에 유람하였던 관동 지방 여행소감을 추억하며 정철의 「관동별곡」과의 중복을 피하여 지은 기행가사이다.
이 가사의 서문에는 「속관동별곡」이라고 하여 이 작품의 이름은 두 가지로 불린다. 「출새곡」은 1616년 가을에 경성부사로 제수되어 이듬해 봄에 변방의 산천풍토와 봄놀이를 두루 즐긴 뒤, 서울의 흥인문을 떠나 임지인 경성에 다다르기까지의 노정에서 얻은 견문, 임지에서의 춘유, 변방목민관의 고독감 등을 노래한 기행가사이다.
저술로는 문집 『이재집』과 가사집 『이재영언』이 있다.
우부승지 조계형(曺繼衡)의 증손이다.
1588년(선조 21)에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고, 1605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여러 벼슬을 지내다가 1616년(광해군 8)에는 함경도 경성판관을 지냈다.
1621년에는 제술관(製述官)으로 있으면서 고궁(故宮)이 황적유폐(荒寂幽閉)함을 보고 감회일장(感懷一章)을 지어 광해군의 잘못을 풍자하였다가 필화를 입어 3년간 옥고를 치르고, 인조의 등극으로 풀려나 상주의 매호에서 은거하며 여생을 마쳤다. 시‧서예‧음악에 뛰어나 삼절(三絶)이라는 평을 받기도 하였다.
특히, 그의 가사집 『이재영언(頤齋詠言)』에는 「매호별곡(梅湖別曲)」‧「자도사(自悼詞)」‧「관동속별곡(關東續別曲)」‧「출새곡(出塞曲)」 등 4편의 가사작품이 실려 전한다.
「매호별곡」은 1624년경 그가 노경에 은거하던 상주군 사벌면 매호리에서 자연을 벗하며 한가롭게 살아가는 은일사(隱逸士)의 정경을 노래한 것이고, 「자도사」는 광해군이 간신배들에게 둘러싸여 못된 정사를 하고 있는 것을 안타까이 여겨 풍자하였다가 옥고를 치른 그의 나이 61∼63세 때인 1621, 1623년에 지은 충신연주지사(忠臣戀主之詞)이며, 「관동속별곡」은 만년에 정철(鄭澈)의 「관동별곡」을 읽고 느낀 바가 있어 전날 젊었을 때에 유람하였던 관동 지방 여행소감을 추억하며 정철의 「관동별곡」과의 중복을 피하여 지은 기행가사이다.
이 가사의 서문에는 「속관동별곡」이라고 하여 이 작품의 이름은 두 가지로 불린다. 「출새곡」은 1616년 가을에 경성부사로 제수되어 이듬해 봄에 변방의 산천풍토와 봄놀이를 두루 즐긴 뒤, 서울의 흥인문을 떠나 임지인 경성에 다다르기까지의 노정에서 얻은 견문, 임지에서의 춘유, 변방목민관의 고독감 등을 노래한 기행가사이다.
저술로는 문집 『이재집』과 가사집 『이재영언』이 있다.
[참고문헌]
梅湖別曲과 自悼詞(高敬植, 自由文學 49, 1961)
曺友仁의 歌辭集 ‘頤齋詠言’(金永萬, 語文學 10, 1963)
關東續別曲(高敬植, 慶熙文選, 1962)
曺友仁의 歌辭集 ‘頤齋詠言’(金永萬, 語文學 10, 1963)
關東續別曲(高敬植, 慶熙文選, 1962)
[집필자]
최강현(崔康賢)
명 : "우인(友仁)"에 대한 용례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