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선장(朴善長)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BC15C120C7A5B1557X0 |
자(字) | 여인(汝仁) |
호(號) | 수서(水西) |
생년 | 1557(명종 12) |
졸년 | 1616(광해군 8) |
시대 | 조선중기 |
본관 | 무안(務安)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박전(朴全) |
모 | 웅천주씨(熊川朱氏) |
저서 | 『수서집(水西集)』 |

[상세내용]
박선장(朴善長)
1557년(명종 12)∼1616년(광해군 8).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무안(務安). 자는 여인(汝仁), 호는 수서(水西).
부친은 북평사(北評事) 박전(朴全)이며, 모친은 웅천주씨(熊川朱氏)이다.
4세 때 아버지가 서울에서 돌아가시자, 10세 때 어머니를 따라 경상도 영천(榮川:지금의 榮州)에 있는 외가에 내려가 그의 사부이자 장인이기도 한 남몽오(南夢鰲)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605년(선조 38) 51세의 늦은 나이에 증광별시(增廣別試)에 급제하여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이 되었고 성리학에 힘썼다.
1608년 예안현감(禮安縣監), 1614년(광해군 6) 경상도사(慶尙都事) 등을 역임하였다. 대표적인 작품으로 한문시가 「박박전가(薄薄田歌)」와 시조 「오륜가(五倫歌)」가 있으며, 저서로는 이들 작품이 수록된 문집 『수서집(水西集)』이 있다.
부친은 북평사(北評事) 박전(朴全)이며, 모친은 웅천주씨(熊川朱氏)이다.
4세 때 아버지가 서울에서 돌아가시자, 10세 때 어머니를 따라 경상도 영천(榮川:지금의 榮州)에 있는 외가에 내려가 그의 사부이자 장인이기도 한 남몽오(南夢鰲)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605년(선조 38) 51세의 늦은 나이에 증광별시(增廣別試)에 급제하여 성균관전적(成均館典籍)이 되었고 성리학에 힘썼다.
1608년 예안현감(禮安縣監), 1614년(광해군 6) 경상도사(慶尙都事) 등을 역임하였다. 대표적인 작품으로 한문시가 「박박전가(薄薄田歌)」와 시조 「오륜가(五倫歌)」가 있으며, 저서로는 이들 작품이 수록된 문집 『수서집(水西集)』이 있다.
[참고문헌]
水西集
韓國時調大事典(朴乙洙, 亞細亞文化社, 1992)
朴善長의 五倫歌硏究(李相寶, 明知大論文集 9, 1976)
韓國時調大事典(朴乙洙, 亞細亞文化社, 1992)
朴善長의 五倫歌硏究(李相寶, 明知大論文集 9, 1976)
[집필자]
진동혁(秦東赫)
자 : "여인(汝仁)"에 대한 용례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